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동의보감 400년…시공을 초월한 醫書
“내용이 독창적이고 귀중하며 오늘날에도 적용할 수 있는 동아시아의 중요한 기록유산이다. 세계 의학지식을 보존한다는 의미가 있다. 현대 서양의학 이전에 동아시아인 보건에 도움이 됐고, 서양의학보다 우수한 것으로 인정받는 분야도 있다.”

유네스코는 2009년 7월 의학서적으로는 최초로 ≪동의보감≫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했다. 유네스코가 밝힌 ‘등재 이유’는 한마디로 ‘한의학계의 바이블’로 불리는 동의보감이 400년이란 시공을 초월해 그 가치가 여전히 빛나고 있음을 말해준다. 조선시대 명의이자 의학자, 어의(御醫)였던 허준(許浚·1539~1615)이 17년에 걸쳐 집필한 동의보감은 한의학사의 최고봉으로 꼽힌다. 조선후기 르네상스를 이끈 호학의 군주 정조가 “의학도 유술(儒術)의 하나다. 동서의 의서(醫書)들 중 우리나라에 적합한 것은 오직 양평균 허준의 동의보감”이라고 격찬한 것은 동의보감이 단순한 의학서적을 넘어 세계관·인체관이 함께 담긴 의학·철학서임을 함의한다.

임진왜란 중에 백성들이 전쟁으로, 병으로 죽어가는 것을 지켜보던 선조는 허준에게 의학서적 편찬을 명한다. 아울러 우수한 처방을 찾아낼 것, 약을 쓰지 않고도 건강을 지키는 방법을 연구할 것, 구하기 쉬운 약재를 사용할 것 등 몇 가지를 당부한다. 동의보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대목이다. 동의보감에는 향약(鄕藥·우리나라 자생 약재) 637종의 효용이 한글로 적혀 있다. 전쟁 속에서 고통받는 백성들에게 쉽게 치료할 수 있는 길을 터놓은 것이다. 기존의 전통의학 이론에 방대한 경험을 접목한 것 역시 동의보감이 한국 한의학을 대표하는 고유명사로 자리잡은 이유다. ‘동의보감에 따르면…’은 바로 처방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표현이 됐다.

동의보감은 약재의 효용 나열에만 그치지 않고, 인간의 건강을 정(精) 기(氣) 신(神)이라는 양생(養生)적 차원으로까지 확대했다. 도교에 철학적 기반을 둔 양생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생명의 정기를 기르는 것을 의미한다. 동의보감은 청정한 마음을 갈고 닦으라고 강조한다. 병의 예방에는 자연의 질서를 거스르지 않고 순응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것이다. 동의보감의 핵심은 순환이다. 혈의 순환, 기의 순환이 바로 건강이다. 통즉불통(通則不通·통하면 아프지 않다)은 동의보감의 맥을 짚는 사자성어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은 말 그대로 ‘우리 의학의 보배로운 거울’이다. 동의는 중국 의학과 구별되는 조선 의학을 의미하는 것으로 중국을 뛰어넘으려는 허준의 자존심이 엿보인다. 연암 박지원이 1763년 중국 사신으로 가서 베껴온 중국판 동의보감 서문에는 ‘동의보감을 보급하는 것은 천하의 보배를 나눠 갖는 것’이라고 적혀 있었다니 충분히 근거있는 자존심이다.

올해로 동의보감이 출간된 지 만 400년이다. 무구한 세월이 흘렀지만 동의보감은 단순한 고전에 머물지 않고 오늘날에도 학문·실용적 가치가 여전히 빛나는 ‘한의학 백과사전’이다. 4, 5면에서 동의보감의 내용과 의미, 동·서양의학의 차이점 등을 상세히 살펴보자.

신동열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shin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