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위적 교육제도에

불만 품은 학생들 반기

사회전반으로 좌파사상 확산
[Cover Story] 68혁명은 어떻게 시작됐나…
프랑스 68혁명은 1968년 3월 파리 낭테르대(현재 파리 10대학) 학생들이 '여자 기숙사를 개방하라'라는 슬로건을 갖고 학내 집회를 가짐으로써 시작되었다.

남자 기숙사는 여학생이 출입할 수 있으나 여자 기숙사에 남학생 출입을 금지시키는 것은 불평등하다며 시작된 집회는 '사랑할 수 있는 자유'를 명분으로 급속히 확산되었다.

파리 당국은 2개월 넘게 지속된 이 시위를 중단시키기 위해 낭테르대를 임시 폐교하게 된다.

하지만 폐교 조치는 학생들을 거리로 내몰아 사태를 복잡하게 만들었다.

대학생 8명이 미국의 베트남 침공에 항의해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파리 사무실을 습격했다가 체포되자 학생들은 낭테르대 본부를 점거했다.

슬로건은 남녀 평등과 여성해방, 학교와 직장에서의 평등, 반전·반핵 등 사회 전반의 문제로 확산되었다.

마침내 5월 학생과 연합한 노동자들이 총파업에 들어가면서 한 달 이상 국가 기능이 마비되는 최악의 사태가 벌어졌다.

샤를 드골 정권은 국민의 신임을 묻기 위해 의회를 해산하고 6월 총선거를 실시, 국민으로부터 지지를 받았으나 다음해 국민투표에서 패배해 퐁피두에게 대통령 자리를 내주게 된다.

이후 학생 시위는 줄어들었나 성개방, 반전사상, 평등주의사상, 환경보호운동은 계속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파리 5월 혁명 즈음 미국에서는 4월 뉴욕 컬럼비아대 학생들이 베트남전에 항의하며 학교 행정 부서를 점거했고, 일본에서는 1969년 1월 전학공투회 소속 학생들이 도쿄대 야스다 강당을 점거하고 도쿄대 해체를 요구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학생들의 좌익 운동이 휩쓸었다.

⊙ 68운동의 배경

1960년대 학생 운동은 표면상 전후 베이비 세대들이 기존의 권위주의 질서에 저항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운동을 주도한 학생들을 보면 모두 네오마르크시즘을 추종하고 있다.

즉 기존의 혁명적 좌파사상에는 반대하면서도 자본주의를 비판하고 개선해 보자는 유토피아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다.

당시 유럽은 낭비적인 소비사회를 비판하고 "이는 자본주의 자체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는 도식이 유행했는데 많은 학생이 영향을 받았다.

68혁명을 주도한 학생들은 소위 3M으로 불리는 마르크스 마오쩌둥 마르쿠제의 사상으로 무장되어 있었다.

또 프랑스 학생들은 실존주의 철학자인 샤르트르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었다.

프랑스 68혁명은 권위적인 교육제도에 대한 학생들의 불만이 기폭제가 되었다.

당시 프랑스는 제2차 세계대전 후 베이비붐의 영향으로 제4공화국 말 17만명이던 대학생 인구가 10년 만인 1968년 60만명 선으로 증가했으나 교육시설은 이를 따르지 못하고 있었다.

또 학생들은 관념 위주인 탁상공론식 대형 강의실 수업에 염증을 느꼈고 졸업 시험에서 3분의 2가 탈락하는 상황에 대해 불만이 팽배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엄격한 기숙사 생활의 자유화를 주장하는 학생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낭테르대를 임시 폐교시킨 조치가 학생들의 불만을 폭발시킨 것이다.

⊙ 68운동의 영향

68혁명으로 서구 사회는 성이 개방되고 히피족이 등장하는 등 문화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서독에서는 경영위원회에 노동조합원이 참여하는 등 평등주의가 직장 학교 사회 곳곳으로 확산되었으며 '로마클럽 보고서' 발표(1971년)와 더불어 환경보호운동도 본격적으로 벌어졌다.

환경보호운동에 앞장선 대표적인 인물은 오스트리아 태생의 앙드레 고르즈로.

그는 생산 수단의 국유화로는 인간 소외를 극복할 수 없다고 보고 의사결정 과정에 노동자들이 참여하는 정치적 생태주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급진적인 생태론적 환경보존주의를 주창했다.

여권신장 운동도 확산되었다.

최초의 여권신장을 위한 조직은 'Politique et Psychanalyse(정치와 정신분석)'이라는 단체로 마르크스의 사적유물론과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을 접목하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박주병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jbpark@hankyung.com

<용어풀이>

◆프랑크푸르트 학파(Frankfurt School)

1930년대 이후에 프랑크푸르트의 사회 연구소를 무대로 활약한 철학자 그룹.

중심 인물로 호르크하이머,아도르노,마르쿠제,하버마스 등이 있다.

그들은 정통파 마르크스주의와 교조주의에 반대했지만 마르크스주의 사상의 기본 내용들은 계승했다.

또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미국 사회학의 방법론을 결합시켜 현대산업사회에 대한 비판이론을 전개했다.

이런 신좌익 사상을 담은 비판이론을 네오마르크시즘이라 하며 68혁명에 사상적 영향을 주었다.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마르크스의 유물사관을 극복하기 위해 프로이트,실존주의,헤겔의 관념론 등을 수용했다.

인간 해방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는 마르크스주의와 다를 것이 없지만 적지 않은 차이도 있다.

마르크스주의가 하부구조 분석,정치경제학 분석,객체의 철학이라고 한다면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상부구조 분석과 도구적 이성 비판,주체의 철학을 주장하였다.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왜 자본주의 성숙이 노동자 계급의 계급투쟁을 통한 사회혁명을 불러오지 못하였는가라는 의문을 가지게 된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왜 유럽 전역에 퍼지지 않았는지를 물으면서 사회철학의 기초로 삼았던 것.

◆마르쿠제 (Herbert Marcuse 1898~1979)

독일 출생의 미국 철학자로 아도르노,호르크하이머와 함께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일원이다.

특히 고도 산업사회에 있어 인간의 사상과 행동이 체제(體制) 안에 완전히 내재화하여 변혁력을 상실하였음을 예리하게 지적한 '일차원적 인간'(1964)은 그의 최대 걸작으로 꼽힌다.

그의 '절대거부(絶對拒否)'의 정신에 바탕을 둔 문화·사회이론은 많은 학생과 젊은이들의 공감을 얻었으며 신좌익운동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