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교과서는 이들을 근현대화 과정에서 한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시장 경제의 초석을 다진 선구자로 보았다.
대안교과서는 또 두 인물을 국민국가 건설과 눈부신 경제 성장을 이끈 대한민국 정치,경제 발전의 일등공신으로 꼽았다.
하지만 이들은 정권의 장기 집권을 위해 반민주적 독재 정치를 선택하는 등 적지 않은 실정을 했다는 점에서 민족·인권주의를 중시한 기존 역사서들에 의해 신랄한 비판도 받아왔다.
똑같은 사건이나 인물이라도 보는 시각이 왼쪽이냐 오른쪽이냐에 따라 해석이 크게 엇갈릴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안교과서 근현대사에 나온 주요 인물에 대한 평가를 기존의 역사 교과서와 비교해 살펴보기로 하자.
⊙ 이승만과 김구
대안교과서는 "대한민국 정부 초대 대통령 이승만의 정치 이념과 정책은 자유민주주의,반공주의,반일정책,북진통일"이라며 "공산주의 국제세력의 공세로부터 대한민국을 방어하고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자유시장경제 기틀을 잡는 데 어느 누구와도 나눌 수 없는 커다란 공훈을 세웠다"고 평가한다.
또 미국과의 관계에 있어 뛰어난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는 등 당대의 어느 정치가보다 탁월한 시야를 갖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미국이 동아시아의 질서를 일본 중심으로 재편하려 할 때 미국의 요구를 거부하면서 자립적 국가경제를 위한 독자적인 공업화정책을 추구했다고 치켜세웠다.
그 밖에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한국에 원자력연구소 문을 열게 하는 등 미래를 내다보는 선구자적 안목을 갖춘 인물로 보았다.
김구에 대한 평가에는 상대적으로 인색했다.
대안교과서는 "통일정부 수립을 논의하기 위해 38선을 넘어 평양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한 김구는 김규식과 함께 1948년 4월 단독선거를 막고자 평양을 방문했지만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며 "교섭 실패 후 김구는 대한민국의 건국 과정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서술했다.
한편 현행 교과서 중 하나인 금성출판사의 교과서(금성교과서)는 "이승만은 제1차 미·소 공동위원회가 중단되자 곧바로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을 주장해 분단 고착화를 가져왔다"고 평가 절하한 반면 통일정부 수립에 앞장 선 김구의 노력은 높게 평가했다.
금성교과서는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에 대해 이승만은 찬성한 반면 김구 김규식 등 민족주의자들과 중도적 입장을 취하던 정치 세력들은 북한과 협상을 통해 남북 분단을 막으려 했다"고 강조했다.
또 "이승만 정부는 집권 후 부패 척결이나 친일파 청산 등 민중의 요구에는 소극적으로 대처하면서 권력을 강화하는 데 힘을 쏟아 점차 민심이 등을 돌렸다"고 표현해 이승만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곳곳에 드러냈다.
⊙ 박정희
대안교과서는 5·16을 쿠데타로 규정하면서도 "박정희의 등장은 근대화 과제를 강력히 추진할 새로운 리더십을 갖춘 정치집단이 부상하는 토양을 제공했다"고 서술했다.
또 "그는 식민지로 전락한 한국민족의 사대주의,자주 정신의 결여,게으름,명예심의 결여를 증오했으며 그 결과로 빚어진 민중의 고난과 가난에 근원적으로 분노하였다"고 표현함으로써 경제 성장을 정책의 최우선 목표로 삼은 그의 사상적 배경을 설명했다.
"비타협적 권위주의 통치가 한국 사회에 역사적으로 축적돼 온 성장의 잠재력을 최대로 동원하는 역설적 결과를 낳았다"고 평가해 이 시대가 가지고 있었던 이중적 측면을 모두 포괄하는 방식을 취했다.
유신 또한 개인의 권력욕만으로는 충분히 설명될 수 없는 커다란 변화를 한국인에게 안겨줬다고 얘기했다.
반면 금성교과서를 비롯한 다른 역사교과서는 박정희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고 유신으로 독재 체제를 구축한 것에만 무게를 두고 있다.
국가안보와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 정치적 안정이 중요하다는 구실을 내세워 강압적인 통치를 펼쳤다는 것이다.
⊙ 이병철과 정주영
대안교과서는 이례적으로 한국이 경제적으로 성장하는 데 기업인들의 역할도 중요했다고 기술했다.
대표적 기업가로 삼성과 현대를 각각 창업한 이병철과 정주영을 꼽았다.
이병철에 대해서는 1978년 한국반도체를 인수해 삼성반도체를 설립함으로써 오늘날 한국의 전자산업과 반도체산업을 개척한 인물로,정주영은 저돌적 경영의 수많은 일화 남겼는데 이는 고도성장기 한국인의 개척 정신을 상징적으로 대표한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