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기업’이라는 말이 요즘 자주 등장한다. ‘기업이면 기업이지 사회적 기업이란 것도 있나’라는 질문을 해보게 된다. 사회적 기업의 정의는 이렇다. ‘수익 창출보다 취약계층 보호 등 사회적 목적을 우선 추구하면서 재화·서비스의 생산·판매 등 영업활동을 하는 조직.’
이 안에는 많은 내용이 함축돼 있다. 사회적 기업은 영리 추구를 최우선시하는 민간기업과 차원이 다르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렇다고 자선단체나 사회복지법인이 되겠다는 것은 아니다. 기부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이들과 달리 생산·판매활동으로 돈을 벌어 자생한다는 점에 방점이 있다. “사회적 기업은 두 마리 토끼(사회적 명분+영리)를 다 잡으려는 착한 기업”이라는 칭찬을 듣는 이유다.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기업은 2007년 7월 생겨났다. 당시 정부는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는 기업을 만들기 위해 ‘사회적 기업 육성법’을 제정했다. 지난 5월 말 현재 사회적 기업으로 확정된 인증기업 수는 828개, 인증 전 단계인 예비기업 수는 1200여개 등 총 2000여개에 달한다. 정신지체 장애인이 우리 밀 과자를 생산하는 ‘위캔’, 컴퓨터 재활용 기업 ‘컴윈’, 장애인 모자생산업체 ‘동천모자’ 등이 대표적인 기업이다.
이들 기업은 현재 2만명가량을 고용하고 있다. 이 중 장애인 등 취약계층자 수는 1만2000명에 달한다. 적지 않은 취약계층 고용 실적이다. 노동생산성을 따져야 하는 민간기업들이 전적으로 고용할 수 없는 취약계층을 사회적 기업이 의무적으로 고용한 결과다. 사회적 기업이 없다면 이들 중 대부분은 실업 상태에 놓일 게 뻔하다.
정부가 예산을 들여 이들을 적극 뒷받침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는 2009년부터 작년 말까지 6746억원을 지원했다. 올해 사업에도 1658억원이 책정돼 있다. 인건비의 80%가 예산으로 지급된다. 1인당 월급은 평균 110만원 정도다. 노인과 장애인들이 만든 제품은 공공기관이 우선 구매하는 등 판로도 열어준다.
최근에는 민간기업들도 사회적 기업을 지원해주고 있다. 삼성과 현대자동차그룹은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고, 경영 노하우를 지원해주고 있다. LG그룹과 SK도 판로 개척과 생산성 향상 컨설팅에 적극적이다.
하지만 사회적 기업도 자생력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정부 예산에만 전적으로 의존하다 보면 두 마리 토끼를 다 놓칠 수 있다는 얘기다. 소비자와 시장을 사로잡을 경쟁력 있는 제품을 내놔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는 이유다. 4, 5면에 걸쳐 기업과 사회적 기업의 역할이 어떻게 다른지 짚어본다.
고기완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dadad@hankyung.com
이 안에는 많은 내용이 함축돼 있다. 사회적 기업은 영리 추구를 최우선시하는 민간기업과 차원이 다르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렇다고 자선단체나 사회복지법인이 되겠다는 것은 아니다. 기부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이들과 달리 생산·판매활동으로 돈을 벌어 자생한다는 점에 방점이 있다. “사회적 기업은 두 마리 토끼(사회적 명분+영리)를 다 잡으려는 착한 기업”이라는 칭찬을 듣는 이유다.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기업은 2007년 7월 생겨났다. 당시 정부는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는 기업을 만들기 위해 ‘사회적 기업 육성법’을 제정했다. 지난 5월 말 현재 사회적 기업으로 확정된 인증기업 수는 828개, 인증 전 단계인 예비기업 수는 1200여개 등 총 2000여개에 달한다. 정신지체 장애인이 우리 밀 과자를 생산하는 ‘위캔’, 컴퓨터 재활용 기업 ‘컴윈’, 장애인 모자생산업체 ‘동천모자’ 등이 대표적인 기업이다.
이들 기업은 현재 2만명가량을 고용하고 있다. 이 중 장애인 등 취약계층자 수는 1만2000명에 달한다. 적지 않은 취약계층 고용 실적이다. 노동생산성을 따져야 하는 민간기업들이 전적으로 고용할 수 없는 취약계층을 사회적 기업이 의무적으로 고용한 결과다. 사회적 기업이 없다면 이들 중 대부분은 실업 상태에 놓일 게 뻔하다.
정부가 예산을 들여 이들을 적극 뒷받침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는 2009년부터 작년 말까지 6746억원을 지원했다. 올해 사업에도 1658억원이 책정돼 있다. 인건비의 80%가 예산으로 지급된다. 1인당 월급은 평균 110만원 정도다. 노인과 장애인들이 만든 제품은 공공기관이 우선 구매하는 등 판로도 열어준다.
최근에는 민간기업들도 사회적 기업을 지원해주고 있다. 삼성과 현대자동차그룹은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고, 경영 노하우를 지원해주고 있다. LG그룹과 SK도 판로 개척과 생산성 향상 컨설팅에 적극적이다.
하지만 사회적 기업도 자생력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정부 예산에만 전적으로 의존하다 보면 두 마리 토끼를 다 놓칠 수 있다는 얘기다. 소비자와 시장을 사로잡을 경쟁력 있는 제품을 내놔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는 이유다. 4, 5면에 걸쳐 기업과 사회적 기업의 역할이 어떻게 다른지 짚어본다.
고기완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dad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