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질이란, 권력의 우위에 있는 갑이 권리관계의 약자인 을에게 하는 부당 행위를 말한다. 이 뉴스는 뉴욕타임스에도 등장했다. 신문은 ‘Gapjil’ 한국은 봉건시대의 영주처럼 임원들이나 부하직원을 다룬다고 정의했다.
대한민국에서 권력과 돈을 가진 사람들은 아직도 신분제 사회에 산다고 생각하는 것일까? 사회적 지위가 높다고 다른 사람의 인격까지 무시하면 안 된다. 물려받은 ‘부(富)’는 있지만 그에 맞는 교육을 받지 못한 것 같다. 의식수준이 낮은 이유 중 하나는 교육이다. 학교교육, 가정교육을 통해 인성교육을 제대로 받아야 한다.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 인성교육이 소홀하게 되지만 기본예절이 안 되어 있다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기업에서는 경영능력도 중요하지만 도덕적 의무도 검증해야 할 것이다. 소비자들은 합리적 소비도 중요하지만 기업이 윤리적으로 경영되게 하기 위해 윤리 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의 제품을 사는 윤리적 소비도 필요하다.
기업의 목표는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하지만 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커지며 사회적 책임도 커지고 있다. 오너리스크로 그 회사에 다니는 직원들이나 투자한 선량한 피해자가 더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
공가영 생글기자(영일중 3) sohwakong@naver.com
![[생글기자 코너] The Traditional Dance That Healed Me, Cheoyongmu](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6046.3.jpg)
![[생글기자 코너] 경주 APEC에서 확인된 중견국 리더십의 중요성](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6047.3.jpg)
![[생글기자 코너] 국민연금 개혁, 노인 빈곤 문제도 고려해야](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604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