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원화 환율
[문제]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이 상승하는 요인을 고르면?(단, 다른 조건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국제 거래는 미국 달러화로 결제한다.) 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② 내국인의 해외여행 수요 증가 ③ 외국인 주식투자 자금의 국내 유입 증가 ④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으로 미국 달러화 매도 ⑤ 국내 수출기업이 벌어들인 달러화를 원화로 환전 [해설]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이 상승한다는 것은 원화 가치의 하락, 환율이 하락한다는 것은 원...
-
대학 생글이 통신
면접에서 피하고 싶은 질문 받았을 땐…
대입 수험 생활은 선택의 연속이기도 합니다. 지망하는 대학과 학과를 정하는 것, 수시 또는 정시를 택하는 것 모두 선택입니다. 수시 전형을 택한 수험생은 면접이라는 또 하나의 관문을 통과해야 합니다. 저는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대학에 합격했습니다. 일반적으로 내신성적이 좋은 학생은 교과우수자전형을, 생활기록부(생기부) 내용이 좋은 학생은 학생부종합전형을 지원합니다. 저는 고등학교 특성상 내신성적을 잘 받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고등학교에 입...
-
시사·교양 기타
부자 나라·가난한 나라 차이
주니어 생글생글 제135호 커버스토리 주제는 부자 나라와 가난한 나라를 만드는 이유입니다. 올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다론 아제모을루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등은 한 사회의 정치·경제적 제도가 얼마나 민주적이고 포용적이냐에 따라 사회 혁신과 경제 발전이 일어났다고 분석했습니다. 미국과 멕시코로 나뉜 두 개의 노갈레스와 남·북한의 발전 사례 등을 통해 국가 제도의 중요성을 살펴봤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에선 &...
-
경제 기타
1000만 관중 프로야구…실적도 '홈런' 쳤을까
올해 한국프로야구(KBO)는 사상 처음으로 연간 관중 1000만 명을 돌파했다. 정규리그 720경기에 1088만7705명이 입장해 지난해보다 34.4% 증가했다. 종전 최고 기록이던 2017년 840만688명을 가볍게 넘어섰다. 포스트시즌 경기도 매진 행진 중이다. 그렇다면 기업으로서 프로야구단의 경영 실적은 어떨까. 흥행만큼이나 프로야구는 돈이 되는 사업일까. 흥행 대박, 존속 능력엔 의문 KBO 10개 구단의 재무제표를 살펴보면 국내 최...
-
숫자로 읽는 세상
"단순 지식은 AI가…교사 역할 바뀌어야"
“이제 단순 지식은 인공지능(AI)이 가르칠 겁니다. 교육의 역할도 이에 맞춰 바뀌어야 합니다.” 국가AI위원회 부위원장을 맡고 있는 염재호 태재대 총장은 지난달 30일 열린 ‘글로벌인재포럼 2024’의 ‘AX 시대 인재를 위한 인문학’ 특별 대담에서 “교사의 역할이 단순 지식 전달자에서 도덕적 개념을 가르치는 감독자, 중재자로 바뀌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
-
역사 기타
대항해 이끈 또 다른 동력 '해도와 세계지도'
포르투갈이 인도로 가는 길을 연 것은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상륙 후 6년이 지난 1498년이다. 선단을 이끈 총사령관은 바스쿠 다 가마로 그의 이름이 기록에 처음 나온 것은 1492년이다. 주앙 2세는 프랑스와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바스쿠 다 가마를 투입했고, 그는 프랑스 선박 억류 조치라는 초강경 대응으로 사태를 해결한다. 그러나 잠시 반짝 빛났을 뿐 다시 역사에서 사라졌다가 1497년 인도로 가라는 특명과 함께 재등장해 항해사에 이름을 남긴...
-
수능 D-16…올해도 불수능?
제869호 생글생글은 커버스토리에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 방향과 난도를 전망해 봤다. 수능이 2주 앞으로 다가왔다. 올해 수능은 ‘역대급 불수능’으로 불린 2024학년도 수능 못지않게 어렵게 출제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의대 모집 정원이 확대돼 상위권 재수생이 증가하면서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서라는 것이 이 같은 전망의 근거다. 수능 막바지 준비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국어 영역에 출제될 가능성이 있는 경제...
-
커버스토리
의대 증원·N수생 '변수'…올해도 불수능?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17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그동안 해오던 공부를 남은 기간 어떻게 정리하느냐, 컨디션 관리는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결실이 크게 좌우될 수 있는 시기입니다. 올해 수능을 치르는 수험생은 마음을 단단히 먹어야 할 것 같습니다. 올해 수능이 ‘역대급 불수능’이라고 불린 2024학년도 못지않은 난도로 출제될 것이란 전망이 많기 때문입니다. 의대 모집 정원이 확대되면서 상위 성적의 N수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