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통시장은 2005년 총 1660개에서 2015년 1439개로 10년 만에 220여 개가 감소했다. 주차가 어려워 접근성이 좋지 않은 점, 청년에게 맞지 않는 옛날의 풍습이라는 점, 화재에 불타기 쉽다는 점이 감소 원인으로 꼽힌다. 그 결과 전통시장은 현대 사회에서 외면당하고 있다.
현재 중소벤처기업부는 전통시장의 자생력 강화를 위한 상향식 지원 정책, 청년 상인 육성 정책, 화재 대비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청년 상인 육성 정책은 ‘전통시장 대학협력사업’이 대표적이다. 이 정책은 대학당 최대 1억5000만원을 지원, 전통시장 상인과 연합해 시장의 활성화를 돕는 정책이다. 정책 지원 부분은 크게 4가지다. 커뮤니티 공간 형성, ICT를 접목한 콘텐츠 개발, 특화상품 개발, 시장 이미지 제고 사업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정책은 겉보기와는 다르게 현실적으로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한국 경제에서 수도권 일대를 중심으로 ‘전통시장 대학협력사업’에 대해 탐문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성공 사례는 찾기 힘들 정도였고 상당수 매장이 영업 부진에 시달리고 있었다고 한다.
이와는 달리 청년 주도의 전통시장 개선 정책은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기도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논산화지중앙시장이 있다. 논산화지중앙시장은 ‘청년 10구역 다락’이라고 하는 청년 거리를 조성해 기존의 시장에서는 보기 어려웠던 3D프린팅, 미술 수공예 등을 통해 기존 세대와 현 세대에게 호평받았다. 이 외에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주차장 조성, 야시장 조성을 통한 젊은 세대 겨냥, 즐길 거리 확충을 위한 랩·노래·댄스 대회를 매주 진행하는 등의 정책이 시행되었다.
시사점은 전통시장 개선 정책에도 희망은 있고 선례 또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점점 사라져 가는 전통시장을 되살리기 위해 정부에서 10여 개가 넘는 지원 정책이 시행 중이다. 하지만 수와 양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그 지역의 특성, 시장에 맞는 정책과 장기적인 목표를 가진 정책이다. 전통시장의 경쟁력 쇄신을 위해선 소비 능력이 큰 청년 세대를 잡는 것이 중요한 방안 중 하나일 것이다. 지역의 특성을 담는 것도 한 방안이 될 것이다. “가장 지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는 말이 있는 것처럼 차별화된 지역만의 것을 갖추는 부분도 주요한 과제로 보인다.
주호연 생글기자(상산고 1년) ugin35@naver.com
현재 중소벤처기업부는 전통시장의 자생력 강화를 위한 상향식 지원 정책, 청년 상인 육성 정책, 화재 대비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청년 상인 육성 정책은 ‘전통시장 대학협력사업’이 대표적이다. 이 정책은 대학당 최대 1억5000만원을 지원, 전통시장 상인과 연합해 시장의 활성화를 돕는 정책이다. 정책 지원 부분은 크게 4가지다. 커뮤니티 공간 형성, ICT를 접목한 콘텐츠 개발, 특화상품 개발, 시장 이미지 제고 사업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정책은 겉보기와는 다르게 현실적으로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한국 경제에서 수도권 일대를 중심으로 ‘전통시장 대학협력사업’에 대해 탐문하고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성공 사례는 찾기 힘들 정도였고 상당수 매장이 영업 부진에 시달리고 있었다고 한다.
이와는 달리 청년 주도의 전통시장 개선 정책은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기도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논산화지중앙시장이 있다. 논산화지중앙시장은 ‘청년 10구역 다락’이라고 하는 청년 거리를 조성해 기존의 시장에서는 보기 어려웠던 3D프린팅, 미술 수공예 등을 통해 기존 세대와 현 세대에게 호평받았다. 이 외에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주차장 조성, 야시장 조성을 통한 젊은 세대 겨냥, 즐길 거리 확충을 위한 랩·노래·댄스 대회를 매주 진행하는 등의 정책이 시행되었다.
시사점은 전통시장 개선 정책에도 희망은 있고 선례 또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점점 사라져 가는 전통시장을 되살리기 위해 정부에서 10여 개가 넘는 지원 정책이 시행 중이다. 하지만 수와 양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그 지역의 특성, 시장에 맞는 정책과 장기적인 목표를 가진 정책이다. 전통시장의 경쟁력 쇄신을 위해선 소비 능력이 큰 청년 세대를 잡는 것이 중요한 방안 중 하나일 것이다. 지역의 특성을 담는 것도 한 방안이 될 것이다. “가장 지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는 말이 있는 것처럼 차별화된 지역만의 것을 갖추는 부분도 주요한 과제로 보인다.
주호연 생글기자(상산고 1년) ugin35@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