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물가 오른만큼 지원금 주면, 金사과 먹을 수 있을까

    사과 한 개가 한때 1만 원에 가까웠다. 라면에 김밥을 먹으려 해도 1만 원은 있어야 한다. 소득이 물가를 못 따라간다고 여기저기서 아우성친다. 그래서 물가를 따라잡을 수 있게 소득을 늘려주겠다는 공약이 나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내건 ‘민생 회복 지원금’이다.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 원, 4인 가구 기준 100만 원을 준다는 내용이다. 물가가 올랐으니 소득도 늘어야 한다는 단순 명쾌한 논리다. 그러나 소득을 ...

  • 경제·금융 상식 퀴즈

    4월 15일 (841)

    1. 한국의 첫 자유무역협정(FTA) 발효가 이달로 20주년을 맞았다. 우리나라가 처음 FTA를 맺은 나라는 어디였을까? ① 스페인 ② 미국 ③ 칠레 ④ 포르투갈 2. 새마을호보다 두 배 빠른 고속철도인 ‘이것’이 이달 개통 20주년을 맞았다. 누적 승객 10억 명을 넘은 이것은? ① GTX ② KTX ③ LCC ④ OTT 3. 투자자의 은퇴 시기를 목표 시점으로 잡고 생애주기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자산배분...

  • 대학 생글이 통신

    지속 가능한 공부 습관, 인내하는 힘 길러보자

    등학교에 입학해 지난 한 달을 돌아보며 걱정이 앞서는 1학년 학생들이 있을 겁니다. 개인의 ‘강단’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시기라는 점에서 몇 가지 조언을 드리고자 합니다. 가장 강조하고 싶은 키워드는 바로 ‘지속 가능성’입니다. 영어 지문에서 종종 접하는 ‘sustainability(지속 가능성)’를 여러분의 삶에 적용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운 일입니다. 고등학교 3년은 장기...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최고가격제와 최저가격제

    [문제] 최고가격제와 최저가격제에 대한 옳은 설명을 고르면? ㄱ. 최고가격제는 가격을 시장 균형 가격 이하로 통제하는 제도다. ㄴ. 최고가격제의 대표적인 예는 농산물 가격 지지 정책이다. ㄷ. 시장에서 최저가격제를 시행하면 초과 공급이 발생한다. ㄹ. 노동 시장에서 최저가격제는 생산요소시장에서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이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해설] 최고가격제는 시장균형가격보다 낮게...

  • 영어 이야기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내다 'punch above one's weight'

    South Korea and Japan are the two most important markets for mergers and acquisitions in Asia, and China is still a significant private market with potential for mid- to long-term growth, North Asia-focused private equity firm MBK Partners said in an...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異路同歸 (이로동귀)

    ▶ 한자풀이 異: 다를 이 路: 길 로 同: 같을 동 歸: 돌아갈 귀 길은 다르지만 돌아가는 곳은 같다 방법과 과정은 달라도 지향점은 같음 - <회남자(淮南子)> <회남자>는 전한 시대 유안(劉安)이 전국의 빈객과 방술가를 모아서 편찬한 일종의 백과사전으로, <여씨춘추>와 함께 제자백가 중 잡가(雜家)의 대표작이다. 잡가는 춘추전국시대 제가(諸家)의 설(說)을 종합해 만든 학설이나 그 학설을 따르던...

  • 경제 기타

    방대한 데이터 동시 처리…AI 혁신의 핵심

    인공지능(AI)의 시대가 온다고 하죠. 그러면서 요즘 많이 언급되는 게 있습니다. 바로 AI 반도체입니다. AI 반도체는 한국의 미래 먹거리로도 꼽히는 기술인데요, 기술 관련 비문학 지문에서 AI 관련 지문이 언제든 출제될 수 있으니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순차처리에서 동시처리로 발전 AI는 수많은 데이터를 다루죠.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통해 그동안 다루지 못했던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습득하고, 적용해요. 그러려면 대규모 연산을 초고...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외국인 돌봄 도우미 '차등 임금' 불가피한가

    저출산·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육아와 간병에 어려움을 겪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다락같이 오른 최저임금이 가사도우미 쪽으로도 파장이 미치는 것이다. 한국은행과 KDI 공동 세미나에서 발표한 연구 자료에 따르면, 하루 10시간 이상의 전일제 가사·육아 도우미를 쓸 경우 월평균 264만 원이 들어간다. 30대 가구 중위소득 509만 원의 절반을 웃돈다. 실정이 이렇다 보니 통화정책을 담당하는 한국은행이 나서 외국인 인력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