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합리적인 인간의 '기대'가 경제적 의사결정 좌우

    국가경제와 관련해 지난주를 마지막으로 경제학에서 다루는 전통적 내용에 대해 모두 살펴봤다. 국가 차원의 경제 현상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는 경기변동과 경제성장이다. 경제학자들은 국가경제의 가장 중요한 목표를 경기변동의 최소화와 지속적 성장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경제학자들은 경기변동이 발생하는 이유, 경기변동을 줄이는 정책, 경제가 성장하는 과정, 저성장을 극복하는 정책을 중심으로 국가경제를 다루는 거시경제학을 체계화해왔다. 1970년대부터는 거시경제학의 핵심 주제로 ‘경제주체의 미래에 대한 기대(expectation)’를 추가시켜 경기변동과 경제성장을 설명하는 시도가 이어왔다. 경제 연구에 기대라는 것이 포함된 건 미래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에 영향을 받아 경제 현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모습이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이번 주부터는 ‘기대’가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기대의 유형expectation은 일반적으로 예상이나 예측을 뜻하지만 경제학에서는 기대라는 표현으로 통용된다. 이 글에서도 기대라는 표현을 그대로 사용하겠지만 문맥상 예상이나 예측으로 이해하는 것이 자연스러워 보이는 경우도 많으니 유의하면서 읽기 바란다. 사람들은 어떤 일이든 기대를 갖고 행동한다. 경제적인 행동이나 판단을 하는 경우에도 그렇다. 1970년대부터 기대를 포함한 연구가 시작되었다고 해서 이전에는 경제주체들이 미래에 대한 기대를 하지 않고 행동했다는 얘기가 아니다. 단지 1970년대를 전후로 나누는 건 미래에 대해 기대하는 방식을 경제학자들이 다르게 인식하기 시작한 때문이다. 1970년대 이후의 기대를 ‘합리적 기대’라고 하고

  • 시사·교양 기타

    올해의 7대 뉴스는?

    주니어 생글생글 제142호는 ‘2024년 7대 뉴스’로 꾸몄습니다.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부터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선,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이르기까지 올 한해 우리를 울리고 웃긴 주요 뉴스를 정리했습니다.누리호 4차 발사와 인도 경제의 성장 등 2025년 들려올 것으로 예상되는 뉴스도 뽑아 봤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선 온라인 결제의 신기원을 연 피터 틸 페이팔 창업자를 소개했습니다.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최상위대 수리논술, 꼼꼼한 문제해결력 길러야"

    의학계열을 제외하면 연세대와 고려대는 자연계열에서 최상위 대학 수리논술을 대표하는 학교답게 시험 난도가 타 대학보다 매우 높다. 추론 능력과 함께 꼼꼼한 문제 해결력과 분석력을 요구하는 문항이 다수 출제되기 때문에 연세대와 고려대 논술에 응시하고자 하는 수험생은 이러한 능력을 기르기 위해 평소에 엄밀한 풀이 과정에 기반한 증명형 문제 연습을 꾸준히 해봐야 한다. 이러한 능력은 단기간에 기를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평소에 미적분과 기하, 확률과 통계의 기초 개념을 탄탄히 다지고 기출문제를 반복해서 풀어보아야 한다.▶연세대·고려대 수리논술 대비 포인트◀1. 미적분,기하,확통을 고르게 학습해야2. 엄밀한 풀이과정에 기반한 증명형(서술형) 문제연습3. 미적분 모의고사 1~2등급대를 유지해야- 미적분 문제해결 능력은 최상위대수리논술 합격의 필수조건!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열 살 꼬마 톨스토이의 순수한 내면 담은 이야기

    19세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대문호 톨스토이는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를 비롯한 수많은 작품으로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유년 시절>은 톨스토이가 가장 처음 쓴 작품이면서 자전적 소설이어서 특히 의미가 있다. <소년 시절> <청년 시절>로 이어지는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인 <유년 시절>이 자전적이라고 하나 사실과 허구가 절묘하게 혼합되어 있다.<유년 시절>의 주인공 니콜레니카는 열 살 때 어머니와 이별하지만 톨스토이는 두 살과 아홉 살 때 어머니와 아버지를 여읜다. 고모의 후원으로 어린 시절 집에서 교육받은 톨스토이는 16세에 카잔대학교 동양어대학 아랍·터키어과에 입학한다. <유년 시절>에도 니콜레니카가 집에서 가정교사에게 교육받는 장면이 나온다.24세였던 1852년, 톨스토이는 <유년 시절>을 발표하자마자 “단순하면서도 복잡한 어린아이의 심리를 섬세히 해부하면서, 동시에 예술성을 잃지 않은 이상적이고도 객관적인 묘사로 러시아 리얼리즘 문학의 새로운 창작 방법 양식을 개척했다”는 극찬을 듣는다.러시아 철학자 크로폿킨은 “시적인 매력으로 차 있고 지극히 참신하며 문학상의 온갖 매너리즘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다. 이 무명작가는 일약 러시아 문단의 총아가 되고 투르게네프, 곤차로프 등과 견주게 되었다”고 평했다.<유년 시절>에 대한 여러 찬사가 아니더라도 책장을 넘기면 바로 이국적인 신선함과 고전적이면서 품격 높은 매력에 빠져들게 된다. 28개의 이야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니콜레니카와 주변 사람들의 삶이 아기자기하게 얽히면서 잔잔한 감동을 안기는 작품이다. 지극히 단순한 열 살

  • 역사 기타

    영국에 많은 석탄 '우연'…증기기관 발명 '필연'

    한국은 건국 70년 만에 원조받는 국가에서 원조 주는 나라가 되었다. 이 말은 내가 아는 것 중 오늘의 대한민국을 설명하는 가장 식상한 표현이다. 그보다는 차라리, 미국과 전쟁을 해서 사흘을 버틸 수 있는 나라가 되었다는 말이 다소 과장되고 극단적이기는 해도 훨씬 실감 난다. 도대체 대한민국은 왜 이렇게 수직으로 상승했을까. 국민이 근면해서, 지도자를 잘 만나서 등등의 이유에 나는 동의하지 않는다. 세계 각국, 국민이 근면한 나라는 허다하고 뛰어난 지도자는 그보다 더 많다. 1945년 직후 수많은 식민지가 독립한다. 그리고 그 대부분은 독립 전 수준에서 몇 걸음 나아가지 못했다. 이때 실패의 원인으로 단골로 불려 나오는 게 부패한 지도자다. 틀렸다. 결과만 보니까 그렇다. 그 리더들은 부패하고 싶어 부패한 게 아니다. 생각대로 세상이 안 움직이니까, 뭘 해도 안 되니까, 발버둥 쳐 봐야 발만 아프니까, 무능하여 절망한 끝에 부패한 거다. 작정하고 부패한 지도자를 찾는 것은 탁월한 지도자를 찾는 것보다 더 어렵다.노력보다 재능, 재능보다 운사석에서 친한 경영학과 교수께 이런 얘기를 들었다. 망한 기업이 그리된 이유를 찾는 일은 어렵지 않단다. 그러나 기업이 성공한 이유를 물으면 솔직히 모르신단다. 그냥 된 거란다. 물론 공식 자리에서는 절대 이렇게 말씀 안 하신다. “탁월한 감각과 기업가 정신이 빚어낸 결과”가 선생님의 공식 답변이다. 무책임과 비논리적 통찰 사이의 이 대답에서 유추할 수 있는 이유는 ‘우연히’다. 우연히 성공했을 뿐 노력은 다 엇비슷했다는 얘기다. 우연히는 ‘운 좋게’로 바꿔 써도 크게 이상하지 않겠다.한때 ‘어떻게 세계

  • 숫자로 읽는 세상

    챗GPT, 무서운 성장…수능 국어 '만점'

    오픈AI의 대규모언어모델(LLM)이 하루가 다르게 똑똑해졌다.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에선 처음으로 만점이 나왔다. 영어 데이터를 주로 학습한 LLM이지만 다양한 언어 구사력과 추론 능력이 뛰어나 한국어 실력도 크게 향상됐다는 분석이다.15일 업계에 따르면 오픈AI가 지난 5일 정식 출시한 인공지능(AI) 챗봇 ‘챗GPT’의 ‘o1’이 2025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에서 모든 문제에 정답을 내놨다. 국내 AI 기업 마커AI는 지난달 이전 모델인 ‘o1-프리뷰’로 시험한 결과 8번(홀수형 기준)만 틀리고 모두 맞혔다는 분석을 공개했다. o1-프리뷰 모델이 유일하게 틀린 문제는 이번 수능 문제 중 오답률(81.5%)이 가장 높았다. 하지만 한국경제신문이 최신 o1 모델의 챗GPT에 해당 문제를 입력했더니 정답을 찾아냈다. o1-프리뷰 모델을 분석한 진민성 마커AI 연구원은 블로그에 “LLM의 한국어 언어 능력이 인간을 뛰어넘을 시기가 머지않았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무엇보다 AI의 성능 향상 속도에 주목하고 있다. 마커AI에 따르면 2025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을 기준으로 2023년 11월에 나온 ‘GPT-3.5 터보’ 모델은 16점을 얻는 데 그쳤다. 지난 5월 출시된 ‘GPT-4o’ 모델은 75점까지 성적을 높였다. 이달 초 나온 o1 모델이 만점을 받으면서 챗GPT는 1년 만에 한국어 열등생에서 우등생 대열에 합류했다. 수능 등급으로 따지면 8등급이 1등급이 된 셈이다.최근 오픈AI뿐 아니라 다른 해외 AI 기업의 AI 수준도 급격히 높아졌다. 오픈AI는 5일부터 주말을 제외하고 12일 연속으로 AI 관련 새로운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메타도 6일 차세대 LLM인 ‘라마 3.3 70B’를 발표했다. 5일에는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디테일의 힘: '것이다-셈이다'의 구별

    “김호중 본인도 음주 운전을 시인했지만, 뒤늦은 고백에 검찰은 그의 음주 혐의를 입증하지 못하게 됐다. 결국 서울중앙지검은 그를 구속기소하면서 도주치상, 사고후미조치, 범인도피교사 등의 혐의만 적용했다. 음주 운전 혐의는 빠진 셈이다.” 지난 5월 있었던 트로트 가수 김호중 씨 사건이 연말을 맞아 연예계 소식 톱 10에 들면서 다시 화제가 되고 있다. 우리 사회를 충격에 빠뜨린 이 사건을 언론은 앞다퉈 전달했다. 그중 한 대목을 주목할 만하다. 마지막 문장의 서술어가 어색하기 때문이다.겉잡아 헤아릴 때 ‘셈이다’를 써얼핏 보면 특이할 게 없는 것 같지만 ‘정교한 글쓰기’ 관점에선 걸리는 데가 있다. ‘셈이다’가 그것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음주 운전 혐의는 빠진 것이다”가 적합하다. 이보다 더 좋은 것은 ‘음주 운전 혐의는 빠졌다’이다. 이것으로 충분한 표현이다. 미세한 차이지만, 글쓰기에서 이를 구현해내는 힘은 세련되고 정교한 우리말 감각에서 나온다.우선 ‘셈이다’와 ‘것이다’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국어사전에서는 ‘셈이다’를 어떤 일의 형편이나 결과를 나타내는 말로 설명한다. “이만하면 실컷 구경한 셈이다”처럼 쓴다. 이에 비해 ‘것이다’는 말하는 이의 확신, 결정, 결심 따위를 나타낸다. 어떤 사실을 강조하거나 설명함을 나타내는 데도 쓰인다. “좋은 책은 좋은 독자가 만드는 것이다” 같은 게 그 예다. 하지만 이렇게 해서는 두 용법의 차이를 구별하기 힘들다.좀 더 구체적으로 들여다보자. ‘셈’은 수를 헤아리는 것이다. ‘것’은 구체적 사실을 나타낸

  • 영어 이야기

    흐름을 바꾸다 'Turn the tide'

    Samsung Electronics and SK Hynix are said to each be developing a sixth-generation high-bandwidth memory (HBM4) chip prototype at the request of Tesla, which has joined its US Big Tech peers in a race to develop its own artificial intelligence chips.Industry sources said that the US EV giant has asked the Korean chip duo to supply HBM4 chips for general use, and it is expected to choose one of the two companies as its HBM4 supplier after testing their samples. It is expected to use the next-generation HBM chip to enhance its AI chip capability.The Korean chipmakers have been developing customized HBM4 chips for US Big Tech companies.The HBM market is currently led by SK Hynix, a major HBM chip supplier for the global AI chip giant Nvidia, which controls more than 90% of the global AI chip market. Bagging an HBM4 order from Tesla would allow Samsung to turn the tide in the global HBM market.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테슬라의 요청으로 6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4) 시제품을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테슬라가 미국 빅테크 기업의 인공지능 반도체 개발 경쟁에 뛰어든 것이다.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추후 시제품 성능을 비교한 뒤 두 회사 중 하나를 HBM4 공급 업체로 선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AI 반도체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다.우리나라 반도체 회사들은 미국 빅테크 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HBM4를 개발하고 있다.HBM 시장은 엔비디아의 주요 공급처인 SK하이닉스가 주도하고 있으며, 엔비디아는 전 세계 AI 반도체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삼성이 테슬라로부터 HBM4를 주문받는다면 글로벌 HBM 시장의 흐름이 바뀔 것이다.해설고대역폭메모리 제품인 HBM(high-bandwidth memory)은 기존 D램 반도체에 비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어 ‘AI 반도체’라고 불립니다.▶생글생글 24년 6월 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