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혁신' 플랫폼과 기득권 집단의 갈등 해법은?
법률 서비스 플랫폼인 ‘로톡’이 변호사단체와의 갈등에서 일단 승기를 잡았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달 대한변호사협회와 서울지방변호사회가 소속 변호사의 로톡 가입을 막은 데 대해 “경쟁을 제한했다”며 총 2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 로톡은 매월 일정액을 받고 변호사들의 광고를 게재합니다. 변호사단체는 이것이 변호사법에서 금지하는 변호사 소개 행위라고 주장합니다. 그래서 소속 변호사의 로톡 이용을...
-
지진은 왜 일어날까?
지난달 튀르키예에서 강진이 발생해 인명과 재산상 피해가 극에 달했습니다. 자연재해의 위력을 실감하는 계기가 됐죠. 우리나라에서도 크고 작은 지진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번주 커버스토리에선 지진에 대해 다뤘습니다. 지진이 일어나는 원인과 대처법을 알아보고 관련 용어도 짚어봤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한국의 철강왕’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삶을 소개합니다. 줄임말 사용에 관한 주니어 생글 기자들의 의견도 실었습니다.
-
대학 생글이 통신
3월 모의고사 이후 8개월이 진짜 실력 판가름
3월 모의고사는 고등학교 3학년 진급 이후 처음으로 치르는 전국단위 시험입니다. 수험생들은 “3모가 곧 수능 성적이라는 게 진짜예요?” “3모에서 이런 성적이 나왔으니 저는 수시보다 정시가 유리하겠죠?” 등 3모에 남다른 의미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많은 학생이 3모에서 자기 실력이 철저히 검증됐다고 믿고, 그 성적이 수능까지 유지될 것이라고 지레짐작합니다. 3모를 잘 본 학생은 스스로를 과신하고...
-
대입전략
국어·수학 선택과목별 백분위·표준점수 분석 중요…통합수능 문과생 미적분·기하 선택 5.2 → 7.1%로 늘어
고등학교 3학년 대상 3월 모의고사는 재학 중 통합수능 방식으로는 처음 치러보는 시험이다. 고3 들어 본인의 전국 위치를 점검해볼 수 있는 시험이며, 연간 학습 전략을 결정지을 중요한 시험이다. 3월 모의고사의 의미를 짚어보고, 시험 직후 분석 포인트 및 수능 학습 전략을 소개한다. 통합수능이 바꾼 대입지형…서울대 이과생 교차지원 급증 통합수능 2년차인 지난해 대입에서 이과생 강세는 더 뚜렷해졌다. 수학 1등급 내 이과생(미적분...
-
디지털 이코노미
디지털시대 전문영역, 다품종 대량생산 체제로 변화
전문서비스업에서의 갈등이 한창이다. 변호사, 의사, 세무사, 공인중개사 등이 대표적이다. 물론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갈등의 대상이 전문가인지, 전문협회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다만, 분명한 건 기존 전문 서비스를 이용할 더 나은 방법이 있다는 사실을 소비자들이 알아차렸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기술 발전은 이들 서비스를 변모시키고 있다 규칙화되는 전문가 업무 오랜 기간 전문가들은 정해진 절차로 업무를 요약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하지만 ...
-
영어 이야기
'보복 소비'는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South Korean fashion brands are poised to expand their stores in China, aiming to capture pent-up demand in the world’s top consumer market after its reopening. South Korean retail giant E-Land Group’s low-priced casual brand WHO.A.U sto...
-
경제·금융 상식 퀴즈
3월 20일 (790)
1. 예금자들이 돈을 찾기 위해 은행으로 몰려들며 발생하는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를 뜻하는 말은? ①오픈런 ②오픈뱅킹 ③뱅크런 ④배드뱅크 2.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비롯해 통화 관련 주요 정책을 결정할 때 핵심 역할을 하는 합의체 의사결정기구는? ①금융위원회 ②금융감독원 ③금융지주 ④금융통화위원회 3. 한국은행의 설립 목적이자 가장 중요시하는 핵심 정책 목표는 무엇일까? ①환율 안정 ②물가 안정 ③저축 증대 ④경기 부양 4. ...
-
생글기자
핀테크 시대의 그늘, 고령층 금융 소외
핀테크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정보기술(IT)을 기반으로 한 금융 서비스를 말한다. 단순히 인터넷뱅킹이나 모바일뱅킹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SNS와 다양한 지급결제 플랫폼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가 핀테크다. 우리는 이미 금융과 쇼핑에서 핀테크를 광범위하게 이용하고 있다. 스마트폰 이용이 보편화돼 소비 행태가 모바일 중심으로 변화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비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