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정시지원
-
대입전략
통합과학 영향력 커지고 심화 수학 출제 제외…사탐·과탐 문항 늘고 배점은 3단계로 세분화
올해 고1이 되는 학생부터 적용되는 2028학년도 대입 수능에서는 탐구과목 영향력이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탐구과목은 사탐 9과목, 과탐 8과목 중 두 과목을 선택하는 방식이고, 수험생 입장에서 가장 부담이 덜한 과목에 집중적으로 응시하고 있다. 사탐 9과목 중에서는 2025학년도 수능 기준으로 사회문화 33.2%, 생활과 윤리 31.8%로 이 두 과목에 65.0%가 집중됐다. 과탐에서는 8과목 중 지구과학1 36.0%, 생명과학1 32.7%로 두 과목에 집중된 상황이다.2028학년도부터 수험생은 통합사회·통합과학 두 과목에 모두 응시해야 한다. 시험시간 또한 현재 한 과목당 30분이지만, 2028학년도부터는 40분으로 늘어나고 문항 수도 기존 과목당 20문항에서 25문항으로 늘어난다. 수험생 입장에서는 문항 수와 시간이 늘어난 것 자체가 부담일 수 있다.사회·과학에서 두 과목만 선택하는 현재 수능 구도에서 탐구 시험 영역 자체가 17개 영역으로 늘어나고, 문항 수도 늘어난다. 시험 영역 간 통합으로 출제되기 때문이다. 또한 탐구영역의 문항별 배점이 현재 2점, 3점 이원화에서 1.5점, 2점, 2.5점으로 삼원화 체제로 바뀐다. 배점 문항이 세분되어 변별력이 더 높아질 수 있다. 탐구영역은 전반적으로 시험 영역도 확대되었고, 여기에 따라 문항 수, 시험시간, 배점 체제가 모두 늘어나 현재보다 변별력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수능 과목 탐구영역은 통합사회·통합과학에서 50문항으로 국어, 수학, 영어보다 많다. 현재까지는 국어 45문항, 영어 45문항, 수학 30문항, 탐구 두 과목 40문항(각 20문항)으로 국어, 영어 문항 수가 가장 많지만 2028학년도부터는 탐구 문항 수가 가장 많게 된다.배점도 현재 국어·
-
대입전략
수도권 지원 6222명 급증, 지방 3593명 줄어…2026학년도 재수생, 중·하위권대 크게 늘듯
2025학년도 대학입시 지원은 최상위권 의대 집중에 따른 연쇄적 상향 지원 추세가 뚜렷했다.의대 모집 정원 확대로 우선 의대 정시 지원자 수가 지난해 대비 29.9% 증가했다. 치대도 16.4%, 한의대도 10.9%, 약대도 8.3% 지원자가 늘었다. 최상위권이 의대로 빠져나가면서 치대, 한의대, 약대도 합격의 기대심리가 동반 상승했다. 결과적으로 의약학계열 전 부문에 상위권 학생이 몰렸다고 볼 수 있다.그러나 서울대·연세대·고려대(이하 서연고)에서 의대, 치대, 약대, 수의대, 간호대 등 메디컬 관련학과를 제외한 자연계 정시지원은 서울대가 지난해 대비 18.7% 줄어들었다. 연세대도 9.3% 줄었다. 고려대는 29명(0.9%) 늘어나는 것으로 그쳤다. 서연고 전체에서 의약학계열을 제외한 정시 지원자 수는 전년 대비 821명 줄어들었다. 의약학계열과 수능 합격 점수가 비슷한 서울대·연세대 자연계 지원자 수는 지난해보다 서울대 585명, 연세대 265명이 줄었다.서연고 이공계와 의약학계열 동시 합격 가능권 대학에 수능 고득점 학생 상당수가 정시지원 선택을 의약학계열로 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최상위권 수능 고득점 학생들이 의약학계열 지원 규모가 늘어 서연고 자연계열 정시 합격선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들 대학의 합격선은 금년도 6월 이후에 공개된다. 2026학년도 수험생에게는 의대 모집 정원의 불확실한 변수가 남아 있는 상황에서 이들 대학의 합격선 변동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정원이 현재까지도 미확정된 상태이고, 2025학년도 의대 모집 정원이 늘어난 상황에서 합격 점수도 변동이 생겨 2026학년도를 준비하는 수험생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