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는 두 얼굴을 갖고 있다. 문명의 진화와 혁신의 엔진이면서
자칫 계층 간의 격차가 확대되고 갈등이 깊어지는 공간일 수도 있다.
오늘날 도시 문제의 핵심은 도시 발전의 모순이다. 사람과 돈이 도시로 모이고 경제가 발전할수록 불평등은 심화된다. 중산층이 사라지고 부동산이 폭등하는 상황 속에서 도시는 거주자의 경제력에 따라 모자이크처럼 나뉜다. 하지만 도시가 문제라고 도시를 없앨 수는 없다. 현대 사회에서 도시는 필수불가결하다. 어찌 보면 인류 역사의 발전은 도시 발전과 궤를 같이한다.자칫 계층 간의 격차가 확대되고 갈등이 깊어지는 공간일 수도 있다.
2013년 음악가인 데이비드 번이 이렇게 경고했다. “만약 1%의 사람들이 뉴욕의 창조적인 인재를 억누른다면 나는 여기서 나갈 것이다.” 그는 뉴욕의 놀라운 경제적 성공이 뉴욕의 문화적 실패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고 썼다. 그는 이렇게 덧붙였다. “맨해튼의 대부분 지역과 브루클린의 많은 지역이 사실상 벽으로 둘러쳐진 지역사회, 곧 부자들을 위한 쾌락 지역이다. 이제 중산층은 이곳에 살 수 있을 만한 여유가 거의 없다. 그러니 새로운 예술가, 음악가, 배우, 무용가, 작가, 언론인, 소규모 사업가에 대해서는 잊어라. 뉴욕을 활기차게 만드는 자원이 조금씩 제거되고 있다.” 경제가 발전하고 종주도시화 현상이 계속 유지되면서 창조계층이 성장할 자리들은 점점 좁아지고 있다는 경고다.
예술, 문화, 기술, 경영 분야 역량과 함께 높은 수준의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경제를 가진 도시는 드물다. 미국은 전체 대도시의 단 5%(364개 도시중 19개)만이 이런 분야에서 높은 성과와 역량을 갖춘 창조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여기에는 뉴욕, 로스앤젤레스와 같은 슈퍼스타 도시, 그리고 샌프란시스코, 보스턴, 워싱턴DC, 시애틀, 오스틴과 같은 지식 및 테크허브 도시가 포함된다. 이 도시들은 창조산업, 첨단기술, 경영 분야의 지배력 이외 전반적으로 더 강하고 다양하며 탄탄한 경제를 자랑한다.
도시는 두 얼굴을 갖고 있다. 문명의 진화와 혁신의 엔진이면서 자칫 계층 간의 격차가 확대되고 갈등이 깊어지는 공간일 수도 있다. 창조가 꽃을 피울 수도 있고, 도시 엘리트들의 지나친 경쟁으로 예술적 창의성이 메마를 수도 있다. 위대한 도시는 포용적인 도시다. 경제를 번영시키면서 예술적 창의성도 활짝 꽃을 피우는 그런 도시다.
윤채은 생글기자(이화여대사대부속 이화금란고 2년) yunchaeeun022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