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키워드 시사경제
패륜아도 상속받는 민법, 47년 만에 대수술
패륜적 행위를 일삼은 부모나 자식에게도 유산을 물려주도록 강요한다는 논란이 일었던 유류분(遺留分) 제도가 47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헌법재판소는 지난달 25일 유류분 관련 민법 조항들에 대해 재판관 전원일치로 위헌 또는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유류분 제도의 헌법적 정당성은 인정하면서도 달라진 시대상에 맞게 세부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유산 독차지’ 방지…1970년대 도입 사람이 재산...
-
학습 길잡이 기타
코사인 법칙은 피타고라스 정리의 확장판
수학 공부를 할 때 어떤 개념을 깊이 이해하고 다각도로 바라보는 것은 중요한 공부법입니다. 연습하는 유형 위주로만 공부한다면 학교 내신에는 유리할 수 있겠지만, 정작 수능형 문제에는 적응하기 어려운 것과 같은 이유입니다. 오늘 소개할 내용은 수학 성적에 유의미한 변화를 만들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다만 따로따로 라고 생각한 것들을 큰 맥락과 흐름에서 이해할 수 있다면 그 자체로 흥미로울뿐더러 통합적 이해에 한 발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으리라...
-
생글기자
청년들의 '기업가 정신' 더 높여줘야
전문직과 대기업, 미래에 대한 고민이 가득한 청소년들은 대체로 정해진 틀 안에서 안정적 미래를 꿈꾼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최근 조사한 바에 따르면 청년들이 스스로 기업가 정신이 낮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전적 기업가 정신은 과거 경제가 고속 성장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했을뿐더러 고부가가치 첨단기술이 중요한 미래에도 매우 중요한 덕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년들의 기업가 정신을 고취하기 위해서는 사회 각계의 노력이 필요하다. 미국...
-
생글기자
숏폼 열풍 속 문해력 저하 심각하다
짧은 영상 콘텐츠인 ‘숏폼(short-form)’ 인기가 급증하고 있다. 짧고 굵게 재미를 느낄 수 있어서다.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국 15~59세 남녀 5000명 중 68.9%가 숏폼을 시청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조사 때 56.5%보다 12.4%p 증가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자료에 따르면 청소년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동영상 플랫폼은 유튜브,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 순으로 이용률 2~...
-
역사 기타
파종할 씨앗까지 털어가 수백만명 아사 '지옥'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터졌을 때 가장 속상했을 사람은 아마도 우크라이나 대통령이었을 것이다. 이전까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국제 뉴스에서 항상 ‘원톱’이었고, 세계 각국 의회에서 연설하는 등 그 자신도 록 스타에 가까운 인기를 누렸다. 하지만 이제는 중동전쟁에 밀려 단신으로 취급되거나 다른 뉴스 분량이 넘치면 그나마도 생략이다. 잊힌다는 것은 얼마나 서러운가. 어쩌면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우크...
-
대학 생글이 통신
'인생의 여름방학'이라는 일본의 대학생활
‘人生の夏休み’. 우리말로 번역하면 ‘인생의 여름방학’이라는 뜻으로, 일본에서 대학 생활을 일컫는 은유적 표현입니다. 여름 바다처럼 청량하고 태양처럼 열정적인 ‘젊은 날의 청춘’과 같은 이미지가 떠오르는데요, 대학 입학을 목표로 학교와 학원을 오가며 공부에만 매진하는 청소년들에겐 어쩌면 희망이 될 수 있는 말입니다. 한편으론 정해진 패턴 또는 규칙 없이 자유롭게 놀며 즐기는 방탕한...
-
대학 생글이 통신
원서 읽기 전, 이해 돕는 독서 병행이 중요
대학생뿐 아니라 특목고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이라면 어려운 전공 책을 원서로 읽거나 ‘핸드북’임에도 얇지 않은 두께의 책을 읽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보고서, 요약본, 발표 자료 등 무언가 결과물을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그렇죠. 특목고 학생들에겐 생활기록부 활동에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책이 두께가 있는 데다 한국어 책도 아니라면 제대로 이해가 되었는지조차 모른 채 어영부영 읽고 넘어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시간이 ...
-
영어 이야기
장단점 또는 찬성과 반대를 말할 땐 'pros and cons'
The conflict between HYBE Co. its label behind globally popular girl group NewJeans has sparked a debate on the pros and cons of the K-pop’s multi-label system. Their clash has brought to the surface the challenge facing the K-pop industry&rs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