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중·고교에서 수학포기자가 늘어나는 이유

    이과는 수학이 필수적인 요소로 꼽히지만, 문과는 수학이 이과만큼 중요하지도 않고,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포기하는 것이다. 요즘 사람이라면 다들 들어봤을 ‘수포자’라는 단어는 수학포기자의 줄임말이다. 초등학교 때는 단순 산수였던 수학이 중·고등학교에 올라가면서 갑작스레 어려워져 수학을 포기하는 사람이 태반이다. 이것은 마치 한 칸씩 올라가던 계단을 갑작스레 세 칸씩 올라가는 듯한 느낌을 준다...

  • 경제·금융 상식 퀴즈

    6월 12일자 (558)

    1. 주택을 담보로 대출받을 때 적용받는 집값 대비 대출 가능 한도의 비율이다. ‘담보인정비율’을 뜻하는 이 용어는? ①DTI ②LTV ③DSR ④BEP 2. 1년 동안 벌어들이는 소득 중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카드론 등 모든 대출에 대한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대출자의 실질적 채무상환능력을 보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인 이것은? ①DTI ②LTV ③DSR ④BEP 3. 한...

  • 경제 기타

    디지털과 아날로그, 그 경계는

    눈 앞의 것보다는 화면에 눈을 고정하고, 주변의 소리보단 이어폰에 귀 기울이는 시대가 도래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플로피디스크에서 cd로 그리고 usb로 이렇게 저장 도구 또한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커진 것은 물론이거니와 소형화가 융합되어 우리는 더 많은 일상의 정보를 이전보다 더 많이 그리고 더 고품질로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영향은 아날로그의 대명사인 카메라의 판도도 바꾸어 놓았다. 수천 장은 기본이고 수만 장...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감투'는 왜 쓴다고 할까요?

    관용구로 “감투(를) 썼다”고 하면 어떤 조직이나 단체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말한다. 감투의 본래 의미를 알고 나면 서술어로 ‘쓰다’가 온 까닭을 이해할 수 있다. 한자어인 줄 알고 있는 이도 많은데, 우리 고유어다. 지난 호에서 ‘주책’과 어울린 말의 변화 과정을 살펴봤다. “주책은 본래 주착(主着)에서 온 말인데, 세월이 흐르면서 지금은 주착은 버리고 주책...

  • 경제 기타

    GDP(국내총생산)의 의미와 한계

    GDP는 가사노동, 자발적 봉사활동 등과 같이 생산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비시장적 서비스를 추계에서 제외하는 한계가 있다. 국내총생산(GDP)은 Gross Domestic Product의 약자로 일정 기간 한 나라의 경제 규모와 소득수준을 가늠하는 경제지표이다. GDP라는 경제지표가 등장한 건 미국 경제 대공황(1929~1939) 시기였다. 세계 대공황기에 효과적인 경제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경제학자 사이먼 쿠즈네츠에 의해 개발된 이후 정부 역할...

  • 학습 길잡이 기타

    (41) 디맨드(demand)와 니즈(needs)

    경제학의 기본은 수요와 공급의 법칙이다. 구매 의사와 능력을 가진 소비자, 생산 의사와 능력을 가진 공급자들이 상호 작용하는 시장경제 시스템에서는 가격 변화에 따라 수요량과 공급량이 변화한다. 개별 기업으로서는 소비자들이 어떤 종류의 제품에 대해 ‘디맨드(demand)’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의 욕구, 다시 말해 ‘니즈(needs)’를 이해해야 한다. 소비자는 ...

  • 교양 기타

    (66)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톨스토이 단편선'

    교훈과 진리를 담은 단편소설 세계적인 대문호이자 사상가인 톨스토이는 새삼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유명한 작가다. 소설, 희곡, 수필, 평론, 종교론, 인생론 등 방대한 저서를 남긴 그는 도스토예프스키, 투르게네프와 더불어 ‘러시아 3대 문호’로 불린다. 세계 100개가 넘는 다국어로 번역된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부활》 같은 걸작을 쓴 톨스토이에게 ‘인류의 스승, 고귀한 거장’ 같은 찬...

  • 경제 기타

    고전을 통한 성찰…이이의 '격몽요결'을 읽고

    고전은 현재를 바로 보게 하고 미래를 널리 보게 한다. 고전은 현재의 교과서, 미래의 거울인 셈이다. 요즘 학교에서 강제적으로든, 자발적으로든 독서를 하는 학생들이 흔히 보인다. 그런데 수백 년 전 성인의 교훈을 담고 있는 고전에 대한 관심은 크지 않은 것 같다. 고전은 인간의 사유를 넓혀주고 통찰도 키워준다. 인류의 고전이 시대를 초월해 널리 읽히는 이유다. 초학 선수입지(初學 先須立志).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 ‘입지장&rs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