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의 발달로 개인 채널을 활용한 개인 생각을 마치 사실인 양
대국민 홍보를 하고 있다. 가짜뉴스를 규제해야 한다는 의견은
정부는 물론 학계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대국민 홍보를 하고 있다. 가짜뉴스를 규제해야 한다는 의견은
정부는 물론 학계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생글기자 코너] 우리사회에 급속히 확산되는 '가짜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1905/AA.19691474.1.jpg)
왜 이렇게 가짜뉴스가 많이 존재하는 것일까? 사람들은 언론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자신의 정치 성향에 따라 보고 싶은 것, 듣고 싶은 것만 언론을 통해 접하고 있다는 최근 연구 보고서도 다수 존재한다. 과거의 언론은 KBS, SBS, MBC 등 방송사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국경제 등 신문사에서 나오는 뉴스가 보편적인 우리사회 이슈를 다루었다.
하지만 요즘은 SNS의 발달로 개인 채널을 활용한 개인 생각을 마치 사실인 양 대국민 홍보를 하고 있다. 가짜뉴스를 규제해야 한다는 의견은 정부는 물론 학계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사례를 보더라도 가짜뉴스에 의한 마녀 사냥식 여론몰이와 나와 의견이 다른 모든 사람은 적으로 간주하고 댓글, 페이스북 등을 활용한 마구잡이식 인신공격성 발언들은 현재 우리나라 언론환경의 씁쓸한 현실이기도 한다. 이러한 부정적인 사례들로 인해 우리 국민도 가짜뉴스에 대한 규제와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지나친 규제로 인해 자칫 언론 활동의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섞인 의견도 있다. 하지만 정보의 홍수로 불리는 현실에서 넘쳐나는 뉴스에 대한 진실 여부를 파악, 판명하고 거짓 뉴스에 대해서는 법적 조치를 취하는 등 이로 인한 사회적 손실은 늘어가고 있다. 최근 가짜뉴스에 대한 대책 및 해결방안 등 다양한 보고서와 논문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역사적으로 유언비어 등이 쉽게 퍼지고 사회적으로 불안을 조성하는 일들이 많았다. 그럴수록 사실에 입각한 뉴스를 국민에게 빠르게 전달하고 이해시키면 가짜뉴스의 생성과 유통은 줄어들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기존 책임 있는 언론사들이 국민에게 더 많은 신뢰를 얻는다면 가짜뉴스도 스스로 정화되지 않을 까 생각한다.
이승하 (세종국제고 2년) tmdgk486486@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