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치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최초의 국제금융그룹, 로스차일드
1815년 6월 18일, 벨기에 브뤼셀 근교의 워털루에서 나폴레옹의 프랑스군과 웰링턴 장군의 영국군이 최후의 일전에 돌입했다. 같은 날 런던증권거래소에서는 무수한 투자자가 초조하게 결과를 기다리고 있었다. 영국군이 이기면 투자한 영국 국채로 돈방석에 앉지만, 지면 깡통을 찰 수도 있는 순간이었기 때문이다.이날 저녁이 되자 나폴레옹의 패색이 짙어졌다. 그러자 로스차일드 가문에서 파견한 정보원이 브뤼셀로 달려가 배를 갈아타고 영국해협을 건넜다. 이튿날 새벽, 영국 포크스턴 해변에 도착해 직접 부두로 나온 네이선 로스차일드에게 편지 한 통을 전했다. 그는 봉투를 뜯어 훑어본 뒤 런던증권거래소로 달려갔다. 모든 사람의 시선이 그에게 쏠렸다. 이윽고 네이선이 눈짓을 하자 그의 거래원들이 영국 국채를 팔아치웠다. 이 모습을 본 투자자들도 너도나도 팔자고 나섰다. 몇 시간 뒤 국채는 액면가의 5%도 안 되는 휴짓조각으로 변해 있었다. 이를 태연히 지켜보던 네이선이 눈짓을 하자, 거래원들이 반대로 국채를 닥치는 대로 사들였다. 웰링턴 장군의 특사가 승전보를 갖고 런던에 당도한 것은 이틀 뒤였다. 네이선은 그사이에 영국 국채로 20배의 차익을 챙겼다.네이선의 일화는 프랑스 작가 발자크가 처음 언급한 뒤 로스차일드 가문이 세계경제를 좌우한다는 음모론의 소재가 되었다. 전쟁이 벌어질 때마다 그 배후에 로스차일드 가문이 있었고, 가문의 총재산이 무려 6경원에 달하고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를 주무르며 비밀결사인 프리메이슨의 일원이라는 음모론이 지금도 공공연히 회자되고 있다. 골동품상에서 최초의 국제금융그룹으로로스차일드는 ‘붉은 방패(rot schild)&rs
-
숫자로 읽는 세상
미국의 선거제도
미국의 대통령 선출제도는 한국과 크게 다르다. 한국에서는 모든 유권자가 직접 대통령을 뽑는다. 반면 미국은 선거인단과 승자독식 제도를 통해 국민의 의사를 간접적으로 확인한다. 선거인단이란 대통령선거에서 투표 자격을 얻은 사람들이다. 일반 국민은 직접 대통령을 고르지 않고 자신들을 대표해 대통령을 선택할 사람에게 표를 준다. 선거인단은 538명으로 구성된다. 미국 의회의 상원과 하원 의석(535명)에 수도 워싱턴DC 대표 3명을 더한 숫자다. 선거인은 전체 50개주(州)에 인구에 비례해 할당된다.미국이 선거인단을 통한 간접선거 방식을 택한 이유는 넓은 국토가 주요 원인이다. 200여년 전에는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지 못해 국민 개개인의 뜻을 한꺼번에 모으기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투표를 대신해 줄 사람을 구하도록 한 것이다. 지금은 교통과 통신 사정이 크게 좋아졌는데도 간접선거를 고수하고 있다.승자독식은 다른 나라 선거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독특한 제도다. 주(州)별로 투표해 선거인단을 뽑는데 어떤 후보든 상대 후보들보다 한 표라도 많이 얻으면 그 주의 선거인단 전부를 차지한다는 뜻이다. 만약 캘리포니아주 대통령선거에서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과 도널드 트럼프가 각각 1000표와 999표를 얻었다면 캘리포니아주 선거인 55명은 모두 클린턴에게 돌아간다. 승자독식 채택 배경은 두 가지다. 인구가 많은 주의 의견이 일방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막고 각 주(州)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대통령이 되려면 일단 민주당이나 공화당 내부 경선에서 1위를 해야 한다. 무소속으로 나갈 수도 있지만 양당 체제가 공고한 미국에서는 당선 가능성이 거의 없다. 각 당은 주(州)
-
숫자로 읽는 세상
미국 대통령선거 민주당 후보 힐러리 확정
“당신은 너무 무례해요. 우리의 대통령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아이들이 두려워하고 있어요.”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州) 제임스타운의 밀스로드초등학교 3학년 잭슨 윌레스는 지난 10일 공화당 대통령 경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에게 걱정이 가득한 편지 한 장을 보냈다. 윌레스는 트럼프가 뉴욕타임스(NYT)의 장애인 기자를 조롱한 것을 거론하며 “아이들이 당신의 행동을 보고 장애인을 놀려도 괜찮을 거라고 생각한다면 어떤 일이 생기겠냐”며 “학교 내 집단 괴롭힘 문제를 당신이 더욱 키우고 있다”고 썼다. 여덟 살짜리 초등학생의 편지는 미국 사회에 큰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공화당 대선 경선에서 압도적 1위를 달리고 있는 트럼프의 언행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방증이다.트럼프 ‘막말’에도 인기는 여전과격하고 극단적인 표현으로 ‘막말 제조기’라는 오명을 듣고 있는 트럼프의 발언은 미국의 대통령이 되겠다는 인물로는 매우 실망스러운 수준이다.그는 “멕시코인들은 미국으로 마약을 가져오고, 범죄를 저지르며 강간범이다” “무슬림들의 입국을 막아야 한다” 등의 발언을 했다. 트럼프는 교황에게도, 방송사의 여자 사회자에게도 모욕적인 발언을 서슴지 않는다. 한국에 대해서는 푼돈을 내고 미국에 안보를 의존한고 있다고 비난했다. 미국 내에서도 한국이 주한미군 주둔을 대가로 연간 1조원 이상을 내기 때문에 무임승차와는 거리가 멀다는 분석을 내놓지만 트럼프는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트럼프가 유세 연설에서 5분에 한 번꼴로 허위 발언을 한다는 기사를 내놓기도 했다.그런데도 트럼
-
경제 기타
스마트폰시장 정체 위기…모바일 플랫폼은 전성시대
지난해 美 증시서 애플 지고, 페이스북·구글은 떴다‘팡(FANG)’이 올해도 추락하는 증시의 버팀목이 될 수 있을까. 뉴욕증시가 연초 매우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투자자들의 기대가 페이스북,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 4개 회사에 쏠리고 있다. 이들 인터넷 대표주는 지난해 다우지수가 2.2% 하락한 가운데 평균 83%의 기록적인 주가 상승률을 올리며 무너지는 시장을 떠받쳤다. 월가의 투자분석가들도 이들 기업의 첫 글자를 딴 ‘팡(FANG)’의 실적과 주가흐름이 증시 전체에 미칠 영향을 놓고 다양한 분석을 내놓고 있다.아마존·페이스북, 시가총액 10위권 진입지난해 뉴욕증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3대 지수가 모두 마이너스 상승률을 기록했다.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애플 주가가 8% 하락하며 오히려 지수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했고, 국제 유가마저 폭락하면서 지수 영향력이 큰 에너지 업종 주가도 추풍낙엽처럼 떨어졌다.이 상황에서 그나마 S&P500지수의 하락률을 0%대로 막으면서 뉴욕증시의 자존심을 지킨 것은 ‘팡’으로 불린 대형 정보기술(IT) 대표주였다. 동영상 스트리밍업체인 넷플릭스는 지난해 주가 상승률 134%를 기록, S&P500기업 중 1위를 차지하며 미디어 대표기업으로 자리를 굳혔다. 미국 최대 온라인 쇼핑몰업체인 아마존이 118%로 뒤를 이었고, 구글 지주회사인 알파벳과 페이스북도 각각 47%와 34%를 기록했다.아마존과 페이스북은 지난해 3분기에 페트로차이나 등을 밀어내며 시가총액 10위권 내에 진입했다. 포브스는 “월가의 펀드매니저들도 ‘팡’을 ‘포트폴리오 구세주’로 불렀다”며 “이들 4개 기업을 포함해 지
-
경제 기타
대만 첫 여성 총통…경제위기에서 구할까?
지난 16일 치러진 대만 총통(대통령)선거에서 제1야당인 민주진보당이 8년 만에 정권교체에 성공했다. 2008년 집권한 국민당이 펼친 친중(親中)정책이 경제 상황 악화로 국민으로부터 ‘파산선고’를 받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17일 대만중앙통신 등에 따르면 전날 치러진 대만 총통선거에서 차이잉원(蔡英文) 민진당 후보가 56.1%를 득표, 31.0%에 그친 주리룬(朱立倫) 국민당 후보를 가볍게 누르고 당선됐다. 두 후보 간 격차는 약 308만표로 대만 총통선거 사상 최대다. 민진당은 총통선거와 동시에 치러진 입법위원(의회의원) 선거에서도 113석 중 과반을 훨씬 넘는 60.1%를 차지해 행정부와 입법부를 동시에 장악했다. 대만 현지 언론과 정치 전문가들은 국민당의 마잉주(馬英九) 총통이 추진한 친중정책이 대만의 경제 활력 저하라는 ‘부메랑’이 돼 이번 선거 판세를 결정지었다는 분석을 내놨다.성장 둔화가 8년 만의 정권교체로역대 대만 선거의 핵심 이슈는 ‘중국’과 ‘경제’였다. 대만 경제의 성장세가 급속하게 쇠퇴하자 ‘경제 회생’ 문제는 선거 때마다 핵심 쟁점으로 등장했다. 중국은 대만 국민에게 정치적 이슈면서 동시에 핵심 경제 이슈였다. 이번 선거 역시 다르지 않았다.2008년 정권을 되찾은 국민당의 마잉주 총통은 친중노선을 앞세워 대만 경제 회생을 시도했다. 국민당 정부는 2009년 이후 총 세 차례에 걸쳐 중국 자본의 대만 투자 허용 품목을 확대했다. 이 과정에서 2010년에는 대만과 중국 간 상품 무역의 관세·비관세 장벽을 철폐하는 ECFA를 체결했고, 2014년에는 서비스 분야 투자 장벽을 없애는 서비스 무역협정도 맺었다. 그 결과 대만은 전체 제조
-
경제 기타
포퓰리즘 심판한 아르헨티나…12년 만에 '우파 대통령' 당선
아르헨티나에서 12년 만에 우파 대통령이 탄생했다. 22일(현지시간) 치러진 아르헨티나 대통령 선거 결선투표에서 중도우파 성향 야당인 ‘공화주의 제안당(PRO)’ 소속이자 부에노스아이레스 시장인 마우리시오 마크리 후보(56)가 51.4%를 득표해 당선됐다. 좌파 성향의 집권 여당 ‘승리를 위한 전선(FPV)’ 소속이자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지사인 다니엘 시올리 후보(58)는 48.6%를 얻었다.친(親)기업 성향의 마크리 후보가 당선되면서 아르헨티나 경제에 대한 기대감도 살아나고 있다. 아르헨티나 대표 주가지수인 머발지수는 마크리 후보가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던 지난달 25일의 대통령 선거 1차 투표 이후 약 25% 상승했다.수렁에 빠진 경제에 ‘변화’ 요구 커져올초 대선 경쟁이 시작됐을 때만 해도 시올리 후보의 수월한 승리가 예측됐다.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대통령의 인기가 높았기 때문이다. 시올리 후보는 법에 따라 3선에 출마하지 못하는 페르난데스 대통령의 후계자다.2003~2007년 대통령을 지낸 남편에 이어 2007년부터 집권하고 있는 페르난데스 대통령은 철저한 대중인기 영합주의 정책을 폈다. 매월 일정 금액을 빈민 가족에게 지급했고, 디지털 격차를 줄이기 위해 공교육을 받는 모든 학생에게 최신 모델의 넷북을 무상 제공했다. 정부가 지급하는 연금과 봉급 수준도 두 배로 늘렸다. 현재 아르헨티나 국민의 40%는 정부로부터 연금이나 봉급을 받고 있다.문제는 경제였다. 경제성장률은 0%대로 떨어졌고, 올해 정부의 재정적자 폭은 연간 국내총생산(GDP)의 6%에 이를 전망이다.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30%에 이어 올해도 25%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아르헨티나 페소화 가치가 급
-
경제 기타
수지 여사의 야당 압승…미얀마 '53년 군부 통치' 막 내리나
25년 만에 치러진 미얀마 자유 총선거에서 아웅산수지 여사(70·사진)가 이끄는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이 득표율 70% 이상을 확보해 단독 집권이 유력해졌다. 이로써 50년 넘게 계속됐던 미얀마의 군부통치가 막을 내리게 됐다. NLD가 집권하면 미얀마의 개혁·개방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어서 한국 기업의 진출 기회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반세기 만에 막 내리는 군부통치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제1야당 NLD는 9일 개표 초반 집권 여당인 통합단결발전당(USDP)을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얀마 선거관리위원회가 이날 오후 발표한 일부 개표 결과에서 NLD는 개표 완료된 하원 32석 모두를 차지했다. 이들 의석은 NLD 강세 지역으로 꼽혀온 양곤의 전체 하원 45석 중 일부도 포함됐다. 개표가 완료된 지방의회 4석 중에서도 NLD는 3석을 챙겨갔다. 집권당은 지방의회 1석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미얀마 영자신문인 미얀마타임스에 따르면 NLD 대변인은 “전날 치러진 총선에서 NLD의 전국 득표율이 70%를 넘었다”고 밝혔다. 미얀마 선관위는 10일 1차 투표 결과를 발표한다. 아웅산수지 여사는 이날 NLD 당사 발코니에서 지지자들을 향해 “내가 말하지 않아도 여러분은 모두 결과를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흐타이 우 USDP 의장 대리도 “우리가 졌다”며 패배를 인정했다.미얀마 헌법은 선거 결과에 상관없이 전체 의석의 25%가 군부에 돌아가기 때문에 NLD가 의회에서 과반을 차지하려면 선출직 의석(491석) 가운데 67%(329석)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 이번 선거에서 NLD가 승리하면 1962년 쿠데타 이후 시작된 53년간의 군부통치가 막을 내린다. NLD는 1990년 총선에서 82%의 의석을 얻어
-
경제 기타
중국·인텔, 메모리 진출…최대 이익에도 웃지 못하는 '반도체 한국'
한국 반도체업계는 잘나간다. 더할 나위 없이 좋다. 지난 3분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세계 D램 시장 점유율은 70%에 달했다. ‘단군 이후 한국 산업이 이뤄낸 최대 점유율’이란 얘기도 듣는다. 두 회사의 영업이익률은 30%가 넘는다. 반도체 수출만 한국 수출의 10%에 이른다. 삼성전자는 1993년 세계 메모리 시장 1위에 오른 뒤 22년째 수성 중이다. 하지만 업계를 둘러싼 분위기는 심상치 않다. 당장 한국이 장악하고 있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대한 중국과 미국의 도전이 거세다. 평택 반도체단지 송전선 설치 반대 등 내부에서도 잡음이 나고 있다.한국 반도체는 기록경신 중올 3분기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42.3%의 점유율을 달성했다. SK하이닉스는 26%로 2위였다. 삼성전자는 낸드플래시 시장에서도 원조격인 도시바를 10%포인트 이상 제치며 38.3% 점유율로 1위였다. SK하이닉스는 15.1%를 점유했다.상대적으로 처지던 시스템반도체에서도 최근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삼성전자는 애플 아이폰6S에 들어가는 ‘두뇌’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를 제조해주고 있으며 퀄컴 시스코 등도 파운드리 고객으로 유치했다. 미래 자율주행차 등의 중심이 될 이미지센서에서도 일본 소니를 바짝 뒤쫓는 2위다. 최첨단 3차원(3D) 낸드는 업계에서 삼성전자만이 2년째 양산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를 대체하고 있는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시장에서 삼성은 50% 이상의 점유율로 1위를 달리고 있다.이 같은 기술력을 앞세워 지난 8월까지 한국 업체들이 수출한 반도체는 약 470억달러어치에 달한다. 품목별로 보면 2위 자동차(337억달러)를 30% 이상 앞선 압도적 1위다. 1990년 첫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