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정부가 부동산시장에 개입하면 집값이 안정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규제를 하면 할수록 시장의 분노는 더 커지고,
결국 규제를 계속 하다 보면 국가가 사회주의로 가게 된다.
하지만 규제를 하면 할수록 시장의 분노는 더 커지고,
결국 규제를 계속 하다 보면 국가가 사회주의로 가게 된다.
![[생글기자 코너] 토지공개념은 시장경제 훼손하는 논리](https://img.hankyung.com/photo/202005/AA.22343236.1.jpg)
그렇다면 토지공개념은 괜찮은 것일까?
앞서 말한 헨리 조지는 ‘단일 토지세’를 주장하며 이외의 세금은 징수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추 장관이 말한 ‘중국식 국유제’는 국가가 모든 소유권을 가지고 있고 국민에게 50~70년의 이용권을 주는 방식이다. 이런 식의 국유제가 토지에 대한 투기를 근절할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상하이의 주택 가격을 보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왜냐하면 토지사용권을 가지고 있는 70년간은 개인의 매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토지공개념을 주장하는 전문가 중 한 명인 조명래 단국대 교수는 “서구 선진국치고 특히 유럽 국가치고 토지공개념을 제도화하지 않은 나라가 어디 있는지 묻고 싶다”고 한 라디오 방송에서 발언했다. 하지만 2019년 기준 부동산 과열 상위 7개 도시 중에는 뮌헨, 암스테르담, 프랑크푸르트, 파리와 같은 유럽 국가들이 대거 포함됐다.
서울대생 전용 포털사이트 스누라이프에서 진행한 ‘존경하는 대통령’ 투표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이 1위에 오른 적이 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친시장적인 부동산 정책 때문이다. 우리는 정부가 부동산시장에 개입하면 집값이 안정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규제를 하면 할수록 시장의 분노는 더 커지고, 결국 규제를 계속 하다 보면 국가가 사회주의로 가게 된다. 애덤 스미스가 주창한 ‘보이지 않는 손’이 시장경제를 지키는 만능은 아니다. 하지만 지나친 규제로 대한민국의 시장경제를 퇴보시켜서는 안 된다.
현성준 생글기자(경북고 2년) alex0225@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