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뜀박질하는 물가··· 서민 살림에 '주름살'
요즘 '장보기가 겁난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주요 식료품 가격이 1년 전보다 두 배 이상 올라 예전 생각을 하고 시장이나 마트에 갔다가는 살 수 있는 물건이 별로 없다.

배추 무 등 농산물은 물론 라면 두부 등 가공식품 가격도 큰 폭으로 뛰었다.

식료품 가격만 오른 것은 아니다.

기름값도 급등,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평균 가격은 2008년 8월 이후 처음으로 ℓ당 1800원을 넘어섰다.

ℓ당 2000원을 받는 주유소들도 있다.

지방자치단체들은 버스 요금,상 · 하수도 요금,쓰레기봉투값 등 공공요금을 올릴 조짐이고 식당 음식값을 비롯한 개인 서비스 가격도 불안하다.

새해 벽두부터 물가가 전방위적 오름세를 보이자 정부는 물가 상승세를 억제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밝히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4일 청와대에서 열린 올해 첫 국무회의에서 "물가와의 전쟁이라는 생각을 갖고 물가 억제를 위해 노력했으면 한다"며 "각 부처가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부가 물가 안정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이는 것은 물가가 서민 생활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더구나 최근 물가는 식료품 기름값 등 서민 생활에 밀접한 품목을 중심으로 오르고 있어 서민들이 체감하는 고통은 더욱 크다.

물가 상승세를 그대로 두면 정부가 목표로 한 올해 5% 경제성장률 달성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

물가 상승은 소비자들의 실질 구매력을 약화시켜 소비를 위축시키고, 소비 위축은 생산 감소와 고용 감소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석유 구리 등 원자재 가격 상승은 한국처럼 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은 나라에는 더욱 큰 부담이 된다.

원자재 수입 가격이 상승해 비용 부담은 높아지는 반면 공산품 등 수출품의 가격은 쉽게 올릴 수 없어 외국으로부터 벌어들이는 소득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에도 불구하고 단기간에 물가를 안정시킬 수 있는 뚜렷한 대책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정부는 배추 등 채소 가격 상승이 본격화한 지난해 9월부터 거의 한 달에 한 번꼴로 수입 물량 확대 등의 물가안정 대책을 내놓았지만 물가 상승세를 억제하는 데 실패했다.

최근 물가 상승은 세계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한국 외에도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들은 물가 상승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지난해 11월 중국의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5.1% 상승, 2년4개월 만에 가장 높았고 브라질의 지난해 12월 물가상승률은 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엄청난 돈을 공급한데다 경기 회복으로 투자가 살아나면서 원자재 수요가 크게 늘고 있는 것이 물가 상승의 배경이다.

물가는 왜 오르는지, 그리고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4,5면에서 자세히 알아보자.

유승호 한국경제신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