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아모레퍼시픽 화장품 한우물 70년…K뷰티 전세계를 물들이다

    고(故) 서성환 태평양그룹 창업회장은 1945년 중국에서 광복을 맞았다. 서 창업회장은 당시 여러 문물이 교류하던 중국 시장을 둘러보며 아시아적인 것이 세계의 중심이 되리라 확신했다. 화장품을 통해 아시아의 미(美)를 세계에 전파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귀국 직후 국내 첫 화장품 제조·판매 기업인 태평양화학공업사를 창립했다. 그는 2003년 타계할 때까지 60여년간 국내 화장품 업계를 이끌며 K뷰티의 초석을 놓았다. 바통을 이어받은 서경배 회장은 아모레퍼시픽그룹을 글로벌 기업으로 이끌고 있다. 지난해 4조7119억원의 매출 중 해외 매출이 20%에 육박하는 8325억원이었다. 아모레퍼시픽이 만든 제품을 세계적 화장품그룹이 벤치마킹할 정도다.인삼화장품 등 ‘최초’ 타이틀 제조기아모레퍼시픽그룹의 역사를 돌아보면 유독 ‘최초’란 단어가 많다. 1948년 국내 최초로 상표를 붙인 화장품인 메로디크림을 출시해 돌풍을 일으켰다. 해방 직후라 보부상들이 용기·상표 없이 큰 통에 들어 있는 화장품을 집집마다 필요한 만큼 덜어서 팔던 시대였다. 1951년 출시한 순식물성 포마드인 ABC포마드는 서 창업회장이 “지금의 아모레퍼시픽그룹을 만든 뿌리”라고 회고했을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다.화장품 연구실을 만든 것도, 생체 보습 물질인 히알루론산을 만든 것도 모두 아모레퍼시픽이 국내 최초였다. 세계 최초 인삼 화장품인 진생삼미는 아모레퍼시픽의 빅히트 브랜드인 설화수의 모태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이 외에 2008년 세계 최초로 콩에서 미백·보습 성분인 오-디하이드로시이소플라본을 발견해 화장품 성분으로 만드는 등 화장품 시장의 기술 혁신에

  • 경제 기타

    메모앱 '에버노트'로 세계 제패한 필 리빈 "세상 바꾸길 원하면 청년이여! 창업하라"

    실리콘밸리 서북부 레드우드시티. 에버노트 사옥의 문을 열고 들어서니 필 리빈 최고경영자(CEO·40)가 반갑게 기자를 맞았다. ‘왜 구글, 애플 같은 대기업에 취직하지 않고 창업했느냐’고 첫 질문을 던졌다. 그는 잠시 웃더니, 어렸을 적 얘기를 꺼냈다.총명했던 여덟 살 꼬마는 어느 날 엄마로부터 “세상에 영원한 건 없다”는 얘기를 듣게 됐다. 무엇이든 언젠가는 사라진다는 게 큰 충격이었다. 그때부터 꼬마는 ‘인류를 똑똑하게 만들어 세상을 계속 지켜내는 것’을 고민했다. 너드(nerd·컴퓨터만 아는 괴짜)였던 그가 2007년 ‘무엇이든 잊지 않도록’ 메모 애플리케이션인 에버노트를 만든 것은 그런 고민의 산물이었다. 만나자마자 악수를 청한 리빈 CEO는 에버노트의 코끼리 로고가 새겨진 티셔츠와 청바지를 입고 있었다. 로고는 ‘코끼리는 절대 잊지 않는다(An elephant never forgets)’란 속담에서 따왔다고 한다. 사람들에게 메모를 통해 완벽한 기억력을 갖게 해주고 싶다는 바람을 담았다.에버노트도 창업 초창기엔 좌절에버노트는 리빈 CEO가 세 번째 창업한 회사다. ‘인류를 똑똑하게 만들고 싶다’는 막연한 꿈을 실현하기 위해 그는 어렸을 때부터 창업을 꿈꿨다. 보스턴대 재학 시절 친구들과 함께 만든 소프트웨어 회사가 처음이다. 첫 회사를 3년 만에 팔았고 두 번째로 설립한 보안소프트웨어 회사도 6년 만에 매각했다.어릴 적 꿈을 이루기 위해 2007년 ‘창업의 산실’ 실리콘밸리로 옮겨 세 번째 회사인 에버노트를 세웠다. 두 번의 창업 경험에도 불구하고 시작부터 험난했다. 1년 만에 투자 원금은 바닥을 드러냈다. 사업을 이어가기 위해

  • 경제 기타

    1년여 만에 삼성 찾은 SNS의 황제…삼성-페이스북, 어떤 '작품' 내놓을까

    마크 저커버그가 최근 한국에 왔다가 돌아갔다. 그는 세계 최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페이스북의 젊은 최고경영자(CEO)다. 최고운영책임자(COO)인 셰릴 샌드버그도 함께 온 것을 보면 의미 있는 방문일 터. 이들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만나 스마트폰, 스마트 TV 등의 분야에서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했다는 후문이다. 저커버그 일행은 삼성전자 수원사업장을 직접 방문해 스마트폰과 TV 제조 현장을 직접 살펴봤다.저커버그 CEO는 전용기로 날아온 뒤 지난 3월 인수한 가상현실 기기 제조업체 오큘러스의 한국 법인도 방문했다. 이어 첫 공식 일정으로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을 방문, 이 부회장과 만찬을 하며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그가 삼성전자 사옥을 방문한 것은 지난해 6월 이후 두 번째다.이 부회장과 저커버그 CEO는 삼성이 페이스북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만드는 ‘페이스북 폰’과 스마트 TV 공동 개발 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삼성이 페이스북 폰 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구글을 견제하기 위한 행보라는 게 일반적인 해석이다. 삼성은 세계 1위 스마트폰 제조업체지만 폰을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는 대부분 구글 ‘안드로이드’에 의존하고 있다.삼성의 자체 스마트폰 구동 소프트웨어 ‘타이젠’ 개발이 지지부진한 것도 이 때문이다. 삼성이 페이스북을 파트너로 끌어들인 것은 어떻게 해서든 구글 견제 방안이 필요해서다.페이스북도 구글이 장악하고 있는 모바일 검색 시장에 진출하길 원하고 있다. 양측의 이해가 맞아떨어진다고 보는 이유다.스마트 TV도 두 회사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분야로 꼽힌다. 우선 삼성 스마트 TV에서 페이스북 콘텐츠를 쉽게 이용

  • 경제 기타

    '조로증' 한국…'도전의 아이콘' 기업가정신 절실

    ‘한강의 기적’은 대한민국의 경제번영을 일컫는 대명사다. 불과 반세기 만에 거의 폐허의 땅에서 세계 10대 경제대국으로 도약했으니 ‘기적’이란 수식어 외에 다른 단어를 찾기 어렵다. 개발도상국에 대한민국 ‘한강의 기적’은 경제성장의 롤모델이기도 하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길은 여전히 멀다. 궁극적으로는 국민소득 2만달러대를 극복하고 5만달러 시대를 열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무엇보다 기업가 정신의 부활이 필요하다. 국민 의식 또한 선진국 수준으로 한 단계 뛰어올라야 한다. 생글생글이 ‘경제 대도약-5만달러 시대를 열자’는 기획기사를 실는 이유다.지금으로부터 40년 전인 1973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14.8%였다. 삼성전자·현대자동차 등 우리 경제의 뼈대를 이룬 기업들이 태동한 게 이 무렵이다. 이후 경제성장률이 낮아지면서 1980년대 평균 성장률은 9.7%였으며 1990년대는 6.6%로 떨어졌다. 2000년대 후반 들어서는 3%대 성장률이 고착화되는 추세다. 작년 한국 경제 성장률 추정치는 2.8%, 정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3.9%다.선진국 문턱을 눈앞에 둔 현 경제 상황에서 3%대 성장률을 유지하는 것도 쉽지 않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떨어지는 속도가 여간 불안한 게 아니다. 최병일 한국경제연구원장은 “지난 50년간 압축 성장을 해왔던 속도만큼이나 한국 경제의 정체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고 지적했다.비단 성장률 하락만이 문제는 아니다. 2007년 2만달러를 넘어선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GDP 기준)은 7년째 제자리걸음이다. 4대 그룹을 제외한 30대 그룹의 수익성(매출 기준 순이익률)은 2002년 6.38%에서 2012년 2.71%로 뚝 떨어졌다.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