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청출어람 (靑 出 於 藍)
▶ 한자풀이靑: 푸를 청出: 날 출於: 어조사 어藍: 쪽 람중국 전국시대 사상가 순자(荀子)는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는 성악설(性惡說)을 주창했다.인간은 태어남과 동시에 순수함에서 멀어지니 예(禮)로 선함을 바로세워야 한다는 게 핵심이다. 인간이 선(善)의 씨앗을 품고 태어났다는 맹자의 ‘사단지심(四端之心)’과 대비되는 주장이다.순자의 사상이 고스란히 담긴 <순자> 권학편에는 학문의 중요성을 깨우치는 글이 나온다. ‘학문은 그쳐서는 안 된다(學不可以已). 푸른색은 쪽(藍·한해살이 풀로 잎은 염료로 쓰임)에서 나왔지만 쪽빛보다 더 푸르고(靑取之於藍而靑於藍), 얼음은 물에서 비롯됐지만 물보다도 더 차다(氷水爲之而寒於水).’ 학문이란 끊임없이 계속되는 것이므로 중도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푸른색이 쪽빛보다 푸르듯이, 얼음이 물보다 차듯이 면학을 계속하면 스승을 능가하는 학문의 깊이를 가진 제자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여기서 제자가 스승보다 뛰어나다는 뜻인 ‘청출어람(靑出於藍)’이 나왔다. 원래 ‘청출어람 청어람(靑出於藍 靑於藍)’이라고 해야 ‘쪽빛보다 더 푸르다(靑於藍)’는 의미가 갖춰지지만 일반적으로 줄여서 청출어람으로 쓴다. 또 이런 재주 있는 사람을 ‘출람지재(出藍之才)’라고 한다. ‘뒤에 오는 사람은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 <논어>에 나오는 후생가외(後生可畏)도 의미가 같다.청출어람을 보여주는 구체적 사례 하나. 북위(北魏)의 이밀은 어려서 공번을 스승으로 삼아 학문을 닦았다. 그의 학문은 몇 년이 지나자 스승을 능가하게 됐다. 공번은 이제 그에게 더 이상 가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호연지기 (浩然之氣)
▶ 한자풀이浩: 넓을 호然: 그럴 연/불탈 연之: 갈 지氣: 기운 기맹자가 제나라에 머물던 어느 날, 제자 공손추가 물었다. “선생님이 제나라 대신이 되어 도(道)를 행하시면 제를 천하의 패자로 만드실 것입니다. 그런 생각을 하시면 선생님도 마음이 움직이시겠지요.” 맹자가 답했다. “나는 마흔이 넘어서부터는 마음이 움직인 적이 없다.” 공손추가 다시 물었다. “마음을 움직이지 않게 하는 방법이 있으신지요.” “그건 용(勇)이니라.”맹자가 설명을 덧붙였다. “마음속에 부끄러운 게 없으면 그 무엇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이게 대용(大勇)이다.” 공손추가 재차 물었다. “그럼 선생님의 부동심(不動心)과 고자의 부동심은 무엇이 다른지요.” 맹자가 답했다. “고자는 이해되지 않는 말을 애써 이해하지 말라 했다. 하지만 이는 소극적 태도다. 나는 말을 알고 있고(知言), 호연지기(浩然之氣)도 기르고 있다. 호연지기는 평온하고 너그러운 화기(和氣)다. 기(氣)는 광대하고 올바르고 솔직한 것으로, 이것을 기르면 우주자연과 합일의 경지에 이른다.” 지언(知言)은 편협하고 음탕한 말, 간사하고 꾸미는 말을 구별하는 밝음(明)이 있다는 의미다.고자(告子)는 맹자의 논적(論敵)으로 사람의 본성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고 주장한 사상가다. 그는 “출렁대는 물은 방향이 없으며 동쪽을 터주면 동쪽으로 흐르고, 서쪽을 터주면 서쪽으로 흐를 뿐”이라며 맹자의 성선설을 반박했다. 이에 맹자는 “물은 아래로 흐른다. 아래를 막으면 물이 거슬러 오르고, 손으로 때리면 물이 허공으로 솟구치지만 그건 인간이 본성에 인위를 가한 때문”이라고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자포자기 (自 暴 自 棄)
▶ 한자풀이自: 스스로 자暴: 사나울 포自: 스스로 자棄: 버릴 기모든 건 안에서 먼저 비롯된다. 스스로를 업신여기면 남도 나를 깔본다. 가족 간 화해가 깨지면 이웃도 내 집을 무시한다. 군신 간 질서가 무너지면 주변도 내 나라를 얕본다. 모든 건 스스로에게서 말미암는다.맹자가 말했다. “스스로를 학대하는(自暴) 자와는 더불어 이야기를 나눌 수 없고, 스스로를 버리는(自棄) 자와는 더불어 행할 수 없다. 입만 열면 예의를 헐뜯는 것을 자포라고 하고, 인(仁)에 살지 않고 의(義)를 행하지 않는 것을 자기라고 한다. 인은 사람의 편안한 집이고, 의는 사람의 바른길이다. 편안한 집을 비워두고 살지 않고, 바른길을 버리고 행하지 않으니 슬픈 일이다.” 《맹자》 이루편에 나오는 얘기로, 자신을 학대하고 돌보지 아니함을 일컫는 자포자기(自暴自棄)가 유래한 구절이다.맹자는 자포를 ‘스스로 학대하는 것’으로 규정했다. 스스로 학대한다는 건 예와 의를 버리는 것이다. 유가의 예(禮)는 뜻이 깊다. 현대인이 생각하는 예절 그 이상이다. 그건 나를 자존으로 바로 세우는 일이다. 진항이 공자 아들 백어에게 물었다. “당신은 스승님(공자)과 남달리 같이 있으니 따로 들은 얘기가 있겠지요.” 백어가 답했다. “없습니다. 언젠가 제가 뜰을 지나가는데 ‘너는 예를 배웠느냐’ 하시기에 ‘아직 못 배웠습니다’ 했더니 ‘예를 배우지 않고는 바로 설 방도가 없느니라’ 하시기에 물러나 예를 배웠습니다.”‘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고 했다. 내가 나를 돕지 않으면 누구도 나를 돕지 않는다. 설령 그런 나를 누군가가 돕는다 해도 그건 ‘밑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일장춘몽 (一 場 春 夢)
▶ 한자풀이一:한 일場:마당 장春:봄 춘夢:꿈 몽소동파(蘇東坡)는 송나라 최고의 문장가다. “독서가 만 권에 달해도 율(律·왕안석의 신법을 지칭)은 읽지 않는다”고 해 초유의 필화사건을 일으킨 타고난 자유인이다. 그의 《적벽부(赤壁賦)》는 중국 문학 불후의 명작이다. 자신은 문장의 최고봉이면서 “인생은 글자를 알 때부터 우환이 시작된다(人生識字憂患始)”는 그의 말 또한 아이러니다. 하기야 그 스스로가 문자로 인해 큰 우환을 겪었으니 ‘식자우환(識字憂患)’이 틀린 말은 아니다.그가 해남 창화에서 유배생활을 하던 중 큰 표주박 하나 메고 콧노래 부르며 산책을 하다 70대 노파를 만났다. 노파는 소동파의 초췌한 모습이 너무 안쓰러웠다. 문장으로 당대 천하를 놀라게 한 그가 초라한 몰골로 시골길을 걷는 것을 보면서 인생무상이 느껴졌다. 노파가 말했다. “지난날의 부귀영화는 그저 한바탕 꿈에 지나지 않는구려(一場春夢).” 소동파가 태연히 말을 받았다. “맞습니다. 참으로 맞습니다.” 북송의 조령치가 지은 《후청록》에 전해오는 이야기다.일장춘몽(一場春夢)은 여름이 오기 전에 사그라지는 ‘한바탕의 봄 꿈’이다. 덧없이 왔다 덧없이 가는 봄 한철의 아지랑이 같은 꿈이다. 당나라 한단에서 노씨 성을 가진 서생이 도사 여옹의 베개를 빌려 잠깐 눈을 붙인 사이에 부귀영화 꿈을 꾸었다는 한단지몽(邯鄲之夢), 노생지몽(盧生之夢)도 뜻이 같다. 부귀영화라는 게 부질없고 덧없는 것이니 애타게 매달리지 말라는 거다.허무주의자는 모든 게 덧없다고 생각한다. 비관주의자는 안 될 거라고 염려하고, 낙관주의자는 잘될 거라 믿는다. 세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一以貫之 (일이관지)
▶ 한자풀이一:한 일以:써 이貫:꿸 관之:갈 지유가는 인(仁)이 뿌리다. 인 위에 서지 않으면 모든 것이 틀어진다는 게 유가적 생각이다. 공자는 인이라는 바탕에 의(義)·예(禮)·지(智)를 쌓았다. 공자는 늘 배우고 익혔다. 《논어》 첫 장 첫 구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는 공자의 삶을 한마디로 응축한다. 그는 타고난 성인이 아니라 평생을 갈고닦은 성인이다.증자(曾子)는 효심과 배움이 깊은 공자의 제자다. 공자의 도(道)를 계승했으며, 그의 가르침은 공자의 손자 자사를 거쳐 맹자에게까지 전해졌다. 동양 5성(五聖) 중 한 사람이다. 증자 역시 여느 제자들처럼 스승의 앎을 부러워한 모양이다. 어느 날 공자가 물었다. “삼(參·증자의 이름)아, 너는 내가 모든 걸 배워서 알고 있다고 생각하느냐?” 증자가 답했다. “그렇지 않습니까, 스승님.” 공자가 말을 이었다. “아니다. 나는 하나로써 꿰었다(一以貫之).”공자가 나가자 증자의 제자들이 증자에게 물었다. “무슨 말씀입니까?” 이번엔 증자가 답했다. “선생님의 도는 충(忠)과 서(恕)뿐이다.” 《논어》 위령공·이인 편에 나오는 얘기다. 처음부터 끝까지 흔들림이 없다는 뜻인 일관(一貫)은 일이관지의 줄임이다.증자는 공자를 꿰는 두 축을 충과 서로 봤다. 충은 자신의 마음을 다하는 거다. 진심을 다하고, 정성을 다하는 거다. 서는 자신을 헤아려 그 마음으로 남을 헤아리는 거다. 공자가 강조한 추기급인(推己及人), 즉 나로 미뤄 상대를 보는 거다. “네가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시키지 말라”는 성경의 말씀과 뜻이 하나다. 인은 충과 서를 아우른다. 인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일거양득 (一 擧 兩 得)
▶ 한자풀이一 : 하나 일擧 : 들 거兩 : 둘 량(양)得 : 얻을 득속석은 중국 진(晉)나라 혜제(惠帝) 때 저작랑을 지내고, 진사(晉史)를 편찬한 인물이다. 그가 농업 정책을 왕에게 진언하면서 “위나라 때의 개척지인 양평으로 들어가 살게 한 백성들을 다시 서쪽으로 이주시키자”고 했다. 왕이 이유를 물으니 그가 답했다. “백성들을 서주로 이주시킴으로써 변방을 보강하고, 10년 동안 부세(賦稅)를 면제해 줌으로써 이주의 고달픔을 위로합니다. 이렇게 하면 밖으로는 실질적인 이익이 있고, 안으로는 관용을 베풀어 일거양득(一擧兩得)이 됩니다.” 《진서》 속석전에 나오는 얘기다.《춘추후어》에는 힘이 장사인 변장자(辨莊子) 얘기가 나온다. 호랑이 두 마리가 마을에 나타나 가축들을 잡아가자 동네 사람들이 변장자를 불렀다. “걱정 마시오. 내가 그놈들을 때려잡을 테니.” 변장자가 여관에 투숙한 이튿날 호랑이 두 마리가 나타나 소를 몰고 달아났다. 그가 활과 칼을 들고 호랑이를 쫓았다. 호랑이 잡는 장면을 보려고 여관의 사동도 뒤를 따랐다.산속에서 으르렁거리는 호랑이 소리가 들렸다. 변장자가 살금살금 호랑이 곁으로 다가가 활을 겨눴다. 순간, 사동이 그의 옷자락을 잡아챘다. “무슨 짓이냐?” 그가 험악한 표정을 짓자 사동이 목소리를 죽였다. “지금 호랑이 두 마리가 서로 소를 차지하려고 싸우는데, 한 놈은 결국 죽지 않겠습니까. 이긴 놈도 크게 다칠 테고요. 그때를 기다렸다 한 번에 두 마리를 잡아야지요.” 변장자는 무릎을 쳤고, 잠시 후 호랑이 두 마리를 어깨에 걸치고 마을로 내려왔다. 《춘추후어》는 ‘하나로 두 가지 이익을 얻는’ 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이심전심 (以 心 傳 心)
▶ 한자풀이以 : 써 이心 : 마음 심傳 : 전할 전心 : 마음 심석가는 노자의 무언지교(無言之敎)를 몸소 실천한 성인이다. 석가는 큰 스승이다. 송나라 승려 도언은 석가 이후 고승들의 법어를 기록한 《전등록》에서 “석가는 말이나 글이 아니라 ‘이심전심(以心傳心)’으로 제자들을 가르쳤다”고 적었다. 불교의 진수는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해지면서 고통받는 중생에게 ‘마음의 길’을 터줬다. 석가는 제자들의 물음을 늘 칭찬했고, 자신의 가르침을 강요하지 않았다.송나라 스승 보제의 《오등회원》에는 석가가 이심전심으로 제자들을 가르치는 장면이 나온다. 어느 날 석가가 영취산에 모인 제자들에게 연꽃 한 송이를 집어들고 줄기를 살짝 비틀어 보였다. 제자들은 스승의 그 뜻을 헤아리지 못했다. 오직 가섭만이 석가의 뜻을 깨닫고 미소를 지었다. 말이 아니라 마음으로 통한다는 염화미소(拈花微笑)는 이 영취산 설법에서 나왔다. 석가가 연꽃을 집어드니(拈華), 제자 가섭이 그 뜻을 헤아려 미소를 지었다(微笑)는 의미다.연꽃은 탁한 연못에서 피어난다. 하지만 더없이 청아하고 맑고 깨끗하다. 속세도 탁하다. 흐리고 탐심이 가득하다. 하지만 스스로 깨달으면 탁한 연못에서 피어나는 연꽃처럼 중생도 맑고 깨끗하게 거듭난다.참고로 사성제(四聖諦)는 불교의 기본 교리다. 사제(四諦)로도 불리는 이 교리는 고(苦)·집(集)·멸(滅)·도(道) 네 진리가 핵심이다. 고(苦)의 진리(고제)는 고통으로 가득찬 현실을 바로 보라는 거고, 집(集)의 진리(집제)는 탐심 욕망 이기심 등 고통이 생기는 원인을 바로 보라는 거다. 멸(滅)의 진리(멸제)는 온갖 번뇌를 벗고 해탈을 얻으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옥석혼효 (玉 石 混 淆)
▶ 한자풀이玉:구슬 옥石:돌 석混:섞을 혼淆:뒤섞일 효동진(東晉) 시대 갈홍은 도가 계열의 사상가다. 그의 《포박자》는 도교가 하나의 사상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크게 기여한 저술이다. 그는 이 책 ‘상박편’에서 배움의 도(道)를 이렇게 적고 있다.“《시경》이나 《서경》이 도의(道義)의 큰 바다라면, 제자백가의 글은 이것을 보충하는 냇물이다. 방법이 다를지언정 덕을 닦는 데 무슨 다름이 있겠는가. 옛사람들은 재능 얻는 게 어렵다고 탄식했지만, 곤륜산 옥이 아니라고 야광주를 버리거나 성인의 글이 아니라고 수양에 도움되는 말을 버리지 않았다. 한나라와 위나라 이후로도 ‘본받을 만한 좋은 말(嘉言)’이 많이 나왔지만, 식견이 좁은 사람들은 자구(字句)에만 매달려 오묘한 이치를 가벼이 한다.”갈홍은 큰 것에만 매달려 정작 작은 것에 담긴 뜻을 소홀히 하는 세태를 나무란다. 《시경》이나 제자백가들의 가르침이 근본은 크게 다르지 않은데도 세속의 크기에만 매달리는 어리석음을 꾸짖는다. 이어지는 말도 함의가 같다.“뿐만 아니다. ‘작은 길(小道)’이라 일고의 가치도 없다 하고, 너무 넓고 깊어서 머리를 혼란시킨다고도 한다. 티끌이 쌓여 태산이 되고 색들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무지개를 이룬다는 걸 모른다. 천박한 시부(詩賦)를 감상하고, 뜻이 깊은 제자백가의 글을 가볍게 여기며, 유익한 금언을 하찮게 생각한다. 그러하기에 참과 거짓이 뒤바뀌고, 옥과 돌이 뒤섞이며(玉石混淆), 아악(雅樂)이 속악(俗樂) 취급을 받고, 아름다운 옷이 누더기로 보이는 것이다. 이 얼마나 개탄할 노릇인가.”옥석혼효(玉石混淆), 옥과 돌이 섞여 있는 게 세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