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골화되는 중국의 ‘기술 빼내기’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기술 겨냥
연봉 2배·5년 고용보장 등 파격 조건
대기업 협력사 M&A도 적극 나서
美는 ‘기술 빼가기’ 중단 강력 촉구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한국 첨단산업 핵심 인력과 기술을 빼가려는 중국 기업들의 시도가 점점 교묘해지고 있다. 협력회사를 인수합병(M&A) 또는 지분 투자를 추진하거나 위장취업까지 하는 등 수법도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중국의 첨단기술 빼돌리기는 미·중 무역전쟁의 핵심 쟁점이다.반도체·디스플레이 등 기술 겨냥
연봉 2배·5년 고용보장 등 파격 조건
대기업 협력사 M&A도 적극 나서
美는 ‘기술 빼가기’ 중단 강력 촉구
첨단기술 단번에 따라잡으려 인재 빼돌려

반도체 소재 및 장비 기업에 대한 M&A 시도도 늘고 있다. 일부 인력이나 기술을 빼오는 방식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첨단기술을 습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도체 장비업체 D사 대표는 “최근 중국 반도체기업으로부터 지분 투자를 제안받았는데 8명으로 팀을 꾸려 국내 반도체 장비업체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있었다”고 귀띔했다.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2, 3차 협력사를 노린다는 게 이 관계자의 전언이다. 지난 6월엔 수원지방검찰청이 플렉시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기술을 유출하기 위해 국내 기업에 위장 취업한 중국인 이모씨 등 3명을 구속기소했다. 중국 업체 소속인 이씨는 국내 기업 직원에게 관련 기술을 확보해 중국 업체로 이직하면 기존 연봉의 세 배인 2억원을 주겠다고 제안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업체가 중국으로 기술 넘긴 사례도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두 측면을 휘게 하는 ‘엣지 패널’ 기술을 중국 업체에 넘긴 혐의로 삼성전자의 협력사 톱텍의 대표가 구속되는 사건이 최근 발생했다. 스마트폰 판매량이 둔화되면서 매출과 이익이 줄어들자 핵심 기술을 삼성전자 경쟁사에 넘겼다는 게 검찰의 판단이다. 이 업체가 삼성전자와 약 30년간 거래해온 핵심 협력사라는 점도 충격이다. 휴대폰, 가전, 자동차 등 중국과 세계 무대에서 치열하게 경쟁하는 다른 산업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재발할 수 있어서다.

미국은 ‘기술 빼내기’를 불공정 무역으로 규정

미국은 중국의 이런 ‘첨단기술 빼내기’를 불공정 무역 관행의 대표적 사례로 보고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그동안 중국이 기술 절도, 외국 기업에 기술이전 강요, 산업스파이 활동, 환율 조작 등을 통해 부당한 이익을 내고 있다고 비판해왔다. 또한 중국이 ‘기술 굴기’를 위해 추진하는 ‘중국제조 2025’ 정책도 외국기업에 대한 부당한 차별이라며 폐지 또는 대폭 수정을 요구해 왔다.
■ NIE 포인트
중국이 외국의 첨단기술을 빼가고 있는 현상을 정리해보자. 중국 기업들은 왜 집요하게 선진 기업의 인력과 기술을 빼내려고 하는지 토론해보자. 기술과 인력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기업과 정부가 어떤 대책을 세워야 하는지도 토론해보자.
좌동욱 한국경제신문 산업부 기자 leftk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