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
경제 기타
"인간은 원래 행복하도록 설계돼 있다"…구글X 공학자가 부팅하는 '행복 알고리즘'
한 성공한 공학자가 있다. 그의 이름은 모 가댓. ‘구글 최고의 브레인 집단’ 구글X를 지휘하는 총책임자다. 가댓은 오래전부터 행복을 ‘재부팅’하는 문제에 관심이 많았다. 자신이 너무나 불행하다고 여겼던 탓이다. 사회생활을 시작한 뒤 큰 성공과 부를 거뒀지만 그는 불행이란 덫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물질적 풍요가 더해질수록 행복의 수준은 떨어져만 갔다. 2014년 가댓은 대학생이던 아들 알리를 의료사고로...
-
경제 기타
은행이 지점 줄일 때도 정부 허가 받으라는데…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일부 의원을 중심으로 은행이 점포(지점)를 정리할 때 정부 허가를 받도록 은행법을 개정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입법활동의 하나로 ‘은행법개정 정책 토론회’까지 열렸다. 발단은 한국씨티은행이 경영합리화 차원에서 126개 점포가운데 많은 부분을 없애겠다는 계획이었다. 이 은행 노조를 중심으로 상급의 금융노조가 나서면서 정치권과 노동계가 공조를 취하는 상황이 됐다. 이게 새로운 형태의 관치(官治)금융으로 시대...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김흥일쌤의 서양철학 여행 (11) 에피쿠로스학파
■ 생각해봅시다 에피쿠로스학파가 주창한 쾌락은 과도한 욕구 만족과 다르다. 이 학파는 사치스러운 향락을 통한 쾌락은 후유증을 남긴다고 했다. 영혼에 불안한 상태가 없는 평정 상태를 진정한 쾌락이라고 주장했다. 쾌락의 종류를 구분한 셈이다. 헬레니즘은 알렉산더 대왕이 지중해 연안에서 오리엔트 지방까지 통일하여 대제국을 건설한 시기의 사상과 문화를 말한다. 그리스 도시국가가 무너지고 동방 문화가 유입됨에 따라 그리스 문화와 동방의 오리엔트 문화...
-
커버스토리
"중국이 원유공급 끊으면 북한은 3개월도 못버텨"
NIE 포인트 중국이 북한을 지원하는 정치·외교적 배경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인도적 차원의 대북 지원 재개에 대해 각자의 생각을 토론해보자. 북한 경제는 중국이 없으면 와르르 무너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원유(原油) 공급의 50%, 대외 무역의 90%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어서다. 대한민국이 52개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는 등 경제 영토를 넓혀 가는 동안 북한은 정반대 길을 택했다. 문을 꽁꽁 걸어 잠근 채 &ls...
-
학습 길잡이 기타
복더위 찌는 날은 무더위일까요, 강더위일까요
무더위 는 ‘물’ 과 ‘더위’ 가 어울린 말이다. 물기를 머금은 더위, 즉 습도와 온도가 높아 끈끈하게 더운 것을 말한다. 이에 비해 오랫동안 비도 없이 불볕더위만 계속되면 ‘강더위 ’다. 이때의 ‘강-’은 한자말 강(强)이 아니라 순우리말이다. 초복이 지나면서 한낮 기온이 35도를 오르내리는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전국 대부분 지역에 폭염특보...
-
테샛 공부합시다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TESAT 맛보기
[문제] 두 재화 X와 Y의 교차탄력성이 양(+)인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X와 Y는 보완관계에 있는 재화이다. ② 두 재화의 무차별곡선은 L자이다. ③ X재의 가격이 상승하면 Y재의 가격도 상승하게 된다. ④ X재에 대한 수요가 감소할수록 Y재의 가격은 하락한다. ⑤ 두 재화는 하나의 동일한 시장에서 거래되는 재화 라고 할 수 없다. [해설] 교차탄력성이란 관련재의 가격변화율에 따른 해당 재화의 수요량 변화율을 나...
-
경제 기타
죄지은 자의 고독한 심리를 묘사한 '주홍글씨'
금욕주의인 청교도에 대하여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청교도란 기존의 가톨릭 전통을 부정하고 엄격한 도덕과 금욕, 향락 금지 등의 생활을 주장하고 실천하는 신도들의 종교다. 주홍글씨라는 책을 읽게 된 계기는 세계사 시간에 배운 청교도의 엄격한 계율과 좋아하는 장르인 사랑이 나와 있다고 하여 교과목과 연관시켜보기 위하여 읽게 되었다. 헤스터라는 여자가 남편이 2년 동안 실종되어 다른 남자와 사랑을 나눠 사랑하는 딸을 낳아 간음죄를 짓게 되어 재판...
-
진학 길잡이 기타
교대 가는길 가이드
올해 전국 10개 교육대에서 수시 2024명(56.4%), 정시 1565명(43.6%) 등 모두 3589명을 선발한다. 이는 지난해 수시 1814명과 비교해 수시 비율이 약 6%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교육대의 가장 큰 특징은 수시와 정시 모두 비교적 일반대학보다 학생부 교과성적 반영 비중이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대를 지원하는 수험생은 작년 합격자 성적을 분석해보고 자신의 성적이 지원 가능권에 들어가는지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좋다. 아울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