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코르셋의 본질은 여성 인권이다. 페미니즘의 확산으로 인해
탈코르셋이 뜨거운 감자가 된 지금, 이것을 바르게 수용하고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게 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탈(脫)코르셋’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탈코르셋’은 1차적으로 보정속옷을 뜻하는 코르셋을 탈피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16세기 유럽의 귀족 여성들은 당시 사회가 만든 미(美)의 기준에 맞추기 위해 코르셋을 착용했다. 당시 여성들은 코르셋 때문에 장기가 비정상적으로 변형되는 등의 문제를 겪었다. 이로 인해 코르셋은 여성이 받는 사회적 억압이라는 의미를 상징적으로 갖게 되었다. 따라서 탈코르셋은 사회가 만들어 놓은 미(美)의 기준으로부터 탈피하고, 남 시선을 의식해 억지로 꾸미는 것을 멈추고자 하는 취지로 시작된 사회적 운동을 의미한다. 최근 일부 SNS 사용자들은 탈코르셋 해시태그(#)를 붙여 자신이 탈코르셋을 했다는 것을 인증하기도 한다. 이들은 긴 머리를 짧게 자르거나 화장품을 버리는 것, 치마를 입지 않는 것 등을 통해 자신의 의지를 드러낸다.탈코르셋이 뜨거운 감자가 된 지금, 이것을 바르게 수용하고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게 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들은 여성을 성적 대상화하는 남성들의 시선에서 벗어나고, 나아가 성평등 사회를 이루기 위해 탈코르셋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회가 말하는 ‘여성적’인 행동을 하는 것만으로도 여성의 인권은 더 낮아진다는 것이다. 뷰티 유튜버 배리나는 지난 6월 ‘나는 예쁘지 않습니다’라는 제목의 영상을 업로드했다. 해당 영상은 4개월 만에 조회수 400만 회를 기록했고, 많은 네티즌이 귀를 기울였다. ‘나는 예쁘지 않다. 그러나 예쁘지 않아도 된다. 예뻐지기 위해 자신을 혹사시킬 필요는 없다’라는 문구는 많은 네티즌의 공감을 샀다.
탈코르셋에 대한 관심과 동조가 커질수록 반대 의견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들은 ‘내가 예뻐지고 싶어서 하는 행동인데 남이 무슨 상관이냐’, ‘탈코르셋의 기준을 부여하는 것 또한 코르셋 아니냐’ 등의 의견이 주를 이뤘다. 나아가 일부는 ‘애초에 예쁘지도 않은데 무슨 탈코르셋이냐’며 조롱하기도 했다. 그러나 탈코르셋 지지자들은 ‘내 의지대로 하는 게 곧 탈코르셋이고, 예뻐진다는 것은 사회가 만들어 놓은 기준이기 때문에 탈피해야 한다’라고 다시 반박했다.
탈코르셋의 본질은 여성 인권이다. 페미니즘의 확산으로 인해 탈코르셋이 뜨거운 감자가 된 지금, 이것을 바르게 수용하고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게 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탈코르셋의 목표는 이 단어가 다시 사라질 수 있도록 여성이 억압받지 않는 사회를 이루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김시윤 생글기자(대전 신일여중 2년) kimsiyun04@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