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발전에 기여할 인재를 양성하고 교육을 하는 학교가
사회에서 인정받기 위해 가는 곳, 더 빠르고 더 높은 출세를 위해 거치는
하나의 과정 정도로 평가되고 있다는 것이 안타깝다.
입시 공정성을 고려한 정시 확대와 2025년 시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외국어고, 국제고, 자사고의 일반고 전환 발표는 현재 대한민국 학생과 학부모 사이에서 가장 큰 이슈다.사회에서 인정받기 위해 가는 곳, 더 빠르고 더 높은 출세를 위해 거치는
하나의 과정 정도로 평가되고 있다는 것이 안타깝다.
정책 당국은 이런 교육정책 변화가 대학 입시를 보다 공정하게 하고 대한민국의 지나친 교육열과 학생 간의 경쟁 심리를 완화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정시 확대 제도와 특목고, 자사고의 일반고 전환이 정말 대한민국 학생들을 위한 교육적인 혁신으로 다가올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러 논쟁점이 있다.
애초에 서울 수도권 학생과 자사고, 특목고 학생들에게 편중된 정시 확대가 정말 입시 공정성과 관련이 있는가, 수시 위주로 대학에 진학하는 특성화고 학생들은 배려하지 않은 것이 아니냐는 논란도 일고 있다.
징검다리 교육 공동체의 강민정 상임이사는 “자사고와 특목고의 일반고 전환이 진행될지에 대해서는 불확실하지만 정시 확대는 당장 내년에 시행되기에 사실상 부조화”라며 “경제적인 소득이 높은 가정의 학생들이 유리한 입시 제도를 근본적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이야기를 들을 때면 ‘과연 대한민국이 추구하는 교육은 무엇일까?’라는 의문점이 든다. 대학교에 진학해야 사회적으로 인정받는다는 말, 서울과 수도권에 있는 대학교에만 진학하려 하는 학생들, 경제적 차이가 만들어내는 교육의 차이 등을 볼 때면 학교는 어째서 존재하고, 교육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대학교는 초·중·고교보다 다양하고 전문적인 지식을 얻고,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목표에 맞는 공부를 자기주도적으로 하며, 본격적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하기 전에 사회성을 기르며 조직생활에 어우러지는 방법을 배우는 교육기관이다.
대한민국의 발전에 기여할 인재를 양성하고 교육을 하는 학교가 사회에서 인정받기 위해 가는 곳, 더 빠르고 더 높은 출세를 위해 거치는 하나의 과정 정도로 평가되고 있다는 것이 안타깝다. 우리 모두 교육의 진정한 의미와 목적을 되돌아봤으면 한다. 속도보다는 방향이 우선이다. 교육 또한 마찬가지다.
조아라 생글기자(경민비즈니스고 1년) alba315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