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관습과 불법의 경계 넘나드는 중국의 뇌물문화

    권력 집중이 낳은 사생아… 세계 각국 부패와의 전쟁중 "로비 대상과 밥을 먹을 때는 식당을 상대방이 지정하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밥값이 비싸다고 말하는 건 금물입니다." 중국에서 건설업을 하고 있는 왕씨의 말이다. 그는 처음 사업을 할 때부터 아버지로부터 이런 가르침을 받았다고 한다. 상대방이 지정한 식당에서 식사를 하면 대개 1만위안(약 180만원) 정도면 충분할 밥값이 2만~3만위안(360만~540만원)가량 나올 때가 있다. 하...

  • 과학 기타

    더 작아지고 더 선명해지고… '디카의 변신'은 어디까지…

    초소형 DSLR 등장… 하이브리드 디카 시대 '바짝' 최근 디지털카메라는 누구나 한 대씩 갖고 있는 필수 구비 아이템이다. 휴가철을 맞아 관광지에 가보면 누구나 디지털카메라 하나 정도는 갖고 사진을 찍을 정도다. 오히려 셔터카메라를 갖고 사진찍는 사람이 더 근사해 보일 정도로 디지털카메라는 생활필수품으로 자리잡았다. 그 정도로 흔하디 흔한 것이 디지털카메라다. 하지만 이른바 사고 싶어도 '없어서 못 사는 카메라'가 나왔다. 최근 전자...

  • 경제 기타

    교과서 가격 자율화해도 괜찮을까요?

    찬 “교과서 품질 높아져 참고서 사라지게 만들것” 반 “교과서 가격 올리고 출판사들 로비 부추길것” 초 · 중 · 고 검정교과서의 가격 자율화문제를 놓고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을 개정,그동안 정부가 결정 · 고시하던 가격을 출판사가 직접 결정할 수 있도록 한 게 그 발단이다. 검증교과서 발행에 경쟁원리가 도입되면 교과서 개발이 활성화되고 품질이 높아져 참고서가 필요없게 될 것이라는 게 교육 당국의...

  • 경제 기타

    외교부로 간 'YUPAD'… 글로벌 리더를 꿈꾸다

    "한 사회의 청소년을 보면 그 사회의 미래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민족적 통일을 넘어 세계를 바꾸기 위해 꿈꾸는 청소년이 됩니다." 지난 8월14일 오전 12시. 전국청소년정치외교연합(YUPAD) 학생들이 정기총회와 외교통상부 견학을 위해 서대문 청소년수련관에 모인 가운데 청소년수련관 황인국 관장의 인사로 회의가 시작됐다. 전국청소년정치외교연합(YUPAD)은 Youth United Politics And Diplomacy의 약자로,200...

  • 경제 기타

    무리한 방학보충수업,과연 도움이 될까?

    방학을 맞이해 환호하는 학생들,하지만 기쁨도 잠시 선생님의 한마디에 절망한다. "방학보충수업을 실시한다. 내일부터 평상시대로 학교에 나오도록…." 이제는 방학도 방학이 아니다. 많은 중고등학교들은 방학이 시작되고 나서도 무리한 방학보충 스케줄로 학생들에게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 실상 방학의 의미가 상실되고 있는 듯하다. 거기에 방학 보충수업은 강제적이다. 모든 학생들에게 들을 것을 요구하며 예 · 체능쪽이나 특별한 재능을 보유한 학생...

  • 경제 기타

    대전 갑천에 오시면 '수상 뮤지컬'을 볼수 있어요!

    올해로 12회를 맞이하는 대전 갑천 문화재가 새로운 변신을 시도했다. 갑천에서 실행되는 수상뮤지컬을 기획하여 갑천 둔치가 객석으로 변해 대전의 많은 시민들로 꽉찰 만큼의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 8월13~16일 시행된 수상뮤지컬 갑천은 대전 시민 1000여명과 전문 연극인 500여명을 동원하여 시민들과 함께 꾸려나가는 지역 축제의 좋은 표본이 되고 있다. 특히 국내 최초,최대의 수상뮤지컬이라는 수식어를 단 수상뮤지컬 갑천은 독창성과 많은...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25>

    무게중심 S·논술 자연계 논술 팀장 ximpson@hanmail.net

  • 학습 길잡이 기타

    변방의 말들 : 독거노인과 홀로노인은 경쟁관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전국의 60세 이상 노인 2417명을 표본으로 조사한 '노인생활 실태조사'에 따르면 배우자를 잃고 혼자 사는 독거노인은 전체의 11.9%,자녀와 따로 사는 부부 노인은 29.1%로 전체 노인 인구의 41%가 독립가구로 사는 것으로 밝혀졌다." 1995년 1월15일 한 신문이 보도한 이 기사에는 지금은 제법 많이 쓰이는 '독거노인'이란 표현이 나온다. 하지만 당시만 해도 이 말은 그리 친숙한 것이 아니었다.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