생각하기와 글쓰기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12년 후 처음으로 2%를 돌파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한국은행은 과도한 유동성과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이 맞물려 물가가 쉼 없이 뛰는 이른바 ‘인플레이션 소용돌이(inflation spiral)’에 대한 경고를 내놨다. 빨라지는 물가 상승 속도를 억제하기 위한 8월 기준금리 인상론도 한층 힘을 받고 있다.한은과 금융계에 따르면 한은은 치솟는 물가를 반영해 이달 26일 발표하는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전망치를 종전 1.8%에서 2.0~2.2%로 올릴 것으로 알려졌다.지난달 15일 열린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의 의사록을 보면 한은 관계자는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에 대해 “지난 5월 한은의 전망수준(1.8%)을 웃돌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 회의에 금통위원으로 참석한 고승범 금융위원장 후보자도 “연간으로 올해 2%대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망된다”고 평가했다.
가파른 상승세의 밥상물가는 소비자물가를 밀어 올렸다. 지난 1분기 한국의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는 작년 1분기보다 8.2% 올랐다. 이 같은 상승률은 2011년 3분기(9.0%) 후 가장 높았다. 올 2분기 밥상물가도 7.3%로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38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터키(18.0%)와 호주(10.6%)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OECD 회원국 평균(1.6%)보다도 네 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밥상물가는 물론 영화관람료 택배비 외식비 등을 아우르는 서비스 가격도 뛰고 있다. 지난 4월 2.2%, 5월 2.5%, 6월 2.5%, 7월 2.7%로 넉 달째 2%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코로나19로 위축된 씀씀이가 올 들어 살아나면서 식자재와 서비스가격이 뛰고 있다는 분석이다.
향후 물가가 계속 뜀박질할 것이라는 관측에 소비자들이 계획된 소비를 앞당기거나 기업들이 제품값을 올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같은 움직임이 물가를 재차 자극하면 ‘기대인플레이션(가계·기업이 예상한 미래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수준) 상승→제품값 상승→기대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악순환을 인플레이션 소용돌이라고 한다.
한 금통위원은 지난달 금통위에서 “꾸준히 물가가 오를 것이라는 인플레이션 기대가 물가의 지속적 상승을 부르는 인플레이션 소용돌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올 들어 오름세를 보이는 임금도 인플레이션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기업들이 인건비 상승분을 제품값에 전가할 수 있어서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고용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인 상용근로자의 올해 1~5월 월평균 임금 총액은 366만6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4만2000원) 늘었다. 역대 1~5월 기준 증가율로는 2018년(6.6%) 후 가장 높았다.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는 것을 비롯해 기준금리 인상 명분은 차곡차곡 쌓이고 있다. 그만큼 8월 기준금리 인상론도 힘을 받고 있다. 코로나 4차 대유행의 한복판에 있지만 실물경제 흐름에 대한 한은의 긍정론은 바뀌지 않고 있다.
한은은 올해 연간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5월 전망치(700억달러)를 웃도는 81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4차 대유행에 따른 민간소비 충격 역시 예상보다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거리두기를 경험한 가계가 온라인 교육·상거래 등으로 우회수단을 찾아 씀씀이를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누적되는 가계부채와 과열된 부동산시장도 금리인상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명분이 쌓여가는 만큼 일각에선 이달 26일 열리는 금통위에서 금리인상 결정이 내려질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김익환 한국경제신문 기자 NIE 포인트① 소비자 물가지수가 오르고 내린다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자.
② 소비자 물가지수를 누가 조사하고 발표하는지를 알아보자.
③ 소비자 물가지수와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공부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