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남은 3개월 단점 보완하고 스퍼트하면 목표 이룰 것

    먼저 수시 지원, 그리고 수험생활의 반 정도를 보낸 대입 수험생들께 수고했다는 말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동안 내신 챙기고, 모의고사 보고, 중간중간 교내활동하느라 정말 바쁜 시간을 보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직 합격까지는 약 3개월의 시간이 남아 있습니다. 그리고 이 기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서 실제로 합격할 수 있는 대학 라인이 변하기도 합니다. 수시 전형에 주력하고 있는 학생들은 수능 최저 등급 충족을 위해 꾸준히 공부해야 하고, 앞으로 다가올 생활기록부 기반 면접, 제시문 기반 면접 준비도 해야 합니다. 특히 정시 전형에 주력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이 기간은 매우 중요합니다. 주변에 수시 지원하느라 바빴던 다른 학생들을 보면서 많이 해이해졌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기간을 통해 9월 모의평가 이후 나의 부족함을 보완할 수 있고, 수능을 치기 직전에 막판 스퍼트를 올려 결과를 바꿀 수도 있습니다. 기출문제 유형 분석하면 효과적저는 기출문제 분석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시기에는 많은 실전 모의고사가 나올 거고 실전 대비가 중요하다는 말에 현혹되기 쉽습니다. 하지만 ‘수능 출제자=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라는 것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기출문제와 6월, 9월에 응시했던 모의평가를 분석하면서 평가원과 친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간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실력을 올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문제 유형을 파악하고 어떤 것이 출제될지 예상하면서 그것을 위주로 공부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저는 다른 기출 문제집을 사용하지 않았고, 3개년 6월, 9월, 수능을 모아 제본해서 문제를 풀었습니다. 시중의

  • 커버스토리

    고3, EBS 수능완성 마무리…수학, 문·이과 모두 공통과목 집중

    올해 수능까지 4개월 남았다. 고3에게 여름방학은 수능성적을 끌어올릴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할 수 있다. 수능뿐 아니라 수시 자기소개서 마무리, 논술·면접 등 대학별고사 준비 등 챙겨야 할 것도 많다. 정시까지 바라보는 긴 안목이 중요하다. 수능학습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수시 준비를 해가는 지혜가 중요할 때다. 그러기 위해선 남은 기간 수능학습 전략 또한 촘촘하고 계획적이어야 한다. 남은 기간 고3 국수영 수능 학습전략을 소개한다. 국어/EBS 수능완성 마무리하며 연관된 작품도 함께 정리수능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서 학습방법을 갑자기 바꾸는 것은 오히려 독이 될 가능성이 크다. 큰 흐름에서 본인의 학습 방법은 유지하되, 학습의 우선순위는 명확히 하는 것이 좋다. 7월 중순 시점에서 가장 우선시해야 할 것은 EBS 수능완성 학습을 마무리 짓는 것이다. EBS 연계가 직접연계에서 간접연계로 바뀌었다고 해도 수능특강, 수능완성 등 EBS 연계교재는 그 자체로도 우수한 교재다. 여름방학 동안 최대한 다양한 종류의 비문학 지문을 접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인문, 사회뿐 아니라 기술·과학 등 어려운 소재의 지문도 자주 접해보기를 권한다. EBS 교재 속 어려웠던 지문을 골라내 주제, 핵심어 찾기, 요약해보기 등의 방법을 통해 글의 핵심을 파악하는 연습은 언제나 중요하다. 문학은 EBS 교재 속 작품을 우선 정리하면서 작품마다 주제 또는 소재 등이 연관된 다른 작품도 찾아 함께 정리해두는 것이 좋다.EBS 학습이 마무리된 학생들은 철저하게 기출 중심으로 실전 대비 연습을 해야 한다. 실전 모의고사를 통해 시간관리 연습도 중요하다. 3월, 4월 학력평가와 6월 모의평가

  • 경제 기타

    3월 학력평가 수학 1등급의 94%가 이과생…통합형 수능 문과생 ‘비상’

    4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치러진 지난 14일 경기도 화성시 동탄고등학교에서 3학년 학생들이 답안지를 작성하고 있다. 올해 처음으로 문·이과 통합형 대학수학능력시험 형태로 지난 3월 시행한 학력평가에서는 수학 1등급(상위 4% 이내)을 받은 학생 가운데 94.0%가 이과 학생이고 문과 학생 비율은 6.0%에 불과한 것으로 추산됐다. 서울중등진학지도연구회가 수험생 4451명의 점수를 표본 분석한 결과 문과생이 수학에서 불리한 것으로 나타나 비상이 걸렸다.뉴스1 

  • 경제 기타

    수험생 모두 수고하셨습니다…합격의 영광이 함께하기를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지난 3일 전국 1383곳 시험장에서 치러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사상 첫 ‘12월 수능’인 데다 마스크와 가림막 등 낯선 환경에서 시험을 봐야 했지만, 수험생 모두 대입 합격의 영광이 함께하기를 응원한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여고 시험장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시작을 기다리는 모습.  사진공동취재단 

  • 경제 기타

    수능 D-10일…수험생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오는 12월 3일 치러진다. 올해는 책상에 가림막이 설치되고 모두 마스크를 써야 하는 등 낯선 환경에서 시험을 봐야 해 수험생들의 부담이 우려된다. 하지만 씨를 뿌리고 열매를 거두며 한 걸음씩 큰 세상으로 나아가는 삶의 여정이 순탄할 수만은 없다. 수험생 모두 그동안 땀 흘려 심은 씨앗에서 알찬 열매를 맺기를 응원한다. 사진은 지난 18일 대구중앙고 3학년생들이 올해 마지막 학력평가시험을 치르는 모습.  연합뉴스 

  • 경제 기타

    한 달도 안 남은 수능…불안해 말고 막바지 학습에 전념하세요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았다. 서울 강남구 종로학원 한 수험생의 책상 위에 집중학습을 다짐하는 문구가 적혀 있다. 입시전문가들은 수능 시간에 맞춘 규칙적 생활과 함께 긍정적 생각, 자신감 등으로 막바지 학습에 전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뉴스1 

  • 진학 길잡이 기타

    의대 2977명 선발…서울대 40% 반영 등 수능 수학 영향력 커

    고교 졸업 직후 진학할 수 있는 의과대학은 서울대 등 전국에 38곳이 있다. 올해 강원대가 의학전문대학원에서 학부 선발로 전환했으나 건국대와 차의과대는 의학전문대학원을 고수하고 있다. 2021학년도 전국 38개 의대는 정원 내로 총 2977명을 선발한다.전국 의대 38곳 정시 선발 비중 37.9%의대는 자연계열 최상위권 학과로 다른 학과에 비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인 정시모집 비중이 높다. 2021학년도 38개 의대의 정시 비중은 평균 37.9%(1128명)에 달한다. 전국 4년제 대학 정시 비중 평균 23.1%보다 높은 수치다. 정시 다음으로 큰 비중은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31.0%(924명)다. 학생부교과는 26.2%(781명), 논술전형은 4.8%(144명) 수준이다.정시 지원 가능선은 자연계열 중 최상위권이다. 서울대 의예과의 정시 지원 가능선은 국어, 수학, 탐구 백분위 합계 298점(300점 만점), 연세대 의예과는 297점으로 분석된다. 영어는 1등급을 기본으로 해야 할 정도로 지원층 자체의 성적 수준이 높다. 297~298점은 국수탐 3개 과목에서 2~3문제 정도 틀리는 수준이다. 지방권 의대라고 해도 최소 국수탐 백분위 합 288~289점 수준을 요구하는데, 이는 서울대 자연계열 하위권 학과의 정시 지원선과 비슷한 수준이다.수능 최저 포함하면 전체 모집 중 86.8%에서 수능성적 요구의대 입시의 핵심은 수능성적이다. 의대는 정시뿐 아니라 수시모집에서도 대부분 수능을 최저학력기준으로 요구하고 있어 수능의 영향력이 매우 큰 것이 특징이다. 수시와 정시를 통틀어 의대 입시에서 수능이 당락에 영향을 끼치는 모집인원 비중은 86.8%(2583명)에 달한다.예를 들어 논술전형을 실시하는 10개 대학 중 여덟 곳에서 수능성적을 최저학력기준으로 요구한

  • 커버스토리

    "어느 대학에 지원할까?"…오는 26일부터 대입 정시모집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통지표가 지난 4일 수험생들에게 배부됐다. 올 수능 응시자는 48만4737명(재학생 34만7765명, 졸업생 13만6972명)이었다. 수능 응시자가 50만 명 미만으로 줄어든 것은 1994학년도 첫 수능이 시행된 이래 처음이다.이번 수능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공식 발표 사흘 전 성적이 유출되는 황당한 일이 발생했다. 수능을 총괄 관리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보안관리가 너무 허술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수능 성적은 정시뿐만 아니라 논술, 학생부종합전형 등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대학을 지원하는 데도 매우 중요하다. 올해 수능 만점자는 15명(재학생 13명, 졸업생 2명)이었다. 2020학년도 대입 정시모집은 오는 26일 시작된다. 사진은 수능 성적표를 받은 대전 둔원고 학생들이 지원 가능 대학을 살펴보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