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학년도 대학입시 전형별 선발 비율은 학생부 교과전형 41.4%, 학생부 종합전형(학종) 24.3%, 그리고 수능 위주가 20.7%였다. 하지만 서울대의 경우 학종 비율이 무려 78.5%를 차지했고, SKY대 평균을 봐도 54.7%에 달했다. 상위권 대학은 학종 선발 인원이 압도적으로 많다는 얘기다. 대학마다 학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그러자 최근 교육부는 주요 대학에 정시 모집인원을 늘려 달라는 요청을 했다고 한다. 이뿐만 아니라 2022학년도 대입 제도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교내 수상 경력과 자율동아리 활동 같은 학생부 기재 항목 축소를 통해 사교육을 줄여 학종의 공정성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결국 학생부에서는 내신과 함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이 중요해지게 됐다. 이 개편안은 8월에 확정 발표될 예정이다. 교육부는 개편안에 대해 “일부 기재 항목이 학생 간 과도한 경쟁과 사교육을 유발하고 학교나 학부모의 지원 정도에 따라 기재 격차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반영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사실 학종은 ‘금수저 전형’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수상 실적, 자율동아리, 소논문 등이 부모의 경제력이나 정보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좋은 결과를 내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학종은 ‘깜깜이 전형’이라고도 불린다. 대학마다 평가 기준을 명확하게 공개하지 않기 때문이다. 평가 기준을 잘 모르다 보니 고액의 입시 컨설팅에 의존하는 사례가 많을 수밖에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하지만 학생부 종합 전형이 최선은 아니더라도 차선이라는 것이 대학 관계자 다수의 의견인 것 같다. 애초에 학종을 도입한 것이 ‘공교육 정상화’가 목표였던 것처럼 내신과 비교과 활동에 근거해 평가하는 방식이어서 사교육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장점이 있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학종 제도는 유지하되 사교육 영향 요인이 많은 수상 실적과 자율동아리, 그리고 정규 교과 외에서 이뤄지는 소논문 활동은 입시에 활용하지 못하도록 한다는 개편안을 내놓았지만, 그것이 과연 옳은 해법인지는 의문이다.
교내 대회의 종류나 횟수 기준을 제시하는 방법도 있는데 부작용이 있다고 해서 무작정 없애는 것이 맞는지 생각해 볼 일이다. 내 경우만 해도 다양한 교내 대회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우고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그리고 자율동아리는 정규 동아리와 달리 같은 전공을 지망하고 있는 친구들과 자율적으로 동아리를 만들어 함께 공부하고 연구하면서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과 협동심을 키울 수 있는 좋은 기회인데 이를 사실상 폐지하는 것은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격’이 아닌가 싶다. 그래서인지 하루가 멀다하고 교육제도를 바꾸는 ‘교육부’부터 바꿔야 한다는 얘기가 더 귀에 들어온다.
김태훈 생글기자(춘천 성수고 2년) kevinkim2001@naver.com
사실 학종은 ‘금수저 전형’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수상 실적, 자율동아리, 소논문 등이 부모의 경제력이나 정보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좋은 결과를 내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학종은 ‘깜깜이 전형’이라고도 불린다. 대학마다 평가 기준을 명확하게 공개하지 않기 때문이다. 평가 기준을 잘 모르다 보니 고액의 입시 컨설팅에 의존하는 사례가 많을 수밖에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하지만 학생부 종합 전형이 최선은 아니더라도 차선이라는 것이 대학 관계자 다수의 의견인 것 같다. 애초에 학종을 도입한 것이 ‘공교육 정상화’가 목표였던 것처럼 내신과 비교과 활동에 근거해 평가하는 방식이어서 사교육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장점이 있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학종 제도는 유지하되 사교육 영향 요인이 많은 수상 실적과 자율동아리, 그리고 정규 교과 외에서 이뤄지는 소논문 활동은 입시에 활용하지 못하도록 한다는 개편안을 내놓았지만, 그것이 과연 옳은 해법인지는 의문이다.
교내 대회의 종류나 횟수 기준을 제시하는 방법도 있는데 부작용이 있다고 해서 무작정 없애는 것이 맞는지 생각해 볼 일이다. 내 경우만 해도 다양한 교내 대회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우고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그리고 자율동아리는 정규 동아리와 달리 같은 전공을 지망하고 있는 친구들과 자율적으로 동아리를 만들어 함께 공부하고 연구하면서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과 협동심을 키울 수 있는 좋은 기회인데 이를 사실상 폐지하는 것은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격’이 아닌가 싶다. 그래서인지 하루가 멀다하고 교육제도를 바꾸는 ‘교육부’부터 바꿔야 한다는 얘기가 더 귀에 들어온다.
김태훈 생글기자(춘천 성수고 2년) kevinkim200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