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백년지대계의 첫걸음은 일선에 계신 우리 선생님들을 신뢰하고
감사하며 공경하는 마음을 갖는 것에서부터 시작돼야 하지 않을까?
‘쪽’에서 나온 물감이 오히려 원래의 쪽빛보다 더 푸르다는 뜻인 청출어람(靑出於藍)은 스승에게 배운 제자의 실력이나 학문이 스승을 능가함을 의미한다. 그래서 청출어람은 교육 현장에 계시는 선생님들이 느끼는 보람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고사성어가 아닐까 싶다.감사하며 공경하는 마음을 갖는 것에서부터 시작돼야 하지 않을까?
올 5월 15일은 제38회 ‘스승의 날’이었다. 스승의 날은 교권 존중과 스승 공경의 사회적 풍토를 조성해 교원의 사기와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정된 날로, 1963년 청소년적십자 중앙학생협의회에서 5월 26일을 ‘은사의 날’로 정해 퇴직하시거나 병중에 계신 은사님을 찾아가 감사를 표했던 것에서 유래했다. 그 후 1965년에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대왕을 겨레의 가장 큰 스승으로 모신다는 뜻으로 세종대왕 탄생일인 5월 15일을 스승의 날로 정식 제정하면서 학교별로 기념행사를 했고, 1982년에는 국가기념일이 됐다.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6-3-3-4 학제’를 운영하는 우리나라는 일생 동안 한 사람이 적어도 평균 12명 이상의 은사님을 만나는 셈이다. 과거 유교를 국가의 근본 이념으로 정했던 시대에는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을 정도로 스승을 공경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 당연시됐지만, 요즘 우리 사회에서는 교사가 학생이나 학부모에게 존중받지 못하고 교권을 침해받는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학생인권조례 지정으로 학생들은 집회, 체벌, 복장, 두발 등의 문제에 대해 예전보다 비교적 많은 자유를 누리게 됐지만, 학생 신분에 맞지 않는 과한 개성의 표출이나 돌출 행동, 일부 학생이 교사의 교육 활동을 침해하는 행위에 대해 교사가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이 줄어들고 있는 것은 문제다.
나라가 발전하고 부강해지려면 국민 개개인이 사회에서 제 몫을 다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 개인들이 자기 몫을 해 내도록 돕는 것이 바로 교육이다. 교육 백년지대계의 첫걸음은 일선에 계신 우리 선생님들을 신뢰하고 감사하며 공경하는 마음을 갖는 것에서부터 시작돼야 하지 않을까?
김재윤 기자(염창중 2년) 2wondergirl@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