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학들에 수시전형에서 수능 최저등급을 폐지하라고 권고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수능 최저등급 폐지는 쉬운 것 같지만 쉬운 일이 아니다. 폐지로 얻을 수 있는 여러 이점도 있겠지만 문제도 있을 것이다.
수시전형에서 수능 최저등급을 폐지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득은 학생들에게 전공 공부를 먼저 시작할 시간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까지는 수시전형에 합격해도 수능을 반드시 준비해야만 했다. 왜냐하면, 수시전형의 수능 최저등급을 맞추지 못하면 자동으로 탈락하기 때문이다. 최저등급을 폐지한다면 수능을 준비할 시간에 자율적인 전공 공부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 교육의 문제라고도 할 수 있는 과한 수능 의존도를 덜하게 만들 수 있다. 수능은 말 그대로 대학에서의 수학 능력을 판단하는 시험이다. 문제는 나라에 따라 수학 능력을 판단하는 시험의 유형이 판이하다. 따라서 이런 시험들은 참고는 할 수 있겠지만 절대적인 지표로 여기는 것은 옳지 못하다. 그러나 한국 사회는 현재까지 수능에 크게 의존해왔다. 최저등급을 폐지한다면, 이 의존도를 조금이라도 더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최저등급을 폐지함으로써 생기는 문제점도 있다. 대학에서 공부를 수월하게 할 수 없는 학생도 대학에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수능은 절대적인 지표로 여겨서는 안 되는 시험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무시해도 되는 시험은 아니다. 학생의 수학 능력을 대학에 제공해줌으로써 이 학생이 대학에서 공부할 자격이 되는지를 알려주는 시험인데 이것을 무시하는 것은 옳지 않다. 또한, 정부가 교육정책에 대해 간섭해도 된다고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물론 다른 나라에서도 새 정부가 들어서면 교육정책이 바뀔 수도 있지만, 한국은 유독 그런 경우가 심하다. 정권마다 새로운 교육정책을 내세운다. 교육은 백년지계라는 말이 있다. 즉, 통일성 있게 지속되어야 하는데 현재 한국의 교육은 통일성 있는 교육으로는 도무지 보이지 않는다.
수시전형에서의 수능 최저등급 폐지는 첨예한 문제다. 찬성하는 측과 반대하는 측의 논지가 명확하다. 이점도 있지만, 문제점도 있다. 즉,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는 어려운 문제이다. 그렇다면, 이 문제를 당사자인 대학들에 맡겨보는 것은 어떨까? 각 대학이 지금까지 받아들인 학생의 수준을 바탕으로 이 정책을 시행하지 말지를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찬성하는 측과 반대하는 측, 모두의 의견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김기현 생글기자(홈스쿨) kimkihyunoff@gmail.com
수시전형에서 수능 최저등급을 폐지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득은 학생들에게 전공 공부를 먼저 시작할 시간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까지는 수시전형에 합격해도 수능을 반드시 준비해야만 했다. 왜냐하면, 수시전형의 수능 최저등급을 맞추지 못하면 자동으로 탈락하기 때문이다. 최저등급을 폐지한다면 수능을 준비할 시간에 자율적인 전공 공부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 교육의 문제라고도 할 수 있는 과한 수능 의존도를 덜하게 만들 수 있다. 수능은 말 그대로 대학에서의 수학 능력을 판단하는 시험이다. 문제는 나라에 따라 수학 능력을 판단하는 시험의 유형이 판이하다. 따라서 이런 시험들은 참고는 할 수 있겠지만 절대적인 지표로 여기는 것은 옳지 못하다. 그러나 한국 사회는 현재까지 수능에 크게 의존해왔다. 최저등급을 폐지한다면, 이 의존도를 조금이라도 더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최저등급을 폐지함으로써 생기는 문제점도 있다. 대학에서 공부를 수월하게 할 수 없는 학생도 대학에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수능은 절대적인 지표로 여겨서는 안 되는 시험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무시해도 되는 시험은 아니다. 학생의 수학 능력을 대학에 제공해줌으로써 이 학생이 대학에서 공부할 자격이 되는지를 알려주는 시험인데 이것을 무시하는 것은 옳지 않다. 또한, 정부가 교육정책에 대해 간섭해도 된다고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물론 다른 나라에서도 새 정부가 들어서면 교육정책이 바뀔 수도 있지만, 한국은 유독 그런 경우가 심하다. 정권마다 새로운 교육정책을 내세운다. 교육은 백년지계라는 말이 있다. 즉, 통일성 있게 지속되어야 하는데 현재 한국의 교육은 통일성 있는 교육으로는 도무지 보이지 않는다.
수시전형에서의 수능 최저등급 폐지는 첨예한 문제다. 찬성하는 측과 반대하는 측의 논지가 명확하다. 이점도 있지만, 문제점도 있다. 즉,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는 어려운 문제이다. 그렇다면, 이 문제를 당사자인 대학들에 맡겨보는 것은 어떨까? 각 대학이 지금까지 받아들인 학생의 수준을 바탕으로 이 정책을 시행하지 말지를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찬성하는 측과 반대하는 측, 모두의 의견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김기현 생글기자(홈스쿨) kimkihyunoff@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