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가 지배했던 중세가 철학의 암흑시대라지만 '
신'을 중심으로 인간의 행복·존재를 다뤘어요"
[김홍일쌤의 서양철학 여행] (13) 중세철학
흔히 철학사에서 중세라고 하면 ‘암흑의 시대’라고 한다. 이렇게 중세가 암흑의 시대라 불리는 이유는 아마도 종교가 인간의 이성을 속박하였기 때문이리라. 따라서 중세 철학 또한 진지하게 관심을 가질 만한 가치가 없으며, 고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서 곧바로 인간의 이성을 다시 강조하는 데카르트 이후의 근대 철학으로 건너뛰는 것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철학은 신학의 시녀‘라는 비판

[김홍일쌤의 서양철학 여행] (13) 중세철학
철학이란 본래 이성의 힘으로 진리를 추구하는 일일진데, 종교의 권위 아래서 어떻게 진정한 철학이 가능하겠느냐라는 것이다. 중세 철학에 대한 이러한 시각은 학생들을 가르치는 학교 수업 현장에서도 발견하기 어렵지 않다. 그래서 중세 철학 수업은 간단히 “철학은 신학의 시녀”라는 명제를 제시하고 두어 개 학파에 대한 요약 정리로 간단하게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말하자면 중세 철학은 철학사에서 생략 가능한 괄호 안의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중세 철학에 대한 이러한 시각은 19세기 철학자 헤겔에게서도 발견할 수 있다.

헤겔에 따르면 중세 철학은 그리스도교 신앙을 철학적인 용어를 활용하여 형식적으로 반복할 뿐이므로 이는 철학이 아니라 ‘신학’이라는 것이다. 물론 중세 철학도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와 같은 주제를 다루긴 하지만 그것을 다루는 방식은 철학의 방식과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헤겔에 따르면 철학은 어떤 전제도 없이 오직 이성만으로 모든 것을 탐구해야 하는데, 중세 철학은 그리스도교 신앙을 이미 진리라고 전제하고 있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에서 철학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물론 중세 철학에는 비판받을 만한 암흑적 요소들이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중세 철학에 대하여 헤겔과 같은 시각은 철학사의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부분을 간과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성이 빠진 신학

우선 어떤 철학이든지 그 철학에서 다루는 문제는 당대의 사람들이 중요시하는 사회적인 필요와 무관해서는 무의미하다는 점이다. 철학사에서 중세의 위치를 생각할 때 중세 사람들에게는 ‘신’이라는 문제는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매우 중요한 문제였다. 그들의 절실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 시대나 그 시대의 ‘지평’을 구성하는 중심적인 문제가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쉽게 공감이 될 것이다. 예컨대 근대의 철학이 ‘인간’(과 그 자유)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듯이 말이다. 마찬가지로 중세 철학은 인간을 뛰어 넘는 ‘신’이라는 초월적인 존재 개념을 축으로 전개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철학이 신학에 종속되어 있다고 생각했다기보다는 중세 사람들에게는 철학도 이러한 틀에서 생각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었으며, 흥미도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해야 하지 않을까. 그래서 중세 철학에서는 ‘신’이라는 개념을 축으로 하면서, 인간의 인식 가능성과 행복 문제, 존재의 문제, 선의 문제 등을 다루었다.

데카르트에 영향을 준 중세철학

이렇게 보면 고대 그리스 철학이 중세의 암흑기를 지나고 나서 르네상스에서 ‘부흥’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중세 철학에 대한 편견의 소치다. 오히려 그리스 철학에서 제시된 문제가 중세에서는 다른 맥락에서 탐구되고 결론이 제시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르네상스나 근대의 철학은 중세 철학에서 탐구된 결론을 이어받은 형태로 시작된 것이다. 아닌게 아니라 데카르트, 스피노자에게 중세 철학이 미친 영향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었다.

예컨대 근대 철학의 선구자인 데카르트의 그 유명한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라는 명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인식론을 이어받아 발전시킨 것이었다. 이제 아우구스티누스의 주장을 따라가 보자. 아우구스티누스는 “진리 인식은 도저히 불가능하다”라는 회의론자들의 주장에 대하여 아무리 회의(의심)를 해도 흔들리지 않는 하나의 확실한 사실이 엄연히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의심하고 있는 자신의 존재가 바로 그것이다. “내가 만일 오류에 빠진다면, 나는 존재한다.” 내가 생각하는 모든 것이 의심스럽고, 어떤 사실에 대해 잘못 알거나 악령에 속아 넘어갈지라도 그렇게 의심하고 속는 나 자신만은 존재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여기서 근대 철학의 새로운 장을 연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라는 명제의 선구적인 모습을 만나게 된다. <서울국제고 교사>

생각해봅시다

중세는 종교의 시대다. 종교는 신을 절대적인 존재로 상정한다. 인간 이성을 중시하는 철학과 마찰을 일으키는 이유다. 종교와 철학의 차이점을 고민해 보자. 중세는 철학 부재(不在)의 시대였을까?

김홍일 < 서울국제고 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