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시사·교양 기타
우주관광 시대 열린다
주니어 생글생글 제137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우주 관광’입니다. 버진 갤럭틱, 블루 오리진, 스페이스X 등 우주 관광 상품을 판매하는 세계적인 기업과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을 소개했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선 스포츠를 통해 젊은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려고 한 오니츠카 기하치로 아식스 창업자의 이야기를 실었습니다.
-
경제 기타
은행 건전성 관리, 대출 규제가 중요 수단
수능이나 평가원 모의평가에서는 경제 관련 지문이 나올 때 금융시장에 대한 내용이 종종 출제됐습니다. 중앙은행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가 가장 무난한 경제 지문이기도 하지요. 이번엔 금융 안정 측면에서 금융당국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융 안정이란 금융은 무엇일까요. ‘금전의 융통’을 줄인 말입니다. 즉 돈을 빌리고 갚는 행위가 금융인 셈이죠. 정부, 개인, 기업 등 모든 이가 금융 활동의 주체입니다. 돈이 있...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수탁받다'란 말은 없어요
점입가경, 가관, 천고마비, 청천벽력, 요령, 횡설수설, 장광설, 엉터리, 주책, 독불장군…. 전혀 연관성이 없는 말들을 나열한 듯 보인다. 하지만 이들 사이에는 공통점이 하나 있다. 모두 의미변화를 일으킨 말이란 점이다. 특히 그것도 거의 정반대 쓰임으로 굳어진, 독특한 우리말 유형에 해당하는 말들이다. 이들에 관한 이야기는 나중에 기회가 닿는 대로 다시 다루기로 하고, 오늘은 이 중 ‘점입가경’의 중복표현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토포악발 (吐哺握髮)
▶한자풀이 吐: 토할 토 哺: 먹을 포 握: 쥘 악 髮: 터럭 발 먹던 것은 뱉고 감고 있는 머리를 거머쥐다 인재를 얻기 위해 애쓰는 것을 비유하는 말 -<한시외전(韓詩外傳)> 주(周)나라는 무왕(武王)이 은(殷)나라 주왕(紂王)을 멸하고 세운 나라다. 무왕의 치세로 혼란한 정세는 점차 회복해가고 있었다. 그런데 무왕이 질병으로 죽고 나이 어린 성왕(成王)이 제위에 오르자, 무경과 관숙 등이 반란을 일으키는 등 정세는 ...
-
전세계 '텍스트 힙' 열풍
제871호 생글생글은 ‘텍스트 힙’을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다. 최근 ‘글을 읽는 것이 멋지다’는 의미의 텍스트 힙 흐름이 세계 각국의 Z세대를 중심으로 퍼지고 있다. SNS에 독후감을 올리거나 책에 나온 멋진 구절, 책 표지, 자신의 서가 등을 사진으로 찍어 공유하는 사람이 많다. 한국에선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이런 현상에 힘을 더했다. 인공지능(AI) 시대에 활자를 찾는 사람이 늘어나는 이...
-
커버스토리
10년 만의 독서 열풍…주목받는 '텍스트 힙'
요즘 사람들은 자신의 일상을 온라인에 올리곤 합니다. 실생활에서는 주변인과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도 온라인 공간에선 자신을 활짝 드러내는 이도 많죠. 디지털 시대 네트워킹의 달라진 단면인데요, SNS에 등장하는 유명인이나 인플루언서의 이런 일상이 ‘힙(hip)하다(멋지다)’ 싶으면 너도나도 따라 하는 게 유행이 됐습니다. 최근엔 ‘글을 읽는 것이 멋지다’는 뜻의 ‘텍스트 힙(text hip)...
-
숫자로 읽는 세상
직방 123만 vs 한방 3만명…공공플랫폼 '존재감 바닥'
주요 직역단체가 민간 플랫폼에 대응하기 위해 협회발(發) 플랫폼을 만들어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이용률이 저조하고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트래픽 분석업체 시밀러웹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대한변호사협회가 구축한 법률 플랫폼 ‘나의 변호사’ 웹 방문자는 1만6900명가량이다. 같은 기간 민간 플랫폼인 로톡 웹 방문자(97만9100명)의 58분의 1 수준이다. 나의 변호사는 변협이 ...
-
경제 기타
저축은 자본량을 늘려 1인당 GDP 증가시키죠
이번 주에 살펴볼 솔로(Solow)의 경제성장 모형은 지난주에 배운 맬서스(Malthus)의 모형과 함께 외생적 성장 모형으로 분류되는 개념이다. 외생적 성장 모형은 생산요소의 투입을 중심으로 경제가 성장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맬서스가 살던 시절에는 농업이 가장 큰 산업이었다. 노동을 주요 투입 요소로 한정하여 식량의 생산과정을 통해 경제성장을 설명한 것은 어느 정도 타당했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서는 노동과 더불어 자본도 생산과정에서 중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