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은 재활용 폐기물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페트병 비접착식 라벨 부착 제도',
독일에서는 '공병 보증금 제도 (판트)'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유진  생글기자(대전신일여고 2년)  
tkstjchemdgkrry@naver.com
유진 생글기자(대전신일여고 2년) tkstjchemdgkrry@naver.com
20세기 최고의 발명품이라는 플라스틱이 지구촌을 위협하고 있다. 세상에 나온 지 150년 만에 인간들의 삶을 점령해버렸고 지구는 플라스틱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

2018년 세계는 플라스틱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세계의 재활용 처리장 역할을 하던 중국이 재활용품 수입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전 세계 재활용품 50% 이상을 수입해온 중국이 수입 중단을 선언함으로써 지구촌의 쓰레기 처리 사태는 더 혼란에 빠졌다. 한국은 재활용 폐기물에 대해 중국 의존도가 낮아 큰 영향이 없을 거라 생각했지만 나 몰라라 하고 있는 사이 사태는 더욱 심각해졌다. 쓰레기 수출이 막힌 유럽의 여러 나라들은 한국으로 폐지나 폐플라스틱을 수출하기 시작했고 국내에 들어온 물량이 많아지다 보니 국산 재활용 폐기물 가격이 폭락했으며 이로 인해 사정이 어려워진 업체들이 폐비닐, 폐플라스틱을 수거하지 않겠다고 통보해버린 것이다. 일명 ‘폐플라스틱 대란’이다.

우리나라는 매립지 부족국가 전 세계 1위인 데다 단위 면적당 쓰레기 발생량 또한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한국인 1인의 연간 플라스틱 소비량은 98.2㎏으로 미국(97.7㎏)을 제치고 세계 1위였다.

정부는 이제야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해결에 나섰다. 비닐을 수거하는 업체에 지원금을 주고, 중국 외에 다른 여러 나라로 폐기물 수출을 늘리겠다는 조치 등이 나왔지만 일시적인 정책일 뿐이다. 시장의 흐름에 따라 재활용품은 지금처럼 수거되지 않을 수도 있고 그렇게 되면 엄청난 양의 폐기물을 땅 묻거나 불에 태워야 할지도 모른다.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은 하나다. 재활용 폐기물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페트병 비접착식 라벨 부착 제도’, 독일에서는 ‘공병 보증금 제도 (판트)’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학생들도 ‘정부나 사회가 먼저 시작하겠지’ 하는 안이한 생각을 하지 말고 작은 것부터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 많은 사람이 실천하고 있는 텀블러 사용, 일회용 비닐 사용 자제부터 더 나아가 플라스틱 쓰레기를 세척하여 분리수거하기 등 플라스틱 쓰레기 줄이기에 동참한다면 언젠가는 플라스틱을 사용하기 전의 건강한 지구로 돌아올 수 있을 것이다.

유진 생글기자(대전신일여고 2년) tkstjchemdgkrr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