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생글기자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극복한 코로나바이러스
지난 1월 20일 국내 첫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후 확진 사례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며 지난 2월 말에는 세계 누적 확진자 수 2위에 올랐지만 질병관리본부와 정부, 그리고 의료진을 비롯한 많은 사람의 노력으로 점차 사태가 안정되는 추세다. 외신은 공황·봉쇄·사재기 없이 비교적 의연하고 차분했던 우리나라의 대처 능력을 극찬했다. 또한 일부 외신은 지난 4월 15일에 치러진 제21대 ...
-
테샛 공부합시다
환경 중요성이 높아졌지만…규제 영향은 따져봐야지요
최근 귀농인구가 점진적으로 늘어나는 현상에는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 후 제2의 삶을 농촌에서 시작하고자 하는 수요도 있지만, 젊은이들 중에서도 귀농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측면도 있다. 경제가 발전하면서 먹거리 등 양적인 면에서는 부족함이 없어졌지만, 환경이 상대적으로 훼손됨에 따라 질적인 면에서 깨끗한 환경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경제학계에서도 환경과 경제를 연관시킨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환경 쿠즈네츠 곡선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
숫자로 읽는 세상
국민 76% "선별적 복지가 바람직하다"
한국 국민 4명 중 3명은 ‘선별적 복지’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자까지 세금을 투입해 지원하는 것보다 경제 여건이 어려운 사람 위주로 도와줘야 한다는 얘기다. 지난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가 전국 6331가구를 대상으로 ‘바람직한 복지 대상’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모든 국민 대상으로 해야 한다’는 응답은 23.9%였다. 나머지...
-
숫자로 읽는 세상
대한민국 보통사람들, 월 453만원 벌어 100만원 저축
‘한 달에 453만원 벌어 100만원 저축한다.’‘보통 한국사람’의 기준을 보여주는 보고서가 나왔다. 신한은행은 국내에서 평균적인 소득을 올리는 사람들의 소비 및 투자 성향을 분석한 ‘보통사람 백서’를 지난달 27일 발표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9월부터 두 달간 지역·성별·연령별 인구 구성비를 고려해 1만 명을 선정한 뒤 이들에게 소득과 소비, 투자 등에 ...
-
테샛 공부합시다
최고가격제
문제 밑줄 친 이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이 현상 이 나타난 대표적인 사례로 제1차 세계대전 후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Weimar Republic) 시절을 들 수 있다. 독일 정부는 전후 배상금을 지급하기 위해 돈을 마구 찍어 내었고, 이로 인해 돈의 가치가 떨어져 고기 1파운드를 사거나 맥주 한 잔을 마시는 데 수천억마르크가 들었다. ① 대공황 ② 디플레이션 ③ 애그플레이션 ④ 리디노미네이션 ⑤ 하이퍼인플레이션 해설 하이퍼...
-
숫자로 읽는 세상
청소년 인구, 40년 후엔 '절반으로' 줄어든다
청소년 인구가 매년 감소해 40년 후에는 ‘반토막’ 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통계청이 지난달 27일 발표한 ‘2020 청소년통계’에 따르면 올해 청소년(9~24세) 인구는 854만2000명으로, 총 인구의 16.5%를 차지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52.1%, 여성이 47.9%였다. 청소년 인구는 1982년 1420만9000명으로 최대치를 기록한 뒤 약 40년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10년 전인...
-
경제 기타
10년 새 GDP 두 배 키운 캄보디아…성장동력 잃지 말아야
몇 년 전에 필자가 대학에서 ‘신흥시장 지역연구’라는 과목을 가르칠 때 동료 교수님과 열띤 논쟁을 벌인 적이 있다. 투자 인프라가 잘 갖춰지고, 국가 위험도 적은 선진국에 투자하는 게 신흥국에 투자하는 것보다 ‘더 좋은 투자’가 아닌가 하는 주제였다. 사실 ‘더 좋은 투자’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The higher the risk, the...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隨珠彈雀(수주탄작)
▶ 한자풀이 隨:따를 수 珠:구슬 주 彈:쏠 탄 雀:참새 작 수후(隨侯)의 구슬로 참새를 쏜다는 뜻 작은 것을 얻기 위해 귀한 것을 버림-<장자> 수주(隨珠)는 수후의 구슬이라는 뜻이다. 춘추전국시대 수나라 제후가 큰 상처를 입은 뱀을 구해준 보답으로 받은 야광주를 일컫는다. 화씨지벽(和氏之璧)과 함께 수주화벽(隨珠和璧)으로 불리며, 천하제일의 보물로 비유된다. 노나라 군주 애공은 구슬을 가진 안합이 도(道)를 터득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