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다이아몬드홀 문을 열자 나와 같은, 경제에 관심 있는 친구들이 자리를 가득 채우고 있었다. 신동열 부장님의 재치 있는 입담으로 홀의 서먹서먹한 분위기가 풀린 후 집필진 소개가 있었다. 생글생글에서 사진으로만 보던 분들을 만나서 영광이었다.
이승훈 서울대 교수는 미시경제학을 강의했다. 미시경제를 10대 원리로 요약해 이해하기 쉽게 풀어줬다. 노택선 한국외대 교수는 거시경제학에서 꼭 알아야 하는 공식 등 기초지식을 알려줬다. 평소 생글생글 시사경제상식퀴즈로 익힌 경제 용어들을 강의에서 접하니 신기하면서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가장 기억에 남았던 강의는 2일차에 있던 박정호 KDI 전문연구원의 ‘문화 속 경제학’과 민경국 강원대 교수의 ‘경제 사상사’ 강의였다. ‘문화 속 경제학’은 우리 생활, 심지어 예술작품마저도 경제와 연관돼있다는 새로운 시각을 일깨워 줬다. 경제 사상사는 경제이론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자기소개서와 면접 대비 특강은 입시를 준비하는 데 많은 팁을 주었고 명문대 멘토들과의 Q&A 시간은 효율적인 공부방법과 모든 부분에 열심히 참여하는 의지가 중요하다는 큰 교훈을 남겼다.
마지막 날 진행된 조별 토론에서 2박3일간 조원들과 준비한 PPT 발표를 담당하게 되었는데, 미흡한 점도 있었지만 준비하면서 조원들과 한층 가까워졌고 ‘수학여행 폐지’라는 이슈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지게 됐다.
김근아 영복여고 2년 kka971005@naver.com
![[수능에 나오는 경제·금융] 한도 묶여 주식 팔 수도…코스피 상승에 '찬물' 우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6030.3.jpg)
![[경제학 원론 산책] 금융이 민간저축을 자본재 투자로 연결시키죠](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6010.3.jpg)
![[경제야 놀자] 정부는 돈 푸는데…서민 지갑은 왜 얇아지나](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5947.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