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과 관련학과
(4) 기업 CEO
(4) 기업 CEO
![[2020학년 대입 전략] 최고경영자(CEO)는 경영학·경제학 지식이 필수에요](https://img.hankyung.com/photo/201903/AA.19083730.1.jpg)
1)4차 산업혁명시대를 리드하는 CEO가 되고 싶어요.

2)4차 산업혁명시대 기업 CEO란 무엇인가
기업의 CEO는 인공지능이 탑재된 정보시스템을 통해 재창출된 전략, 생산관리, 마케팅 등 여러 가지 정보를 토대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조직운영에는 우선 사람이 중요하고, 자본관리(회계,재무), 생산관리(경영과학), 마케팅 및 소비자관리, 비전 및 전략, 조직행동, 기업정보시스템관리 등을 통해 수익은 늘리고 비용을 줄이며 순이익을 늘려야 한다. 4차 산업혁명시기 CEO는 인공지능기술의 도움으로 소비자 행태에 대한 직접적 분석을 하고, 이를 토대로 기업 전체와 부분을 동시에 인식하면서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의사결정 구조는 매우 슬림해진다. 기업의 성공과 실패는 CEO의 결정에 의해 시장에서 빠르게 나타난다. 그만큼 경영 전반에 대한 이해와 사회의 변화상황에 과거 CEO보다 많이 알아야 하고 새로운 분석방법과 인사관리에 촉각을 세워야 한다.
3)무슨 학과가 유리한가
기업 전반의 운영 메커니즘을 배우는 학과로 경영학과가 유리하다. 하지만 기업 하나의 내부 운영방법에 대한 지식만으로 기업의 성공을 확신할 수 없다. 새로운 기술이 만들어내는 경제 환경에 대한 인식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경제학 공부도 동시에 필요하다.
경영학과에서는 인력 선발, 평가, 보상 등 이론 및 인사관리방안(인사관리분야), 마케팅의 이론과 마케팅환경, 마케팅믹스, 마케팅전략 등 마케팅활용방법(마케팅분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사회 환경 대응성(기업윤리분야), 자본예산 및 자본조달 그리고 운전자본관리, 자본계산, 자본비용, 자본구조, 자본시장이론 등 자금운용방법(재무분야), 계량분석 기법들을 통한 생산활동 관련 의사결정(경영과학분야), 국제조직 및 금융시장의 중요성, 외부적 비즈니스 환경 및 그 충격(국제경영분야), 인터넷 정보네트워크 기반 기업정보시스템의 운영구조 및 비즈니스방법(MIS분야), 회계정보에 따른 손익분기점분석, 종합예산편성, 성과평가, 사내대체가격 및 정보경제학(관리회계분야)을 배운다.
4) 어떤 학교와 전형이 있는가
경영학과는 취업에 직접적이므로 경쟁자가 많고 학교 내신이 높다. 지원전략이 필요한 학과다. 전형방법 중 학생부종합전형의 경우 다른 학과보다 다양한 활동으로 학생부에 기록될 수 있다. 일부를 적으면 ①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한 판매물품 또는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이익으로 현실화하는 것에 관심이 높다면 마케팅 분야를 공부하고, 이에 대한 활동을 학생부에 기록하면 좋다.(예: 바자회 등을 운영해 이윤을 남기고 사회에 환원하는 과정) ②쇼핑몰을 통해 물품을 판매해 이익을 남기는 것에 관심이 있다면 MIS분야를, ③조직을 만들고 역할을 분배해 목적을 달성하는 과정에 관심이 있다면 조직행동을 공부하고 관련 활동을 기록하면 좋다. ④수치를 기반으로 수학 및 통계분석능력과 토론능력의 탁월함이 학생부에 나타나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