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입시는 고등학문의 기초 쌓는 소중한 기회

    한국 사회에서 대학은 자기 증명의 과정이자 사회로 진입하는 전 단계입니다. 그래서 초등학교부터 12년 혹은 그 이상의 시간을 공부하며 해당 관문을 적절히 통과하기 위해 할애합니다. 공부 외의 다른 일들은 솔직히 부차적인 것으로 여깁니다. 이런 문제를 경계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대입에 매몰돼 다시는 돌아가고 싶지 않은 10대가 아닌, 의미 있고 건설적인 수험 생활을 하는 방법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학업과 학교생활, 대외 ...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재일교포의 처절한 삶, 사랑으로 이겨내다

    일본을 ‘멀고도 가까운 나라’라고 부른다. 우리나라를 식민 지배한 일본은 역사를 왜곡하고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등 갖가지 사안으로 우리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는 나라다. 그런가 하면 일본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즐겨 찾는 여행지이기도 하다. K팝과 K드라마에 심취한 일본 젊은이들이 한국을 많이 찾는 것도 근래의 새로운 풍경이다. 1910년 한일합방 이후 많은 조선인이 일본으로 건너가거나 끌려갔다. 1945년 일본...

  • 경제 기타

    물가 오름세가 둔화되는 현상을 표현한 말이죠

    미국 중앙은행(Fed)에서 대표적 매파(통화 긴축 선호) 인사로 분류되는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연방준비은행 총재(사진)가 “현재 가장 가능성이 큰 시나리오는 디스인플레이션(물가 상승세 둔화)이 계속되는지가 명확해질 때까지 금리를 장기간 동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2024년 5월 9일 자 한국경제신문- 미국 중앙은행인 연준이 언제 금리인하에 나설지는 전 세계 경제의 최대 관심사입니다. 미국의 금리 결정에 따라 글로벌...

  • 역사 기타

    나폴레옹의 대륙봉쇄, 자신을 겨눈 총구 됐다

    예술에서 혜성처럼 등장한 신인을 주저앉히는 방법은 간단하다. “호모사피엔스 역사 이래 최고의 재능” 같은 찬사를 안겨주면 스스로 무게를 감당하지 못해 대부분 다음 작품에서 망한다. 최악의 경우 데뷔작이 대표작이자 은퇴작이 되기도 하는데, 대중음악에서는 이런 경우를 ‘원 히트 원더(one-hit wonder)’라고 부른다. 악취미가 아니라 그냥 그렇다는 얘기다. 중견 이상부터는 쉽지 않다. 칭찬도 제법...

  • 시사·교양 기타

    환율이 오르고 내리는 이유

    주니어 생글생글 제113호 커버 스토리 주제는 환율입니다. 해외여행과 해외 직구, 수입품 가격 등을 예로 들어 환율 변화가 우리 경제와 일상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봤습니다. 환율이 오르고 내리는 이유도 설명했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의 주인공은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한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입니다. 항공우주 과학자를 꿈꾸던 소년 시절부터 6·25 전쟁 참전을 거쳐 달에 첫발을 내딛기까지 암스트롱의 일대기를 돌아봤습니다.

  • 키워드 시사경제

    '불닭볶음면' 삼양식품 몸값, 농심 제쳤다

    ‘불닭볶음면’으로 매운맛 열풍을 일으킨 삼양식품이 시가총액에서 라면업계 ‘부동의 1위 기업’ 농심을 제쳤다. 삼양식품 주가는 지난 10일 전날보다 5% 오른 32만5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종가를 기준으로 한 시총은 2조4520억원을 기록했다. 농심은 1.26% 상승한 40만25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시총은 2조4483억원으로 삼양식품보다 37억원 뒤처졌다. 라면주 매출 1등은 농심&hell...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올해 논술선발 1007명…내년에는 의예과도 40명 예정

    가천대는 올해 수시모집에서 논술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며, 내년에는 의예과에서 논술로만 40명을 선발할 예정이어서 관심을 가져볼 만한 대학이다. 가천대는 올해부터 논술 100%로 선발하며, 수능 최저도 일부 상위학과를 제외하면 1개 3등급을 충족하면 되므로 내신과 수능 성적이 불리하더라도 큰 부담 없이 도전해볼 수 있다. 시험 유형은 국어와 수학을 모두 치르며 수학 문항의 변별력이 큰 만큼 수학 학습에 보다 큰 비중을 두어야 한다. 문항은 ...

  • 경제 기타

    우리집 살림 팍팍한데…성장률 서프라이즈라고?

    정부도 놀라고 한국은행도 놀랐다. 그리고 많은 사람이 어리둥절해했다.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 얘기다. 전 분기 대비 1.3%로 2021년 4분기(1.4%) 후 최고치였고, 전문가 추정치(0.5~0.6%)의 두 배가 넘었다. 물가가 너무 올라 외식하기도 겁나고 대출이자 갚느라 허리가 휘는데, 경제성장률은 ‘서프라이즈’라니. 나만 먹고살기 힘든 걸까. 지표경기와 체감경기에 차이가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GDP와 GNI의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