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 아듀 2015, 헬로 2016
이코노미스트는 ‘2016 세계경제대전망’을 통해 ‘청색경제(blue economy)’로 불리는 해양 비즈니스를 집중 조명했다. 청색경제는 바다를 경제적인 신(新)개척지이자 산업화의 새로운 국면으로 여기는 기조를 가리키는 말이다. 해양은 해상운송과 해저케이블, 해양석유 및 가스, 어업, 관광 등 많은 분야에서 이미 산업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해상운송은 2030년까지 2~3배 늘어날 전망이다. 해양석유는 전체 석유 생산량의 약 50%를 차지할 만큼 늘어날 수 있다.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양식, 연안 관광, 해양 생명공학, 해양 에너지, 해저면 광물개발의 5대 성장 분야를 발표했다. 이들 분야에서 2020년까지 약 160만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분야의 성장을 상징하는 색상을 명목상 청색(blue)이라고 부른다. 친환경적 녹색성장(green growth)과 녹색경제(green economy) 등에서 힌트를 얻은 말이다. 환경단체인 세계야생동식물기금(WWF)은 올해 보고서에서 세계 연간 총 해양생산 규모를 약 2조5000억달러로 추정했다.
청색경제에 대한 경고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유럽 해양위원회는 수심 200m 이상의 바다를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는 ‘심해 청색경제’의 위험성을 우려한다. 지금까지 개발되지 않고 접근할 수 없었던 심해가 새로운 기술 덕분으로 개방되고 있지만, 심해의 취약한 생태계가 제대로 이해되기도 전에 손상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이정선 한국경제신문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