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계 과학논술 실전대비 5대 포인트
![[2018 대입전략] 교과서 지식에 논리적 서술 보태야 좋아요](https://img.hankyung.com/photo/201710/AA.15034850.1.jpg)
1. 교과서 과학원리를 스토리로 정리하라
자연계 과학논술은 현상에 대한 자기 생각이나 추측을 적는 것이 아니라 자연현상에 대해 과학 개념으로 객관적 사실들과 그 관계를 명확하게 설명하거나 증명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과학원리와 용어의 깊은 이해와 현상의 다양한 적용 훈련이 필요하다. 그런데 교과서에는 과학원리가 나온 배경, 그 내용, 우리의 실생활에서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 등 체계화되고 일관된 설명과 실험 및 증명 과정, 그리고 계산 과정이 있다. 이를 스토리로 정리해두면 기억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단순히 원리와 용어 요약만 돼 있는 참고서 위주의 공부가 과학논술에는 맞지 않는 이유이다.
![[2018 대입전략] 교과서 지식에 논리적 서술 보태야 좋아요](https://img.hankyung.com/photo/201710/AA.15061817.1.jpg)
자연계 과학논술은 수리논술과 달리 배경지식이 필요하다. 평소에 과학에 관한 지식탐구나 학교에서 수행평가 등을 열심히 한 학생이라면 크게 유리하다. 그렇다고 수능까지 얼마 남지 않은 지금, 배경지식을 위해 독서를 강조할 수는 없다. 이때 배경지식의 범주를 특정하기 위해 ‘교과서의 읽기자료’가 매우 유용하다. 또한 교과서 본문과 읽기자료를 통해 얻은 과학원리와 정보를 바탕으로 교과서의 ‘생각해볼 문제’를 풀어보면서 자신의 사고 과정을 적는 것도 좋다. 자신의 과학지식 정도와 논리적 서술능력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물리 과목의 특징과 서술 방법을 고민하라
물리 과목은 자연현상 중 물리법칙에 의한 추론을 하는 것이므로 물리법칙과 이를 통한 계산능력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드론(무인항공기), 무인자동차 등 물리법칙에 따른 창의적 혁신제품이 나오는 상황이기에 더욱 실생활과 연관된 학습이 필요하다. 계산 과정을 통한 물리량의 추론능력, 수학과 연결된 미적분 활용능력, 물리량들의 관계에 대한 일반화 설명능력, 물리적 사고실험에 따른 문제상황 이해력 등이 강조되는 이유다. 역학적 평형, 전자기장 내의 운동, 현대 물리, 신소재, 소리와 빛 부분을 주목해보자.
4. 화학 과목의 특징과 서술 방법을 고민하라
화학 과목은 화학법칙을 화학식으로 대체하고 이를 통한 자연현상의 이해를 탐구한다. 현대 과학의 핵심이고 과학논술의 기초다. 화학반응식의 해석, 루이스전자점식의 루이스구조식, 분자구조, 분자의 극성 관련 사항, 산화환원반응 및 산염기반응, 원자의 주기성과 전자배치, 정량적인 상수값의 계산 과정과 평형 및 자유에너지의 관계에 주목해보자. 특히 통합과학으로 생명현상에 여러 가지 화학원리와 물리법칙이 함께 출제되는 경우가 많은데 복잡하게 보이더라도 제시문을 과목별로 잘 정리하면서 연관성을 파악한다면 제시문 속에서 서술의 근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5. 생명과학 과목의 특징과 서술 방법을 고민하라
![[2018 대입전략] 교과서 지식에 논리적 서술 보태야 좋아요](https://img.hankyung.com/photo/201710/01.15065383.1.jpg)
※ 현민이 추천하는 오늘의 쟁점/사례
<노키아의 몰락과 새로운 혁신들> <창의성의 의미> <이미지와 콘텐츠> <약점과 경쟁력>과 과학의 관련성을 고민해보자[참고: 내 인생 10년 후 p.69 p.97]
현민 < S·논술 입시연구소장 hm6161@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