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생글기자
부산국제외고 '경제탐험대'의 색다른 봉사
지난여름 부산국제외고 경제탐험대 동아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어린이경제교실을 계획하여 두 차례에 걸쳐 지역아동센터에 다녀왔다. 어린이경제교실은 본 동아리에서 전례가 없던 프로그램이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막연하기만 한 계획이었다. 이뿐만 아니라 또래가 아닌 아이들의 눈높이를 고려하여 수업을 준비해야 하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오랜 기간 동안의 준비를 거친 뒤 드디어 직접 아동센터에 가게 되었다. 하지만 평소에 의자에 앉아서 공부만 하던...
-
11월 06일 <573>
1. 다음 중 화폐를 발행하고 기준금리를 결정할 수 있는 곳은 어디일까? ①국책은행 ②투자은행 ③중앙은행 ④상업은행 2. 스페인 북동부 지방으로 바르셀로나도 이 안에 있다. 분리 독립 문제를 놓고 중앙정부와의 대립은 물론 주민 간의 내부 갈등이 극심한 이 지역은? ①볼로냐 ②카탈루냐 ③뉴저지 ④로마 3. 이자를 계산할 때 원금에 대한 이자뿐 아니라 이자에 대한 이자도 함께 계산하는 방식은 무엇일까? ①고정금리 ②변동금리 ③단리 ④복리 ...
-
교양 기타
<34> 전문경영인 손길승
우리나라의 전문경영인 중에서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사람은 아마도 손길승일 것이다. 오너 가족이 아닌데도 1998년 SK그룹 회장이 됐 고, 2003년에는 전경련 회장으로도 선임됐다. 전경련은 대기업 오너, 즉 소유경영자들의 모임인데 전문경영자인 손길승을 회장으로 모 신 것이다. 사업 파트너이자 동지 1965년 서울대 상대를 졸업한 손길승은 중소기업인 선경직물(SK의 전신)에 입사했다. 대기업에도 충분히 갈 수 있던 그가 작은 방직공장을 선택...
-
생글기자
초·중·고 상벌점제는 폐지해야 하는가
상벌점제는 현재 많은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다. ‘그린 마일리지’라고도 불리는 상벌점제는 교내에서 체벌을 근절하고, 학생들의 학습 및 생활지도를 위해 2010년 3월 처음 시행되었다. 상벌점제는 잘못된 행동을 한 학생을 체벌하는 대신 벌점을 부여하고, 칭찬받을 행동을 한 학생에게는 상점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시행한 지 몇 년이 지난 현재, 많은 사람은 상벌점제의 실효성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상벌점제 폐지를...
-
커버스토리
'공룡 포털' 네이버가 어쨌길래 …
‘네모난 초록색 검색창’ 하면 떠오르는 네이버는 국내 독보적인 1위 포털사이트다. 회원이 4200만 명이 넘고, PC 검색시장 점유율은 70%대에 이른다. 스마트폰으로도 매일 평균 2700만 명이 접속한다. 세계 거의 모든 나라의 포털시장을 장악한 미국 구글조차 한국에선 네이버에 눌려 점유율이 한 자릿수에 그치고 있다. 네이버는 1999년 작은 벤처기업으로 출발해 연매출 4조원대 기업으로 성장했다.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
-
커버스토리
"교육·학습 방법 획기적으로 달라져야"… 글로벌 인재포럼 2017
교육과 학습은 첨단 정보기술(IT) 시대에 가장 크게 변할 분야 중 하나다. 캠퍼스를 둔 대학은 30년 안에 없어지는 등 교육방식이 혁신될 것이란 분석이 많다. 10월31일부터 11월2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글로벌 인재포럼 2017’에서 IT 및 교육 전문가들은 ‘정보기술 시대의 교육혁명’을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유무선 온라인 시대에 개인들이 제작한 교육 콘텐츠가 자유롭게 공개되면 기존 교육산업은 위기...
-
경제 기타
"1000분의 1초 줄여라"… 스포츠도 과학이죠
첨단 소재, 첨단 설계가 기록이다 “침대는 가구가 아닙니다. 과학입니다”라는 광고 문구가 눈길을 끈 적이 있다. 단순하게 나무로 짜서 만든 가구가 아니라 인체 구조에 맞게 과학적으로 설계한 가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광고를 벤치마킹하면 이런 말도 만들 수 있겠다. “스포츠는 운동이 아닙니다. 과학입니다.” 스포츠에서 과학이 그만큼 중요해졌다는 뜻이다. ‘스포츠 사이언스(sports s...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정부가 시중은행의 대출금리 인상에 제동 걸려 하는데 …
금융감독당국이 시중은행들의 대출금리 올리기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금융위원회와 그 지휘를 받는 금융감독원이 공조하고 있다. 정부가 시중 민간 은행의 ‘기본 영업’에 개입한 배경은 상승세를 보이는 금리 때문이다. 다중·과다 대출자의 이자 부담을 줄여주자는 취지다. 하지만 금리가 오르고 내리는 것은 시중의 자금사정에 따른 ‘돈값’(금융시장의 가격 결정) 문제인 데다 개별 은행의 경영전략이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