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꿀벌 실종 사건, 식량위기 경고음이다

    올초 양봉 농가에서 꿀벌이 한꺼번에 자취를 감추는 일이 발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전국에서 78억 마리에 이르는 꿀벌이 폐사한 것으로 추산했다. 내년 초 이런 현상이 되풀이될 것이라는 우려 섞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처럼 꿀벌이 집단적으로 사라지는 것을 ‘군집붕괴현상’이라고 한다. 꿀과 꽃가루를 채집하러 나간 일벌 무리가 돌아오지 않아 벌집에 남아 있던 여왕벌과 애벌레가 떼로 죽는 현상이다. 꿀벌 군집붕괴현상은 생태계...

  • 테샛 공부합시다

    기업은 록인 효과 통해 시장을 선점하죠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경영환경은 악화됐습니다. 하지만 창고형 할인점은 많은 물품을 저렴하게 구매하고 싶은 소비자들의 수요가 커지면서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불확실성의 시기에 트레이더스는 오프라인 유통시장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유료 멤버십 도입하는 이유는? 최근 트레이더스는 이마트를 빼고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으로 이름을 바꿨습니다. 창고형 할인점이라는 본연의 가치에 집중하겠다는 것이죠....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가뭄·돌림병 등 전례 없는 자연재앙 발생…경신대기근으로 100만명이 아사 추정

    임진왜란, 정묘호란, 병자호란까지 무려 50년 가까이 처참한 살육 현장을 겪은 조선 백성들은 이후 어떻게 살았을까. 양 난을 겪으면서 많은 농토가 유실되고, 노동력도 부족했던 경술년(1670년)과 신해년(1671년)에는 조선 역사에서 가장 참혹한 ‘경신대기근’이 일어났다. 일부에서는 인구의 4분의 1인 무려 100만 명의 아사자가 생긴 것으로 추정한다. 경신대기근은 세계적 소빙기 현상과 관련된 기후변화의 산물이란 주장이...

  • 기업은 무슨 일을 할까

    주니어 생글생글 39호는 기업의 역할과 책임을 커버스토리 주제로 다뤘다. ‘달콤아이스크림’이라는 가상의 회사를 배경으로 기업이 하는 일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꾸몄다. 나라 경제에서 기업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19세 나이에 물건을 배달해 주는 회사를 차려 세계적인 물류 기업으로 키운 제임스 케이시 UPS 창업자의 일대기를 소개했다. 한국은행...

  • 생글로 준비하는 대입 논술

    778호 생글생글은 12월 초까지 이어지는 2023학년도 수시 논술고사에 수험생들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커버스토리로 다뤘다. 4면은 논술고사에 출제될 가능성이 있는 주제를 선별해 실었다. 5면은 논술고사에 응할 때 수험생들이 주의하고 집중해야 할 대응 전략을 일곱 가지로 분석해 제시했다. 상경계 진학을 원하는 학생이라면 생글 커버스토리 1년치를 홈페이지에서 찾아 읽어볼 것을 권했다. ‘숫자로 읽는 세상’은 &lsquo...

  • 커버스토리

    12월 초까지 대입 논술…생글 커버스토리 훑어라

    지난 17일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졌습니다. 수능은 입시의 끝이 아니라 시작에 불과하다는 점을 수험생들은 잘 알고 있을 겁니다. 수시 등 각종 입시 전형이 ‘준비 땅!’ 하는 거지요. 지난 주말 성균관대 서강대 건국대 동국대 숙명여대 등 일부 대학이 논술시험을 실시했습니다. 고사장은 많은 수험생으로 발 디딜 틈이 없었습니다. 논술 고사는 이번 주부터 12월 초까지 계속 이어집니다. 11월 24~27일, 12...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경성 백화점들 활황…외제 사는 조선인 수두룩

    1920년대 일제강점기의 대표적 대중 잡지인 ‘별건곤’은 1929년 1월호에 다음과 같은 기사를 게재했다. “경성우편국을 끼고 돌아서면 요지경 같은 진고개다. 하라다 상점에 들어서니 어찌나 사람이 많은지. 그래도 놀라지 말라. 반수 이상이 조선남녀다. ( … ) 미스코시에 들어가니 아래층은 음식과 과자를 팔고, 이 층으로 가니 거기는 일본 옷감뿐이더라. 삼 층에 가니까 장난감, 학용품, 아동복, 치...

  • 경제 기타

    기업 이윤은 장기적으로 0이 되죠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은 단기에서는 0 이상의 이윤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장기에서는 지속될 수 없다. 단기에서는 고정비용이 있기 때문에 시장가격이 생산에 들어가는 평균가변비용보다 높기만 하면 손실을 봐도 생산을 지속한다. 하지만 완전경쟁시장은 기업의 진입과 퇴출이 자유롭기 때문에 고정생산요소가 없어지는 장기에서는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에서 평균비용이 가격보다 높은 기업은 시장에서 사라질 것이다. 반대로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에서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