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생글기자
따뜻한 세상을 만드는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때
배려는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상을 따뜻하게 만들어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마음이다. 특히 지금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사회적 배려가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다. 뒷사람을 위해 앞사람이 문을 잡아주는 것, 엘리베이터가 닫히려고 할 때 다른 사람이 타려고 하면 열림 버튼을 눌러주는 것, 바깥에서 재채기를 할 때 옷소매로 입을 가리는 것,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것. 이 외에도 남을 도와주고 생각하는 마음을 뜻하는 배려는 작고 사소하지만 무엇보다 강...
-
숫자로 읽는 세상
언택트 시대에 배달 폭주…오토바이 사고 나홀로 증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대면 접촉을 꺼리는 ‘언택트(untact)’ 소비 문화가 확산하면서 이륜차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사고 사망자도 작년보다 15% 늘었다. 택배나 음식을 배달하는 오토바이가 신호위반과 과속을 해도 단속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오자 정부는 시민의 제보를 통해 이륜차 사고를 줄이기로 했다. 일각에서는 “불법을 일삼는 이륜차를 강력하게 제재할 수 있는 법령과 제...
-
테샛 공부합시다
'메세나'는 문화·예술·스포츠 등에 대한 기업의 지원활동
테샛(TESAT)을 공부하는 고교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은 시사경제와 금융영역이다. 시사영역은 범위가 넓고 학생들이 학교 공부를 하면서 신문 등을 꼼꼼하게 읽어볼 시간이 현실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국내외 시사경제 이슈를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는 ‘시사 지체 현상’은 더욱 심하다. 테샛 시사·경제용어를 정리해보자. ○메세나(mecenat) =문화·예술 문화·예술&mi...
-
생글기자
긍정의 시선을 가르쳐주신 선생님, 감사합니다!
지난 5월 15일은 제39회 스승의 날이었다. 교육부는 올해 COVID-19(코로나19)가 학교 내 대규모 집단감염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온라인 수업이라는 특례조치를 내렸고, 그에 따라 학생들은 학교라는 공간을 통해 선생님을 만날 수 없게 됐다. 학교는 조심스레 배움의 문을 다시 열 준비를 하고 있지만, 학생 없는 학교에서 맞은 올해 스승의 날 모습은 왠지 마음을 쓸쓸하게 한다. 세상에서 부모님 다음으로 나를 오래 기다려주고, 내가 기...
-
숫자로 읽는 세상
4월 근원물가 21년來 최저…고개 든 'D의 공포'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넉 달 만에 0%대로 낮아지며 6개월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소비절벽’이 본격화한 탓이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21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주저앉았다. 통계청이 지난 4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95(2015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0.1% 상승하는 데...
-
테샛 공부합시다
환율 변동
문제 다음 사례에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사람은? 나는 오늘 여행사에서 1주일 뒤 출국하는 하와이 여행 상품을 구매했다. 여행 경비로 300만원을 지급했는데 동일한 여행 상품을 환율 변동으로 한 달 전보다 20% 낮게 살 수 있어서 기분이 좋았다. ① 달러화 채무를 상환하려는 한국 기업인 ② 한국으로부터 상품을 수입하는 미국 기업인 ③ 하와이를 여행하려는 미국 거주 미국인 ④ 미국에 수출하고 대금을 달러화로 받는 국내 기업인 ⑤ 미...
-
경제·금융 상식 퀴즈
5월 18일 (664)
1.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산 주식의 가치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거나 외상으로 산 주식의 결제대금을 갚지 못하면, 고객의 의사와 관계없이 주식을 강제로 팔아버리는 것은? ①정리매매 ②반대매매 ③블록딜 ④재정거래 2. 동일한 상품의 가격이 두 시장에서 다를 때, 가격이 저렴한 시장에서 상품을 매입한 뒤 가격이 비싼 시장에서 매도해 차익을 얻는 것은? ①정리매매 ②반대매매 ③블록 딜 ④재정거래 3. 우리말로 ‘전환사채&rs...
-
디지털 이코노미
기술발전이 초래할 마찰적 기술실업과 구조적 기술실업
“인간은 기술의 단기 영향은 과대평가하고, 장기 영향은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미래학자 로이 아마라의 말이다. 이는 앞으로 어떤 일이 나타날지 판단할 때 유용한 기준이 된다. 특히 기술 발전이 일자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살펴보는 과정에 많은 도움이 된다. 조급함에 빠져 단기적인 측면에 한정하지 않고 장기적인 영향까지 고려할 수 있는 긴장감을 잊지 않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마찰적 실업과 구조적 실업을 살펴보는 일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