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민은 윗사람들이 하는 일에 그저 따르기만 하는 사람이다.
항민은 지배계급에 대한 원망을 품지만 행동에 나서지는 않는 사람이다.
호민은 자기가 받는 부당한 대우와 사회의 부조리에 도전하는 사람이다.
민주주의의 핵심은 무엇일까? 사람들마다 의견은 다르지만 내 생각에는 참여라고 생각한다. 정치 참여와 관련하여 호민을 소개한다.항민은 지배계급에 대한 원망을 품지만 행동에 나서지는 않는 사람이다.
호민은 자기가 받는 부당한 대우와 사회의 부조리에 도전하는 사람이다.
시대를 앞서간 지식인 허균은 자신의 책 허균문선에 “천하에 두려워할 것은 백성뿐”이라며 백성을 원민(怨民) 항민(恒民) 호민(豪民)으로 나눴다. 그에 따르면 원민은 윗사람들이 하는 일에 그저 따르기만 하는 사람이다. 항민은 지배계급에 대한 원망을 품지만 행동에 나서지는 않는 사람이다. 호민은 자기가 받는 부당한 대우와 사회의 부조리에 도전하는 사람이다. 그중 허균이 중요하게 생각한 부류는 호민이다.
허균은 호민의 예로 궁예(후고구려 건국자), 견훤(후백제 건국자)을 언급했다. 허균 그 자신도 서얼 철폐라는 부당한 대우에 맞서 서자들과 함께 칠서의 난을 일으켰다. 구한말 동학농민운동, 독립협회의 만민 공동회와 관민 공동회 그리고 100년 전의 3·1운동에 참여했던 시민 모두 호민들이다. 최근의 호민들은 촛불혁명에 나선 시민들이라 볼 수 있다. 과거에는 특정 지배계층만이 정치에 참여해 피지배층을 지배했다. 신분의 이름은 조금씩 달랐지만 권력을 가졌고 견제할 시민들이 없었다. 그러나 그때도 호민들은 잘못된 정치에 항거하여 호민의 역할을 다하였다.
우리나라는 해방 후 미국에 의해서 민주주의가 전파되었다. 민주주의의 우월성은 역사가 증명한다. 하지만 아무리 민주주의 사회라도 시민의 참여와 견제가 없으면 멋대로 흘러가기 쉽다. 그러한 까닭에 많은 시민이 스스로 호민이 되어 군부 독재에 맞섰고 그 결과 지금의 민주주의와 시민 사회, 인권 확대라는 결과를 만들었다. 우리나라는 민주화를 위한 운동이 많이 일어난 나라다. 그럼에도 권위주의와 관료주의는 우리 사회 곳곳에 남아 있다. 때때로 정치인들이 시민들을 비하하는 발언을 하기도 한다. 비리 사건들은 해마다 터진다.
나는 그 원인 중 하나가 정치는 나이 든 어른들만 하는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직접 참여를 꺼리는 것도 일조한다고 생각한다. 우리 국민들 스스로가 호민이 되어야 미래를 바꾸고 우리나라에 정의를 바로 세울 수 있다.
김준수 생글기자(서해삼육고 1년) sda0725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