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 향상, 다이어트, 운동 등 새해나 신학기를 맞으며 사람들은 어김없이 새로운 계획을 세운다. ‘이번에는 꼭 지켜야지’ 다짐하지만 작심삼일이 되는 것이 다반사다. ‘Statistic Brain Research Institute’의 2017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새해 계획을 연말까지 지킨 비율은 전체의 8%에 불과했고 첫주 만에 4분의 1 이상이 실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가 매년 초 또는 새 학기에 야심차게 세운 계획이 작심삼일이라는 덫에 빠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노력과 열정이 부족해서일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한 논문에서는 미래의 만족감보다 현재의 만족감이 더 크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람은 특정 상황에 대해 현재 느끼는 감정을 미래 상황에도 동일하게 느낄 것이라고 예측한다. 즉 새해에 목표를 세우고 결심할 때 느끼는 만족감과 행복이 미래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예측’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새해에 다이어트에 성공한다는 생각은 순간 만족감을 준다. 실제로 체중을 줄이기 위해 일을 하지는 않지만, 체중이 감량하는 생각을 하면 기분이 좋아지게 된다. 우리는 그때 느끼는 행복감이 미래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하지만 실제로 목표를 달성하려고 노력하다 보면 대부분 실천 자체는 행복감을 주지 못한다. 그래서 이를 미루고 당장 자신이 더 큰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일을 우선하게 되는 것이다.
심리학자인 팀 파이킬 캐나다 오타와대 교수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행동과 감정을 분리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예를 들면, 치실 사용을 귀찮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치실 사용을 귀찮다는 감정과 연결하게 된다. 이처럼 행동과 감정이 계속 연결되다 보면 뇌는 그 행동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피하기 위한 습관을 형성하게 된다. ‘치실 사용은 건강에 좋다’와 같이 긍정적인 감정을 불어넣어 좋은 습관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2018년 한 해의 4분의 1이 지나갔다. 야심차게 세운 계획이 ‘작심삼일’이라는 덫에 빠지지 않도록 좋은 습관을 만들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자.
한서연 생글기자(동일중 3년) seoyeon.han.1441@gmail.com
우리가 매년 초 또는 새 학기에 야심차게 세운 계획이 작심삼일이라는 덫에 빠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노력과 열정이 부족해서일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한 논문에서는 미래의 만족감보다 현재의 만족감이 더 크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람은 특정 상황에 대해 현재 느끼는 감정을 미래 상황에도 동일하게 느낄 것이라고 예측한다. 즉 새해에 목표를 세우고 결심할 때 느끼는 만족감과 행복이 미래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예측’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새해에 다이어트에 성공한다는 생각은 순간 만족감을 준다. 실제로 체중을 줄이기 위해 일을 하지는 않지만, 체중이 감량하는 생각을 하면 기분이 좋아지게 된다. 우리는 그때 느끼는 행복감이 미래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하지만 실제로 목표를 달성하려고 노력하다 보면 대부분 실천 자체는 행복감을 주지 못한다. 그래서 이를 미루고 당장 자신이 더 큰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일을 우선하게 되는 것이다.
심리학자인 팀 파이킬 캐나다 오타와대 교수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행동과 감정을 분리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예를 들면, 치실 사용을 귀찮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치실 사용을 귀찮다는 감정과 연결하게 된다. 이처럼 행동과 감정이 계속 연결되다 보면 뇌는 그 행동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피하기 위한 습관을 형성하게 된다. ‘치실 사용은 건강에 좋다’와 같이 긍정적인 감정을 불어넣어 좋은 습관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2018년 한 해의 4분의 1이 지나갔다. 야심차게 세운 계획이 ‘작심삼일’이라는 덫에 빠지지 않도록 좋은 습관을 만들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자.
한서연 생글기자(동일중 3년) seoyeon.han.144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