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온라인 기반 콘텐츠로 개발
금융 교육을 통해 중학생이 달성할 수 있는 학습 목표인 금융 교육 표준안을 토대로 5개 단원, 17개 주제로 구성됐다. 금융과 의사결정, 수입지출 관리, 저축과 투자, 신용과 부채관리, 위험관리와 보험 등 총 5개 단원에는 각각 3~4개의 주제가 포함돼 있다. 이번 중학생 대상 금융 콘텐츠는 중학생 수준에 맞는 사례와 소재를 다양하게 활용해 학습 흥미를 유도하고 스스로 진로를 탐색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높은 완성도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중학교 금융 교과서 ‘생활 금융’ 집필진 및 교사 등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반영했다.
또 캐릭터가 설정돼 있고 애니메이션 효과 등을 주어 금융을 어렵지 않고 친근하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학습 방법은 금감원 금융교육센터 홈페이지(edu.fss.or.kr) 금융 교육 교과서를 클릭하거나 CD를 신청할 수 있다.
![[수능에 나오는 경제·금융] 한도 묶여 주식 팔 수도…코스피 상승에 '찬물' 우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6030.3.jpg)
![[경제학 원론 산책] 금융이 민간저축을 자본재 투자로 연결시키죠](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6010.3.jpg)
![[경제야 놀자] 정부는 돈 푸는데…서민 지갑은 왜 얇아지나](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5947.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