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부염기한 (附炎棄寒)
▶ 한자풀이 附: 붙을 부 炎: 불탈 염 棄: 버릴 기 寒: 찰 한 더울 땐 곁에 있다 추울 땐 떠남 권세에 빌붙다 권세가 쇠하면 버림 - <송청전(宋淸傳)〉 유종원(柳宗元)은 당나라 관리이자 문학가로, 당송팔대가의 한 명으로 꼽힌다. <송청전(宋淸傳)>은 그가 영주 사마(司馬)로 부임했을 때 지은 작품인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송청은 수도 장안에서 좋은 약재를 많이 가지고 있었다. 약재를 가지고 오는 이들은 반...
-
숫자로 읽는 세상
"예금 이자 10배"…애플 파격 행보에 美은행 긴장, '글로벌 1위 빅테크' 은행 영역까지 치고 들어왔다
애플이 연 4.15%의 고금리를 적용하는 저축상품을 내놨다. ‘애플페이’(간편결제 서비스), ‘애플월렛’(전자지갑 앱), ‘애플카드’(신용카드), ‘애플캐시’(개인 간 송금 서비스)에 이어 애플의 금융 생태계가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는 평가다. 애플은 지난 17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내고 이날부터 애플카드 사용자들이 골드만삭스를 통해 연 4.15%의 이자가 ...
-
과학과 놀자
인류가 바꾼 지구환경…'신생대 인류세' 주장도
지질시대는 약 46억 년 전 지구가 탄생한 이후부터의 역사를 의미한다. 인류 역사에선 일반적으로 문자로 기록돼 문헌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느냐를 기준으로 역사시대와 선사시대를 구분하고 그것을 유물의 특징적 변화나 인류사의 큰 사건을 기준으로 세분화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지구의 역사인 지질시대도 층서학적 특징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질시대는 누대·대·기·세·절 순으로 구분 지질시대 구분...
-
교양 기타
시간을 지배하라…하루 20분의 기적
20분 고두현 아침 출근길에 붐비는 지하철 막히는 도로에서 짜증날 때 20분만 먼저 나섰어도…… 날마다 후회하지만 하루에 20분 앞당기는 일이 어디 그리 쉽던가요. 가장 더운 여름날 저녁 시간에 쫓기는 사람들과 사람에 쫓기는 자동차들이 노랗게 달궈놓은 길 옆에 앉아 꽃 피는 모습 들여다보면 어스름 달빛에 찾아올 박각시나방 기다리며 봉오리 벙그는 데 17분 꽃잎 활짝 피는 데 3분 날마다 ...
-
경제·금융 상식 퀴즈
4월 24일 (795)
1.‘달러인덱스’를 산출할 때 달러와 비교 대상으로 포함되지 않는 화폐는? ① 유로 ② 엔 ③ 파운드 ④ 위안 2.안정된 직장에 소속되기보다 프리랜서로 자유롭게 일하는 근로자가 많아지는 경제 현상은? ① 긱 이코노미 ② 미스매치 ③ 낙수효과 ④ 롱테일 법칙 3.다음달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열리는 일본의 도시는? ① 도쿄 ② 히로시마 ③ 나고야 ④ 교토 4.다음 중 우리나라 증시에서 시가총액이 가장...
-
커버스토리
7년 만의 대통령 거부권…"포퓰리즘 법안 노(No)"
윤석열 대통령이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했습니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는 7년 만입니다. 2016년 5월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국회법 개정안에 거부권을 행사했습니다. 법률을 만들고(제정) 개정하는 입법권은 국회의 권한입니다. 국회가 본회의에서 의결한 법률안은 대통령이 공포해야 하는데, ‘이의’(다른 의견)가 있을 때에는 국회에 재의(다시 의결)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거부권은 행정부 수반으로...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반대 관계를 고려해 근거들을 이해해야
인간의 거울 뉴런은 뇌의 다른 부분과 함께 작용하여 모방의 수준을 높인다. ㉠ 거울 뉴런이 인간의 모방 과정에 관여한다 고 보면, 인간은 있는 그대로를 따라 하는 모방 메커니즘을 통해 비효율적인 것처럼 보이는 행동까지도 정확히 모방할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중략) 밈은 물리적 실체가 아니므로 구체적 단위를 설정하기 어렵고, 복제 원리가 불명확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 밈의 존재나 기능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 을 보이는 사람도...
-
디지털 이코노미
후기 6%가 46%의 상품·서비스 구매 유인
대중의 예측은 정확하다. 서로 실수를 상쇄하기 때문이다. 황소의 몸무게를 예측할 때 누구는 과대평가하고, 누구는 과소평가할 것이다. 만약 개개인의 예측 오차가 서로의 의견과 관련이 없고, 조직적으로 의도를 가지고 과소 혹은 과대평가한 것이 아니라면 점차 의견은 진실에 가까워질 것이다. 수학적 관점에서 서로 독립적인 의견이 다수라면 이는 사실로 수렴하기 때문이다. 독립적이지 않은 대중 의견 하지만 다양한 플랫폼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등장으...