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소형 DSLR 등장… 하이브리드 디카 시대 ‘바짝’
최근 디지털카메라는 누구나 한 대씩 갖고 있는 필수 구비 아이템이다.
휴가철을 맞아 관광지에 가보면 누구나 디지털카메라 하나 정도는 갖고 사진을 찍을 정도다.
오히려 셔터카메라를 갖고 사진찍는 사람이 더 근사해 보일 정도로 디지털카메라는 생활필수품으로 자리잡았다.
그 정도로 흔하디 흔한 것이 디지털카메라다.
하지만 이른바 사고 싶어도 '없어서 못 사는 카메라'가 나왔다.
최근 전자제품 전문기업 올림푸스가 '초소형 DSLR'라는 홍보문구와 함께 내놓은 디지털카메라 '펜 E-P1'이 그것이다.
회사가 예약판매를 위해 준비했던 1000여대의 카메라가 발매 5시간 만에 다 팔렸고 정식 판매를 위해 준비해 둔 물량 500여대는 2시간 만에 동이 날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100만원이면 큼지막하고 좋은 카메라를 렌즈까지 끼워서 살 수 있는 세상인데 몸체만 120만원이 넘는 이 카메라가 왜 인기를 끌고 있을까? 무엇이 그리 좋기에?
⊙ 카메라의 성능을 어떻게 구분할까?
카메라의 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몇 가지 중요한 기준은 있다.
흔히 사용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카메라에 찍힐 영상을 어떻게 들여다보는지를 따져서 결정된다.
개인용 카메라는 SLR(Single Lens Reflex)라고 불리는 렌즈가 하나인 일안반사식 카메라가 일반적이다.
이런 SLR에 디지털기능이 포함돼 앞에 D(Digital)자가 하나 더 붙은 DSLR 카메라가 최근 고급카메라로 인정받고 있다.
DSLR 카메라는 필름 대신 빛에 반응하는 센서(CCD 또는 CMOS)가 들어 있지만 기본적인 원리는 흔히 수동식 카메라라고 부르던 과거의 셔터식 SLR 카메라와 같다.
SLR카메라의 최대 장점은 눈으로 본 그대로 사진을 찍을 수 있다는 점이다.
SLR 형식의 카메라 내부에는 거울이 들어 있는데 필름(또는 디지털센서)에 비추어줄 빛을 반사시켜 파인더로 옮겨준다.
파인더를 들여다보던 사용자가 이때다 싶어 셔터를 누르면 카메라는 거울을 위로 들어 올리며 빛을 필름으로 보내 사진을 찍게 된다.
SLR 카메라가 유달리 찰칵 소리가 큰 이유가 여기서 나온다.
사용자가 카메라 뒤쪽에 붙은 액정화면을 바라보며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액정식도 있는데 흔히 똑딱이라 불리는 소형 디지털 카메라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렌즈를 통해서 들어오는 상을 CCD로 바로 읽어서 디지털화한 화면을 LCD로 보여주는데 어떤 사진이 찍힐지 바로 이해할 수 있어서 카메라를 잘 모르는 사람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개념적으로만 생각한다면 가장 편리하고 진보된 방식인 셈이다.
액정식은 최대의 특징인 액정화면이 장점이면서도 단점이다.
자연적인 빛을 그대로 반사해 주는 SLR에 비해 아무래도 시각적으로 불편하고 신호 처리를 해야 하니 필수적으로 시간차가 발생해 누르는 순간 사진을 찍는 민첩함도 떨어진다.
따라서 사진을 전문으로 찍는 사람이거나 순간의 표정 등이나 상황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소형 디지털카메라보다는 DSLR가 유용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런 구분법은 모두 조작의 편리함과 관계가 있을 뿐 화질과는 큰 관계가 없다.
하지만 사진에 취미를 붙여갈수록 사람들은 고성능의 SLR 카메라를 찾는 경우가 많다. 대체 왜 그럴까?
⊙ DSLR가 왜 고성능 카메라인가?
DSLR 카메라가 고성능 카메라로 분류되는 이유는 의외로 보통 디지털카메라와는 다른 커다란 크기 때문이다.
전자제품 회사는 필름카메라 시절부터 사용하던 렌즈를 그대로 디지털카메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큰 크기를 유지해야 했고 필름과 비슷한 크기의 CCD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사실 디지털카메라를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바로 CCD의 크기라고 할 수 있는데 수백만원을 호가하는 고급형 DSLR카메라에는 필름과 똑같은 크기(가로36㎜, 세로24㎜)의 CCD가 들어 있다.
또 100만원 안팎의 중 · 저가형 카메라의 경우는 이보다 약간 작은 크기의 CCD가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보급형인 소형카메라에는 보통 손톱만한 작은 CCD가 사용된다.
흔히 카메라를 구분하는 기준인 '화소'는 '화질'과는 다르다.
화소는 사진의 품질보다는 사진을 구성하는 점의 총 개수일 뿐이다.
즉 500만 화소면 500만개의 점으로 사진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CCD 크기가 다른 상태에서 화소 수를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같은 1000만 화소라 할지라도 DSLR가 소형 디지털카메라에 비해 각 화소별로 빛을 받는 면적이 크고 당연히 사진이 더 밝게 찍힌다.
빛의 양이 충분하니 깨끗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SLR 카메라가 화질이 더 뛰어나다는 말은 여기서 비롯된다.
하지만 SLR카메라는 아무래도 크고 무거워서 불편하다.
적당히 잘 찍히면서도 가지고 다니기 편한 카메라를 찾는 실용주의자들에겐 부담이다.
카메라 전문 기업들도 현재 크기를 줄이기 위해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내부에 들어있는 거울과 빛을 파인더로 모아주는 펜타프리즘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 어쩔 수 없어서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 작은 DSLR를 만들 수는 없을까?
하지만 이런 통념을 깨는 카메라가 등장했다.
DSLR 수준의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크기가 작아 휴대가 가능해진 디자인의 카메라가 등장한 것이다.
주인공은 앞에서 말한 올림푸스의 펜 E-P1 시리즈.
CCD 크기는 DSLR와 같아서 화질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고 렌즈도 교체할 수 있다.
하지만 SLR식의 반사거울을 포기해 크기를 줄인 것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파나소닉이나 삼성디지털이미징이 올 하반기에 내놓을 신제품도 이런 하이브리드 방식의 카메라가 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하이브리드 카메라가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니다.
스포츠나 작품사진 촬영,취재보도 등 전문가의 영역에선 DSLR 카메라의 성능을 따라잡긴 어렵고 휴대성만 생각한다면 손바닥만한 소형디지털 카메라가 더 유리하다는 한계는 분명히 존재한다.
하지만 높은 화질과 휴대성을 다 만족시킬 수 있는 카메라가 등장한다면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 아닐까?
<참고 : 과학기문정보통합서비스 과학향기>
임기훈 한국경제신문기자 shagger@hankyung.com
최근 디지털카메라는 누구나 한 대씩 갖고 있는 필수 구비 아이템이다.
휴가철을 맞아 관광지에 가보면 누구나 디지털카메라 하나 정도는 갖고 사진을 찍을 정도다.
오히려 셔터카메라를 갖고 사진찍는 사람이 더 근사해 보일 정도로 디지털카메라는 생활필수품으로 자리잡았다.
그 정도로 흔하디 흔한 것이 디지털카메라다.
하지만 이른바 사고 싶어도 '없어서 못 사는 카메라'가 나왔다.
최근 전자제품 전문기업 올림푸스가 '초소형 DSLR'라는 홍보문구와 함께 내놓은 디지털카메라 '펜 E-P1'이 그것이다.
회사가 예약판매를 위해 준비했던 1000여대의 카메라가 발매 5시간 만에 다 팔렸고 정식 판매를 위해 준비해 둔 물량 500여대는 2시간 만에 동이 날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100만원이면 큼지막하고 좋은 카메라를 렌즈까지 끼워서 살 수 있는 세상인데 몸체만 120만원이 넘는 이 카메라가 왜 인기를 끌고 있을까? 무엇이 그리 좋기에?
⊙ 카메라의 성능을 어떻게 구분할까?
카메라의 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몇 가지 중요한 기준은 있다.
흔히 사용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카메라에 찍힐 영상을 어떻게 들여다보는지를 따져서 결정된다.
개인용 카메라는 SLR(Single Lens Reflex)라고 불리는 렌즈가 하나인 일안반사식 카메라가 일반적이다.
이런 SLR에 디지털기능이 포함돼 앞에 D(Digital)자가 하나 더 붙은 DSLR 카메라가 최근 고급카메라로 인정받고 있다.
DSLR 카메라는 필름 대신 빛에 반응하는 센서(CCD 또는 CMOS)가 들어 있지만 기본적인 원리는 흔히 수동식 카메라라고 부르던 과거의 셔터식 SLR 카메라와 같다.
SLR카메라의 최대 장점은 눈으로 본 그대로 사진을 찍을 수 있다는 점이다.
SLR 형식의 카메라 내부에는 거울이 들어 있는데 필름(또는 디지털센서)에 비추어줄 빛을 반사시켜 파인더로 옮겨준다.
파인더를 들여다보던 사용자가 이때다 싶어 셔터를 누르면 카메라는 거울을 위로 들어 올리며 빛을 필름으로 보내 사진을 찍게 된다.
SLR 카메라가 유달리 찰칵 소리가 큰 이유가 여기서 나온다.
사용자가 카메라 뒤쪽에 붙은 액정화면을 바라보며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액정식도 있는데 흔히 똑딱이라 불리는 소형 디지털 카메라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렌즈를 통해서 들어오는 상을 CCD로 바로 읽어서 디지털화한 화면을 LCD로 보여주는데 어떤 사진이 찍힐지 바로 이해할 수 있어서 카메라를 잘 모르는 사람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개념적으로만 생각한다면 가장 편리하고 진보된 방식인 셈이다.
액정식은 최대의 특징인 액정화면이 장점이면서도 단점이다.
자연적인 빛을 그대로 반사해 주는 SLR에 비해 아무래도 시각적으로 불편하고 신호 처리를 해야 하니 필수적으로 시간차가 발생해 누르는 순간 사진을 찍는 민첩함도 떨어진다.
따라서 사진을 전문으로 찍는 사람이거나 순간의 표정 등이나 상황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소형 디지털카메라보다는 DSLR가 유용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런 구분법은 모두 조작의 편리함과 관계가 있을 뿐 화질과는 큰 관계가 없다.
하지만 사진에 취미를 붙여갈수록 사람들은 고성능의 SLR 카메라를 찾는 경우가 많다. 대체 왜 그럴까?
⊙ DSLR가 왜 고성능 카메라인가?
DSLR 카메라가 고성능 카메라로 분류되는 이유는 의외로 보통 디지털카메라와는 다른 커다란 크기 때문이다.
전자제품 회사는 필름카메라 시절부터 사용하던 렌즈를 그대로 디지털카메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큰 크기를 유지해야 했고 필름과 비슷한 크기의 CCD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사실 디지털카메라를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바로 CCD의 크기라고 할 수 있는데 수백만원을 호가하는 고급형 DSLR카메라에는 필름과 똑같은 크기(가로36㎜, 세로24㎜)의 CCD가 들어 있다.
또 100만원 안팎의 중 · 저가형 카메라의 경우는 이보다 약간 작은 크기의 CCD가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보급형인 소형카메라에는 보통 손톱만한 작은 CCD가 사용된다.
흔히 카메라를 구분하는 기준인 '화소'는 '화질'과는 다르다.
화소는 사진의 품질보다는 사진을 구성하는 점의 총 개수일 뿐이다.
즉 500만 화소면 500만개의 점으로 사진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CCD 크기가 다른 상태에서 화소 수를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같은 1000만 화소라 할지라도 DSLR가 소형 디지털카메라에 비해 각 화소별로 빛을 받는 면적이 크고 당연히 사진이 더 밝게 찍힌다.
빛의 양이 충분하니 깨끗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SLR 카메라가 화질이 더 뛰어나다는 말은 여기서 비롯된다.
하지만 SLR카메라는 아무래도 크고 무거워서 불편하다.
적당히 잘 찍히면서도 가지고 다니기 편한 카메라를 찾는 실용주의자들에겐 부담이다.
카메라 전문 기업들도 현재 크기를 줄이기 위해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내부에 들어있는 거울과 빛을 파인더로 모아주는 펜타프리즘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 어쩔 수 없어서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 작은 DSLR를 만들 수는 없을까?
하지만 이런 통념을 깨는 카메라가 등장했다.
DSLR 수준의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크기가 작아 휴대가 가능해진 디자인의 카메라가 등장한 것이다.
주인공은 앞에서 말한 올림푸스의 펜 E-P1 시리즈.
CCD 크기는 DSLR와 같아서 화질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고 렌즈도 교체할 수 있다.
하지만 SLR식의 반사거울을 포기해 크기를 줄인 것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파나소닉이나 삼성디지털이미징이 올 하반기에 내놓을 신제품도 이런 하이브리드 방식의 카메라가 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하이브리드 카메라가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니다.
스포츠나 작품사진 촬영,취재보도 등 전문가의 영역에선 DSLR 카메라의 성능을 따라잡긴 어렵고 휴대성만 생각한다면 손바닥만한 소형디지털 카메라가 더 유리하다는 한계는 분명히 존재한다.
하지만 높은 화질과 휴대성을 다 만족시킬 수 있는 카메라가 등장한다면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 아닐까?
<참고 : 과학기문정보통합서비스 과학향기>
임기훈 한국경제신문기자 shagg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