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나였던 그 아이는 어디 있을까, 질문의 힘을 느껴보라

    <질문의 책>은 1973년 9월 시인이 세상을 떠나기 불과 몇 달 전에 마무리됐다. 74편의 시가 실린 이 책은 목차부터 기묘하다. 시의 제목이 번호로만 붙어 있기 때문이다. 이 시집 속 작품의 모든 연은 물음표로 끝나는데 74편의 시에 붙은 물음표가 316개에 이른다. 인생은 질문의 연속이다. 어린아이들은 겨우 말하기 시작할 때쯤 질문 폭탄을 던져 엄마들을 진 빠지게 한다. 나이 들수록 차츰 질문이 줄어드는 건 다 알아서라기보다 ...

  • 경제 기타

    전기로 물 분해해서 얻는 친환경 에너지원이죠

    수소경제에 대해 들어본 적 있나요? 수소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들었지만, 우리 주변에서 수소차를 보거나 수소와 관련해 체감되는 변화를 느끼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수소에너지가 미래의 중요한 에너지라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습니다. 문제는 상용화 시기겠죠. 주목받는 미래 기술 관련 지문은 수능에 종종 나옵니다. 기술에 대한 설명이나 기술을 둘러싼 논란을 다루는 형태가 되죠. 이 때문에 수소에너지에 대해 공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 교양 기타

    꽃필 차례가 바로 그대 앞에 있다

    그대 앞에 봄이 있다 김종해 우리 살아가는 일 속에 파도치는 날 바람 부는 날이 어디 한두 번이랴 그런 날은 조용히 닻을 내리고 오늘 일을 잠시라도 낮은 곳에 묻어두어야 한다 우리 사랑하는 일 또한 그 같아서 파도치는 날 바람 부는 날은 높은 파도를 타지 않고 낮게 낮게 밀물져야 한다 사랑하는 이여 상처받지 않은 사랑이 어디 있으랴 추운 겨울 다 지내고 꽃필 차례가 바로 그대 앞에 있다 * 김종해 시인 : 1941년...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조선보다 13년 먼저 외세 맞닥뜨린 일본…항구 개방하고 선진 서양문물 적극 수용

    1866년 프랑스 함대 3척이 영종도와 강화도를 거쳐 서울의 양화대교까지 정찰하고 청나라로 귀환했다. 다시 7척의 전함을 끌고 와 600명의 해병대를 상륙시켜 강화도를 파괴하고 약탈했다. 1871년에는 미국이 아시아 함대 5척의 군함과 1230명의 군대로 강화도를 공격해 군인과 백성 300여 명을 죽였다. 이에 앞서 일본은 1853년 미국이 파견한 흑선(군함)의 포함외교에 경악했고, 1854년에는 오키나와와 유·미(琉·...

  • 대학 생글이 통신

    3월 모의고사, 절망하지도 안주하지도 마세요

    고등학교 3년생은 3월 23일 첫 모의고사를 볼 것입니다. 어떤 마음으로 모의고사를 준비하고 있는지 알 수 없지만, 분명 긴장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3월 모의고사 성적이 수능 성적으로 이어진다는 말이 있습니다. 학원에서도 3월 모의고사 성적으로 반을 나누는 경우가 많아 모의고사 결과가 중요한 지표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3월 모의고사 성적으로 자신을 규정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사실 3월 모의고사는 재학생 입장에서 비교적 좋은 등급...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모든 자연수 빠짐없이 세는 방법…수학적 귀납법의 원리

    예를 들어 모든 자연수 n에 대해 1+3+5+ … +(2n-1)=n²이 성립함을 증명해보자(단, 수열의 합의 공식은 쓰지 않기로 하자). 1=1², 1+3=2², 1+3+5=3², … 이므로 주어진 식이 성립함을 직관적으로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자연수 n에 대해서도 성립함을 보이려면 이렇게 하나씩 나열해 보여주는 방식으로는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이때 이것을 한번에 해...

  • 생글기자

    좋은 글을 쓰기 위한 기초, 육하원칙을 지키자

    육하원칙은 기사문에 들어가야 할 여섯 가지 요소다.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등 여섯 가지가 필수적으로 포함돼야 한다는 것이다. 기사에 적용되는 원칙이지만 다른 종류의 글을 쓸 때도 염두에 두면 유용하다. 육하원칙의 유래는 오래됐다. 고대 그리스의 수사학자 헤르마고라스가 ‘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왜, 어떤 방식으로, 무슨 수단으로’를 논리적 수사법으로 제시한 것을 그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萬事休矣 (만사휴의)

    ▶한자풀이 萬: 일만 만 事: 일 사 休: 쉴 휴 矣: 어조사 의 모든 일이 끝장났다는 뜻으로 어찌해볼 도리가 없음을 이름 -<송사(宋史)> 당나라가 멸망하고 960년 송나라가 등장할 때까지 50여 년 동안 중국에는 많은 국가가 등장하고 사라졌다. 중원에만 후량(後梁) 후당(後唐) 후진(後晉) 후한(後漢) 후주(後周) 등 다섯 봉건 왕조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반짝 빛을 발하다가 꺼지곤 했다. 중원을 벗어난 변방의 사정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