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교양 기타
마르코 폴로의 동방 견문록
■ 기억해 주세요^^ 마르코폴로가 죽기 직전 가톨릭 사제가 동방견문록에서 한 거짓말을 모두 철회하라’고 하자 그는 ‘제가 보고 겪은 것의 절반도 말하지 못했다’라고 답했다죠. 우주에는 지구 이외에 생명체가 살고 있는 별이 있을까? 미생물까지를 포함한다면, 답은 99.9% ‘네’다. 그렇다면, 인류 이외의 고등생명체가 살고 있는 별도 있을까? 있을 가능성이 높다. 과학자들의 이야기다. 20...
-
과학 기타
'돈 안되는 과학'에 공들이는 회장님
“단백질 하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지난 5일 서울 용산구 블루스퀘어 공연장에 자리한 카오스재단 강연장에서 김성훈 서울대 분자의학바이오제약학과 교수의 ‘단백질 : 3차원의 마술사’ 강연이 열렸다. 강연장에는 오전부터 내린 봄비에도 불구하고 청중 200여명이 찾아 자리를 꽉 채웠다. 퇴근 후 들른 직장인부터 학교 수업을 마친 중·고등학생까지 강연장을 찾은 이들의 연령대는 다양했다. 이들의 ...
-
진로 길잡이 기타
제4회 한경금융NCS 오늘부터 접수해요^^
금융부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민간자격시험 1호인 한경금융NCS가 5월27일 제4회 시험을 치른다. 한경금융NCS관리위원회는 제4회 시험을 일정대로 치르기로 하고 10일부터 응시원서를 받는다고 발표했다. 시험 분야는 한경금융NCS1종과 파트A, 파트B 등 세 종류다. 1종 시험은 창구사무, 기업영업, 카드영업, PB영업, 외환무역 등 5개 과목에서 문제가 나온다. 파트A는 창구, 기업, 카드 등 3개 과목이며 파트B는 PB영업과 외환무역 ...
-
커버스토리
'혁신 아이콘' 편의점이 달라졌어요 !
편의점은 하루 24시간 불을 밝힌다. 라면과 삼각김밥을 놓고 이야기꽃을 피우는 학생들, 계산을 마치자마자 걸음을 재촉하는 직장인, 커피 한 잔을 마시며 쉬어가는 중년의 기사, 창고를 분주히 오가는 아르바이트생…. 거리 곳곳에 들어선 편의점에서 흔히 보는 풍경이다. 대한민국에선 하루평균 10개꼴로 새로운 편의점이 문을 연다. 국내 편의점 수는 지난해 말 기준 3만2611개. 연간 매출은 5년 새 두 배로 불어나 20조원을 돌파했다....
-
커버스토리
세계 다섯번째로 높은 건물…'롯데월드타워' 구경 가볼까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빌딩은?” 정답은 서울 송파구에 있는 롯데월드타워다. 123층짜리로 높이 555m를 자랑한다. 한국을 대표하는 상징물(랜드마크) 중 하나로 자리매김할 롯데월드타워가 착공한 지 2280일 만인 지난 3일 웅장한 모습을 드러냈다. 롯데는 화려한 불꽃쇼 전야제로 공식 개장을 알렸다. 잠실벌을 수놓은 3만여 발의 불꽃에 시민들도 환호로 축하했다. 사진에서 보이는 롯데월드타워 모습이 멋지다. 롯데 측은 ...
-
경제 기타
롯데월드타워는 한국 상징하는 '키다리 랜드마크'…부르즈 할리파 등 세계 초고층 빌딩과 '어깨 나란히'
■ 금주의 시사용어 랜드마크 랜드마크(landmark)는 원래 탐험가나 여행자 등이 특정 지역을 돌아다니던 중에 원래 있던 장소로 돌아올 수 있도록 표식을 해둔 것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오늘날에는 뜻이 더 넓어져 건물이나 조형물 등이 어떤 곳을 상징적으로 대표하는 의미를 가질 때 사용된다. 우리나라에서 최고로 높고, 세계에서 다섯번째로 키가 큰 한국의 랜드마크 ‘롯데월드타워’가 지난 3일 개장했다. 이번 기회에 세계 ...
-
경제 기타
5월13일(토) 제41회 테샛시험…도전하세요!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생글생글을 만드는 한국경제신문은 국가공인 테샛(TESAT) 제41회 시험 원서를 5월1일 밤 12시까지 접수합니다. 테샛은 한경이 국내 저명 경제·경영학 교수들과 함께 개발한 국내 1호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으로 취업을 앞둔 대학생은 물론 경제를 공부하는 고교생도 많이 응시하고 있습니다. 3급 이상자는 고교 생활기록부에 점수 기재가 가능합니다. 특히 상경계에 관심있는 학생이라면 한번 도전해보...
-
경제 기타
한국·중국·일본 모두 출산율 하락으로 끙끙 앓아요 !
이 그래프는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실이 발행하는 ‘한경 비타민’ 2015년 1월15일에 실렸다. 한국 중국 일본이 출산율 하락으로 고민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3국 모두 한 자녀 시대 유엔이 2012년 세계인구를 2020년까지 예측했다. 이 그래프는 방대한 데이터 중 한국과 중국, 일본 전망만 발췌한 부분이다. 1975년을 기준으로 그래프는 시작된다. 1975년 한 여성이 평생 낳은 자녀 수, 즉 합계출산율은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