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벌점제 폐지를 반대하는 근거로는 상벌점제가 교육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상점을 받으려고 규칙을 잘 지키는 올바른 생활을 하려고 노력한다. 그로 인해 준법정신, 책임감 등을 길러 성인이 되어 사회적 규범을 잘 지킬 수 있다. 더불어 상점을 많이 받는 학생은 다른 학생들에게 모범이 되어 다른 학생들은 상점을 받은 학생을 본받고 학교생활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상벌점제를 폐지할 경우 학생들을 지도할 방법이 없다고 한다. 갈수록 교권 침해가 심해지고 있는데, 상벌점제마저 폐지되면 학생과 교사의 위계질서가 무너져 학생들이 교사의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상벌점제가 완벽하다고 할 수는 없기 때문에 문제점을 보완하고 좀 더 체계적인 틀을 만들어야 하는데, 지금은 상벌점제를 대신할 뚜렷한 대안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찬성, 반대 중 어떠한 의견이 옳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앞으로도 상벌점제에 관한 논의가 계속 이루어질 테니 학생들도 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고은서 생글기자(효자중 1년) dike0503@naver.com
![[생글기자 코너] 케데헌, 한국 전통문화의 힘 일깨웠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593.3.jpg)
![[생글기자 코너]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의 효과와 한계](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587.3.jpg)
![[생글기자 코너] 아베노믹스가 일본 경제에 남긴 것](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594.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